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수다 9 미술학원



  이웃나라 일본에서 처음 ‘作文敎育’을 할 적에는 “가난하건 가멸차건 아이들이 저마다 제 삶을 그대로 바라보면서 새롭게 가꾸는 살림으로 나아가도록 생각을 짓는 마음을 북돋우려는 뜻”이었습니다. 우리는 일본스런 한자말 ‘作文’을 ‘글짓기’로 옮겼는데, 정작 우리 배움터(학교)는 ‘글만들기·글꾸미기’를 시켰어요. 이 탓에 이오덕 님은 ‘글쓰기’를 하자고 외쳤지요. 그런데 오늘날 ‘글쓰기 교육·학원’은 ‘삶을 스스로 살리는 생각길’이 아닌 ‘배움수렁(입시지옥)에 짜맞추어 길들이기’이기 일쑤입니다. 이 나라 ‘미술학원’도 매한가지라서, 미술학원에 한 발짝이라도 들이거나 ‘학교’를 다닐수록 ‘아이다운 그림결’이 망가지고, 틀에 박히면서 ‘멋진 그림 흉내’에 사로잡힙니다. 우리나라 그림책 가운데 ‘캐릭터’가 아닌 ‘그림’을 스스로 마음이 흐르는 결을 헤아리면서 즐겁게 펼치는 어른은 몇이나 될까요? 붓을 쥔 아이들은 어디에고 슥슥 그리고 쓰며 노는 나날을 누리면서 자라기에, 다 다르게 제 붓놀림을 익히고 빛결을 알아챕니다만, 미술학원·학교가 짜맞추는 굴레에 갇혀 아름빛도 사랑길도 살림꽃도 잊은 채 껍데기만 이쁘장하게 꾸민다고 느껴요. 그림책이 그림책이러면 미술학원부터 없앨 노릇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수다 8 네 어른



  이제는 그림책을 챙겨 읽으려는 할머니나 할아버지가 늘어납니다. 때로는 할머니나 할아버지한테 그림책을 읽어 주는 젊은 길잡이가 늘어납니다. 모두 반갑습니다. 다만,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기를 바라요. 나라 곳곳 ‘그림책집(그림책 전문책방)’에서 ‘그림책 읽는 어머니’뿐 아니라 ‘그림책 읽는 아버지’랑 ‘그림책 읽는 할머니’랑 ‘그림책 읽는 할아버지’ 모임을 꾸릴 수 있기를 바라요. 또는 “그림책 읽는 ‘네 어른(어머니·아버지·할머니·할아버지)’ 모임”을 꾸린다면 더없이 반갑습니다. 아이는 어머니 혼자 못 낳고 아버지 혼자도 못 낳아요. 두 어버이가 사랑으로 만나야 낳을 뿐 아니라, 돌볼 수 있고, 함께 살림을 지어요. 사랑으로 아이를 낳아 어른으로 돌본 한어버이(할머니·할아버지) 두 분도 새삼스레 어린이책하고 그림책을 곁에 두면서 ‘아이를 사랑하는 어른’이라는 어질면 참하고 슬기롭고 착한 숨빛을 새롭게 북돋우면 반갑지요. 어질기에 할아버지요, 슬기롭기에 할머니요, 착하기에 아버지요, 참하기에 어머니란 이름이 어울리지 싶습니다. 때로는 슬기로운 할아버지에 어진 할머니가 있고, 참한 아버지에 착한 어머니가 있어요. 네 어른이 그림책으로 한마음을 북돋울 적에 마을빛이 깨어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그림책

그림책수다 7 작가·출판사 이름



  그림책이라는 책을 알아본 해는 1998년인데, 그림책을 제대로 누리고 싶어서 그린이·글쓴이·펴낸곳 이름을 눈여겨보았습니다. 새책집에서건 헌책집에서건 ‘이제부터 새로 만날 아름다운 그림책’을 헤아리면서 하나하나 찾고 읽었어요. 2008년에 큰아이를 낳고 2011년에 작은아이를 낳아서 돌보는데, 우리 집 아이들하고 그림책을 읽으면서 열두 살 때까지 ‘그린이·글쓴이·펴낸곳’ 이름을 안 알려주었습니다. 누가 쓰거나 그렸는가는 아이들한테 대수롭지 않아요. 어떤 그림이요 삶이 흐르고, 무슨 마음으로 사랑을 가꾸면서, 어느 살림자리에서 새길을 일구어 가느냐 하는 이야기를 누리기를 바라요. ‘아무개 그림’을 좋아하도록 이끌 마음이 없어요. ‘아름다운 그림’을 스스럼없이 알아보거나 살피기를 바라요. 아이도 어른도, 그림책을 ‘아름다운 그림·사랑스러운 이야기’로 만나지 않을 적에는 자꾸 ‘이름값 있는 그린이·펴낸곳’에 휘둘립니다. 오래오래 아름붓을 편다면 아름책이 한꾸러미 모일 수 있습니다만, 그린이로서도 늘 새롭게 붓끝을 살리도록 ‘이름값을 지우고서 읽을’ 적에 서로서로 마음길을 틔우고 마음빛을 열고 마음꽃을 피울 만하리라 봅니다. 오직 그림빛만으로 사랑을 느끼고 읽으며 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숨결하고 사람 (2022.5.23.)

