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별빛을 머금은 밤 (2018.4.1.)

― 도쿄 진보초 〈書泉〉


  며칠 동안 아침부터 저녁까지 걷고, 책집에 들고, 다시 걷고, 책집에 들고, 묵직하게 장만한 책을 길손집에 부린 다음, 다시 걷고, 책집에 들고 했습니다. 이렇게 쉬잖고 책집마실을 하노라니 온몸이 뻑적지근합니다. 1분이며 1초를 알뜰히 누리고 싶기는 하지만 몸이 들려주는 소리를 받아들여 길손집에서 두 시간쯤 뻗기로 합니다. 자리에서 일어나 밖을 내다보니 깜깜합니다. 몸은 개운한데 진보초 책집은 모두 닫았으려나 걱정스럽습니다. ‘아직 모르는 일이야’ 하고 여기면서 사진기랑 등짐을 챙겨 부랴부랴 책집골목을 걷습니다. 생각대로 거의 닫았는데 꼭 한 곳은 불빛이 환합니다. 늦게까지 손님을 받는다는 〈書泉〉이 있군요. 여러 층짜리 커다란 책집입니다. 별이 뜬 저녁에 이 거리에서 책을 만난다니 새삼스럽습니다. 층마다 달리 갖춘 숱한 책을 봅니다. 기차즐김이를 헤아린 ‘기차 책’만 모은 칸에는 기찻칸에 있었다는 걸상까지 있습니다. 기차 걸상을 모으는 사람이 꽤 있는 듯합니다.


  2층은 오로지 만화책만 있습니다. 헌책은 없고 새책만 있기에 예전 만화책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갓 나와 널리 팔리는 만화책을 갖추었습니다. 한글로 옮기지 않은 ‘오자와 마리’나 ‘타카하시 루미코’ 만화책이 있나 하고 살피지만, 아쉽게 한 가지도 없습니다. 그러나 테즈카 오사무 님 큼직한 그림판이며, 후지코 후지오 님 《チンプイ》랑 코노 후미오 님 《ぼおるぺん 古事記》를 보고는 냉큼 집어듭니다. 오늘 이곳에서가 아니라면 만나기 어렵겠지요. 아마존 누리책집에서 살 수 있는지 모르나 눈앞에서 살살 쓰다듬으며 고르는 책일 적에 한결 애틋합니다. 질끈 동여매어 우리 집까지 나르는 사이에 더 마음으로 스미는 셈일까요.


  책집인 만큼 〈書泉〉 책시렁 곳곳에는 글쓴님이나 그린님이 남긴 손글씨가 붙습니다. 지은이·읽는이가 만나는 자리에서‘책집에 남기는 글씨·그림’으로 써 주었을 테지요. 마을책집에서는 이 같은 손글씨를 자랑할 만하고, 척 붙이거나 걸어서 즐겁게 나눌 만합니다. 책은 줄거리로만 읽지 않아요. 줄거리를 엮는 손끝에 흐르는 상냥하면서 사랑스레 피어나는 즐거운 눈빛을 함께 읽습니다. 우리말로 ‘책샘’인 〈書泉〉이 불을 끄고 여닫이를 잠글 무렵 책값을 셈하고 나옵니다.


《手塚治蟲 文庫全集 143 空氣の低》(手塚治蟲, 講談社, 2011)

《日本發狂》(手塚治蟲, 秋田書店, 1999)

《手塚治蟲 ヴィンテ-ジ·ア-トワ-クス 漫畵編》(手塚治蟲, 立東舍, 2017)

《チンプイ 1》(藤子·F·不二雄, 小學館, 2017)

《チンプイ 2》(藤子·F·不二雄, 小學館, 2017)

《チンプイ 3》(藤子·F·不二雄, 小學館, 2018)

《チンプイ 4》(藤子·F·不二雄, 小學館, 2018)

《ぼおるぺん 古事記 1 天の卷》(こうの史代, 平凡社, 2011)

《ぼおるぺん 古事記 2 地の卷》(こうの史代, 平凡社, 2012)

《ぼおるぺん 古事記 3 海の卷》(こうの史代, 平凡社, 2013)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발길이 머물다 (2018.1.6.)

