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9.3. 겨울나라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1994년부터 모든 바람이(에어컨 + 선풍기)가 없는 살림을 이었습니다. 어느새 서른 해란 나날을 부채를 쥔 채, 때로는 부채조차 없이 여름나기를 하며 살았습니다. 이렇게 살아오며 ‘미친놈’이나 ‘돌대가리’란 말을 흔히 들었습니다. 그러나 으레 “우리가 언제 선풍기나 에어컨을 쓰며 살았나요? 선풍기조차 기껏 쉰 해조차 안 되었을 텐데요?” 하고 대꾸하지만, 고작 쉰 해 앞서만 해도 바람이(선풍기)를 거느릴 엄두조차 없이, 아니 ‘바람이’라고 하면, 따로 빛(전기)을 먹여서 돌리는 틀(기계)이 아니라, 철마다 새롭게 풀꽃나무를 스치면서 싱그러이 부는 바람을 가리키는 줄 헤아리던 사람은 가뭇없이 사라져요.


  시골집에서 아무런 바람이를 안 거느리는 채 여름을 싱그러이 누리던 두 아이를 이끌고서 경기 일산으로 마실을 나왔습니다. 곧 흙으로 돌아갈 할아버지를 만나러 나온 길인데, 서울(도시)은 전철도 얼음나라요, 길손채(숙소)도 얼음나라입니다. 가게(마트 및 편의점)도 얼음나라일 뿐 아니라, 어디를 가든 몽땅 얼음나라입니다. 겨울나라조차 아닌 꽁꽁 얼려서 마음도 눈도 생각도 죽여버리려는 수렁이에요.


  여름에 땀을 안 흘리는 사람들이 ‘땀’이 무엇인지 어찌 알까요? 여름에 얼음나라에 갇혀 오들오들 떠는 아이들이 ‘여름’이라는 철이 사람한테 어떻게 이바지하는 숲빛인지를 어떻게 배울까요?


  여름이 여름나라가 아니라 얼어붙는 서울(도시)은, 겨울이 겨울나라가 아닌 더워서 혀를 내두르는 죽음터요, 이런 죽음터에서는 죽음글에 죽음글이 쏟아질밖에 없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8 책값 1억 6500만 원



  지난 2021년에 나왔다고 하는 《대한민국을 지배하는 혼맥지도》라는 책이 있다고 합니다. 글쓴이 신학림 씨는 김만배 씨한테서 ‘1억 6500만 원’을 받고서 이 책을 팔았다고 밝히는데, 책이 참말로 나왔는지부터 알 길이 없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없고, 누리책집이건 헌책집이건 아예 뜨지를 않아요. 〈한겨레〉 글바치는 김만배 씨한테서 9억 원을 받았다고 하니, ‘책값 1억 6500만 원’은 푼돈(?) 같아 보입니다. 책집하고 책숲에조차 안 들어가는 책에 이렇게 돈을 받았는데, 더구나 ‘대통령 선거를 며칠 앞둔 날’ 돈을 받고서 〈뉴스타파〉에 글(인터뷰 기사)을 실었군요. 책으로 같잖게 장난을 치고 뒷돈이 오가고 춤추는 글판입니다. 신학림 씨는 ‘조중동 이너써클’을 갈무리해서 나무랐다지만, 막상 이녁 스스로도 ‘먹물판 이너써클’로 돈잔치를 벌인 창피한 민낯입니다. 조중동만 손가락질한대서 이 나라가 깨끗하게 바뀌지 않습니다. 먼저 스스로 깨끗하게 살아야지요. 나라지기를 맡은 이가 모지리처럼 굴기에, 이녁도 모지리처럼 살아도 되지 않습니다. 휜 붓으로는 등도 손도 눈도 마음도 휘어버립니다. 곧게 쥐는 붓으로 곧게 살림을 지을 적에 비로소 스스로도 곧고, 푸른숲을 짓는 씨앗을 글 한 자락으로 심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

.

.

제발, 창피한 줄 압시다.

"세금 납부 아직 못 해"가 아닌 "세금 낼 마음이 아예 없었"겠지요.

뒷돈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8.30. 이 하루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하루에 한 가지씩 한다면 한 해에 삼백예순다섯 가지를 합니다. 열 해라면 삼천육백쉰 가지를 할 테고요. 서두르려 하면 하루에 한 가지조차 못 하기 쉬우나, 곰곰이 생각하면서 편다면, 하루에 몇 가지씩 마무를 수 있습니다. 미뤄도 되고 늦춰도 되어요. 마음에 환하게 피어날 적에 신나게 할 적에 반짝입니다.


  읽을 책을 읽고, 쓸 글을 쓰고, 할 살림을 하고, 지을 마음을 짓고, 나눌 노래를 나누고, 두런두런 수다를 피우면서 아이들하고 하루를 누립니다. 오늘도 나비에 새는 우리 집을 보금자리로 삼습니다. 풀벌레도 개구리도 늦여름 노래를 베풉니다. 두바퀴를 달릴까 했으나, 등짐을 꾸려서 읍내 나래터(우체국)를 다녀오려고 합니다. 간밤부터 쏟아지던 비는 조금 수그러들었고, 시골마을은 호젓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87 쏟비



  비가 쏟아지는 아침에 비를 쫄딱 맞았습니다. 비를 쫄딱 맞는 김에 10분쯤 가만히 서서 빗물에 확 젖었습니다. 아침에 시골버스를 타고서 옆고을 포두로 건너갔고, 버스에서 내려 걷다가 왈칵 내리는 비를 만났어요. 함박눈처럼 오는 비이니 ‘함박비’인가 하고 생각했습니다. 쏟아지는 비이니 ‘쏟비’, 곧 ‘소낙비·소나기’인데, 멧골에서 쏟아지는 물은 ‘쏟물’이고, 줄여서 ‘쏠’입니다. 위에서는 쏟아지고 밑에서는 솟습니다. 솟듯 돋는 풀이라서 ‘솔(정구지·부추)’이고 솔잎(소나무잎)입니다. 비를 흠뻑 맞으면서 돌아보자니, 이 비는 왈칵 쏟아집니다. 옳거니, ‘왈칵비’입니다. 갑자기 내린다 여기면 ‘갑작비’입니다. 등짐도 비에 홀라당 젖으면서 비랑 얽힌 여러 우리말을 돌아봅니다. 아니, 갑자기 쏟아지면서 왈칵 찾아드는 결을 헤아립니다. 쏟아내거나 쏟아붓는 말이라면 ‘쏟말’입니다. 무럭무럭 솟아나는 말이라면 ‘솟말’이겠지요. 높이 솟듯 세워 ‘솟대’이잖아요. 그나저나 벼락비·소낙비·왈칵비·갑작비·쏟비·함박비는 어느새 그치고 구름이 걷힙니다. 해가 나면서 웃습니다. 언제 비가 왔느냐는 듯이 시치미입니다. 말이란, 스스로 겪는 삶을 바라보며 짓겠지요. 생각이란, 스스로 흐르는 삶을 사랑하며 짓고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8.23. 고개넘이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어제에 이어 오늘도 고개를 넘어 옆마을 푸른배움터(중학교)로 갑니다. 함께 우리말꽃을 폅니다. 일찍 가서 노래꽃(동시)을 옮겨적습니다. 이 아이들한테 노래꽃을 한 자락씩 줄 생각입니다. 시골 푸름이가 ‘노래빛(시 선물)’을 하나씩 받아서 마음에 사랑씨앗에 숲빛을 품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자, 얼른 두바퀴를 천천히 달려서 천등산을 가뿐히 넘어야지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