― 서울 〈메종인디아〉



  마을논에서 이따금 고라니를 만납니다. 가볍게 소리를 내고는 폴짝폴짝 뛰고 달리는 고라니는 싱그러운 풀을 즐깁니다. 이 땅에 사람하고 뭇숨결이 어우러지던 지난날에는 고라니도 여우도 곰도 범도 고슴도치도 수달도 늑대도 함께 들빛을 머금으면서 보금자리를 일구었어요. 이제 웬만한 숲짐승은 삶터를 빼앗기면서 목숨을 모조리 잃었고, 고라니는 길에서 자꾸 치여죽습니다.


  고라니마저 이 땅에서 사라지면 사람은 얼마나 잘 살아갈 만할까요? 개구리도 두꺼비도 맹꽁이도 뱀도 이 땅에서 쫓겨나면 사람은 얼마나 아름답게 살아갈 만한가요? 이웃숨결을 잊는 만큼 이웃사람을 잊습니다.


  어느 곳에서 무엇을 하든 우리 넋은 늘 우리를 밝히는 빛이리라 생각해요. 누구를 만나 어떤 길을 가든 우리 얼은 늘 서로를 비추는 거울이리라 생각합니다. 사라지는 숲짐승을 바라보면서 들꽃 같은 사람들이 밀려나거나 밟히는 모습을 느낍니다. 삶터를 빼앗기는 새나 풀벌레나 풀꽃나무를 마주하면서 들풀 같은 사람들이 고달프거나 눈물짓는 모습을 느껴요.


  봄빛을 머금으면서 서울로 달립니다. 시외버스에서 ‘고라니’ 이야기를 노래꽃으로 씁니다. 사람인 이웃뿐 아니라 푸르게 어깨동무할 뭇숨결을 함께 헤아리기를 바라는 마음을 몇 줄 글에 얹습니다.


  오스카 와일드 님은 《저만 알던 거인》이라는 이야기를 남겼어요. 오늘 우리는 “저만 알던 사람”이나 “저만 알던 사납이·글꾼·힘꾼·이름꾼·돈꾼”을 맞대어 볼 만하다고 느낍니다. “서로 알아가는 사이”로 나아가지 않을 적에는 수렁에 잠기다가 끝내 죽음구덩에 빠지리라 봅니다.


  시외버스에서 내려 전철을 갈아타고서 〈메종인디아〉로 찾아갑니다. 봄이 무르익으니 입가리개를 벗고서 햇볕하고 사귀는 터전으로 나아가기를 바라요. 나무도 멧새도 벌나비도 입가리개를 안 합니다. 사람도 홀가분히 털어내고서 만나야지 싶어요. 서울 한복판을 거닐다 보면 부릉부릉 매캐해서 돌림앓이 탓이 아니라 그저 숨이 막히기는 합니다만, 목소리를 낼 말길도 나란히 열어야지 싶고요.


  저마다 다른 책은 저마다 다른 목소리입니다. 저마다 다른 삶을 저마다 다른 눈길로 밝히면서 저마다 새롭게 꿈을 키우기에 온갖 책이 태어나요. 어느 들꽃도 다른 들꽃을 흉내내지 않듯, 우리는 누구나 스스로 살아가는 오늘을 글로 옮기기에 아름답습니다. 어느 나무도 우쭐거리거나 혼자만 살려고 하지 않듯, 우리는 다 다른 숱한 책을 두루 사랑하고 품을 적에 어질며 참한 어른으로 설 만합니다. 


ㅅㄴㄹ


《홍차와 장미의 나날》(모리 마리/이지수 옮김, 다산책방, 2018.10.19.)

《세 갈래 길》(래티샤 콜롱바니/임미경 옮김, 밝은세상, 2017.12.15.)

《내가 좋아하는 것들, 산책》(이정하, 스토리닷, 2022.4.2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원미글숲 (2022.5.25.)

― 부천 〈용서점〉



  탈을 쓴다고 해서 속빛이 바뀌지 않습니다. 탈을 쓰면 ‘탈차림’일 뿐입니다. 여우탈을 쓰기에 여우가 되지 않고, 사람탈을 쓰기에 사람이 되지 않아요. 그럴싸한 옷을 입기에 그럴싸한 사람이 되지 않습니다. 멋지다는 부릉이를 몰기에 멋진 사람이 될까요? 훌륭하다는 책을 읽기에 훌륭한 사람이 될까요?


