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159 향기 2023.9.28.



들깨밭에는 들깨내음

딸기밭에는 딸기내음

능금밭에는 능금내음

시금치밭은 시금치내


가을들을 가로질러 가면

갓 지은 가마솥밥 냄새

달개비꽃 곁에 앉으면

파랗게 하늘내 바람내


아기는 부드러이 젖내

어린이는 노느라 땀내

어른은 일하며 웃음내

우리는 함께 향긋하게


여름은 잎내음으로 푸르다

겨울은 눈냄새로 새하얗다

봄은 꽃내 물씬 말갛다

가을은 들빛으로 푸근하다


ㅅㄴㄹ


맡기에 부드러우면서 즐겁게 퍼지는 기운을 우리말로 ‘향긋하다’라 하고, 한자말로는 ‘향(香)·향기(香氣)’라 합니다. 코로 맡으면서 느끼는 기운은 ‘내·내음·냄새’라 하고요. 꽃은 ‘꽃내·꽃내음·꽃냄새’요, 잎은 ‘잎내·잎내음·잎냄새’입니다. 모든 것과 곳에는 저마다 그곳에서 스스로 살아온 나날이 있어요. 이러한 기운을 코로 맡는데, 다 다르기에 다 다르게 나는(나오는) 빛인 ‘내·내음·냄새’예요. 그런데 사람은 모두 다르니, 누구는 이 냄새가 마음에 들고, 누구는 이 내음을 마음에 안 들어하지요. 마음에 들면 ‘좋은내’일 테고, 마음에 안 들면 ‘나쁜내’라 여기는데, 내가 반기더라도 둘레에서 꺼릴 수 있어요. 둘레에서 즐기더라도 나는 싫거나 괴로울 수 있어요. 바람을 품어 바람내음이 일어납니다. 해를 받아들여 햇내가 일어납니다. 비오는 날에는 비냄새가 퍼져요. 풀꽃나무를 비롯해서, 흙에도 모래에도 돌에도 다 다르게 내음이 퍼집니다. 들에는 들내음이, 숲에는 숲내음이, 바다에는 바다내음이 있어요. 우리는 서로 어떤 마음빛과 몸빛으로 마주할 적에 아름다울는지 생각해 봅니다. 참하고 곱고 착한 사람내는 무엇일까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