  스스로 마음에 사랑이라는 씨앗을 차근차근 심기에 사랑스러운 사람입니다. 사랑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마음을 스스로 밝히기에 기꺼이 손을 내밀 뿐 아니라 어깨동무를 하면서 온누리에 빛줄기를 드리워요. 사랑이란 마음으로 책을 쥐기에 어느 책을 펴든 스스로 피어나고 자라납니다. 사랑이란 마음이 없이 책을 잡기에 대단하거나 놀랍거나 아름답다는 책을 펴지만, 막상 우리 삶을 추스르지 못 합니다.


  서울(도시)에는 ‘숲인 척하는’ 쉼터(공원)가 곳곳에 있습니다. 그러나 서울이든 시골이든 ‘그저 숲인 숲’이 있어야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을 테지요. 껍데기로는 껍데기예요. 허울로는 허울입니다. 알맹이여야 알맹이입니다.


  부천 〈용서점〉에서 ‘수다꽃’을 함께 지피면서 생각합니다. 용지기님은 이 마을책집이 ‘원미글숲’이 되기를 꿈꿉니다. 누구나 스스럼없이 찾아와서 책을 읽고 사고 나누고 이야기를 들려주고 들으면서 무럭무럭 자라는 나무 한 그루로 서기를 바라지요.


  우리는 서로 다 다른 나무입니다. 다 다른 터전에서 다 다르게 삶을 누리면서 살림을 일구는 다 다른 나무예요. 우리가 어른이라면, 오늘 할 몫이란, ‘봄(보기·보다)’이라고 느낍니다. 지켜보고 살펴보고 돌아보고(돌보고) 마주보고 알아보고 찾아보고 즐겨볼 줄 아는 마음이기에 넉넉합니다. 우리가 아이라면, 오늘 할 놀이란, ‘그림(그리기·그리다)’이라고 느껴요. 하루를 그리고 생각을 그리고 이야기를 그리면서 웃음꽃을 그립니다.


  마음을 빛내는 분이라면 누구나 마음빛을 누릴 만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하늘빛하고 풀빛하고 눈빛을 문득 마음으로 듣고서, 가만히 옮겨적거나 풀어내는 징검다리라는 길을 걸어가려고 합니다. 풀꽃이 들려주는 말을 글로 옮깁니다. 나무가 속삭이는 말을 글로 얹습니다. 새가 알려주는 말을 글로 엮습니다. 별빛이 노래하는 말을 글로 가꿉니다.


  글숲을 지을 수 있고, 책숲을 세울 수 있어요. 말숲을 익힐 수 있고, 살림숲을 돌볼 수 있습니다. 사랑숲으로 모일 수 있고, 푸른숲으로 삶자리를 열 수 있어요. 씨앗 한 톨을 손바닥에 올리듯 책 한 자락을 가만히 집고서 생각숲으로 들어섭니다.


ㅅㄴㄹ


《문학상 수상을 축하합니다》(도코 고지 외/송태욱 옮김, 현암사, 2017.6.30.)

《나의 수채화 인생》(박정희, 미다스북스, 2005.3.31.)

《자연과 지식의 약탈자들》(반다나 시바/한재각 외 옮김, 당대, 2000.1.20.첫/2000.10.30.3벌)

《천천히 스미는》(G.K.체스터튼 외/강경이 옮김, 봄날의책, 2016.9.20.첫/2016.10.10.2벌)

《基督敎敎育의 課題》(D.C.Wyckoff/전택부 옮김,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57.9.15.첫/1981.3.15.3벌)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조수미, 제일미디어, 1994.6.25.)

《믿음의 名詩》(김희보 엮음, 종로서적, 1984.8.10.)

《복음주의적 학생운동》(올리버 바클레이/한화룡 옮김,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85.2.22.)

《모두를 위한 권리, 한 권으로 읽는 기본소득》(윤지영·김예슬, 나눔문화, 2020.12.14.)

《솔직히 말하자》(김남주, 실천문학사, 1989.11.25.)

《경건 생활의 기초》(에이 W.토저/강귀봉 옮김, 생명의말씀사, 1974.12.25.첫/1985.7.25.4벌)

《미스터 뱃맨의 一生》(존 번연/박화목 옮김, 대한기독교출판사, 1977.3.10.)

《권위》(마틴 로이드 죤스/김성수 옮김, 생명의말씀사, 1978.4.20.)

《귀로 웃는 집》(임영조, 창작과비평사, 1997.1.20.첫/2005.10.15.4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