― 대구  〈대륙서점〉


  드문드문 대구마실을 할 적이면 으레 〈대륙서점〉을 찾습니다. 대구 계신 이웃님더러 이 아름책집에 틈틈이 나들이 해보시라 여쭙는데, 이곳을 찾아갈 적마다 주머니가 탈탈 털리면서도 흐뭇합니다. 삶을 새롭게 바라보고, 어제를 오늘로 이으며, 이 하루를 앞으로 힘껏 가꾸는 슬기로운 빛을 헌책자락에서 배우거든요. 모든 빛은 어제 태어났고, 오늘 마주하는 빛은 모레로 나아가는 즐거운 숨결입니다.


《못 다 가르친 역사》(김남선, 석탑, 1988)

《부싯돌, 이야기로 엮은 겨레의 뿌리》(고동영, 한뿌리, 1988)

《볼쇼이발레》(유리 슬로님스키/오화진·최영숙 옮김, 월인출판사, 1988)

《바람 세례》(김남조, 문학세계사, 1988)

《한국어와 몽고어와의 접미사비교연구》(김형수, 형설출판사, 1981)

《숨어 사는 섬》(정다운, 나무, 1988)

《이상소설전작집 1》(문학사상자료연구실 엮음·이어령 교주, 갑인출판사, 1977)

《이상소설전작집 2》(문학사상자료연구실 엮음·이어령 교주, 갑인출판사, 1977)

《journey into China》(national geographic, 1982)

《Art through the Ages(7th edition)》(harcourt brace jovanovich, 1980)

《普通學校 國史 兒童用 上卷》(朝鮮總督府, 1923첫/1927고침)

《普通學校 國史 兒童用 下卷》(朝鮮總督府, 1924첫/1927고침)

《中學新植物 乙要目用》(東京開成館編輯所 엮음, 東京開成館, 1935)

《新定 中學理科 一般理科篇》(文部省, 中文館, 1933)

《中等敎育 修身書 卷三》(里見三男, 朝鮮總督府, 1908첫/1939고침)

《尋常 小學算術 第六年兒童用 上》(文部省, 朝鮮總督府, ? 1940년 언저리)

《路和辭典》(岩波書店, 1935 첫/1953 12찍음)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1. 양계편》(육군본부, 1961)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2. 양돈》(육군본부, 1961)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3. 토끼와 오리 기르기》(육군본부, 1963)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4. 산양 및 면양 사육법》(육군본부, 1963)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5. 꿀벌 기르기》(육군본부, 1962)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6. 손쉬운 담수어 기르기》(육군본부, 1962)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7. 손쉬운 누에 기르기》(육군본부, 1962)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8. 원예편》(육군본부, 1963)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10. 임업, 버섯》(육군본부, 1963)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11. 국토개발, 젖소, 크로렐라》(육군본부, 1966)

《반달곰 미순이》(박화성 글·박서보 그림, 동화출판공사, 1982)

《한국교육십년사》(한국교육십년사간행회, 풍문사, 1960)

《닫힌 교문을 열며》(장산곶매, 예건사, 1992)


― 대구  〈대륙서점〉

대구 중구 태평로 228-1

053.423.1836.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말길을 찾아서 (2020.6.26.)

― 충남 천안 〈갈매나무〉


  열일곱 달 만에 천안마실을 합니다. 얼핏 열일곱 달은 긴 듯하면서, 지나고 보면 어제 같습니다. 마음에 없는 사이라면 날마다 마주하더라도 고달프면서 지겨울 테지만, 마음에 있는 사이라면 모처럼 마주하더라도 새롭게 웃으면서 이야기꽃을 지필 테지요. 이웃님 여섯 분한테서 밑돈을 얻어 〈갈매나무〉에 찾아옵니다. 조선총독부에서 낸 《朝鮮語辭典》을 장만하려는 길입니다. 1920년에 처음 나온 사전에 왜 1928년 책자취가 찍혔는지 모르지만 이제 제 곁에 이 사전을 두면서 말길을 새롭게 여미는 동무로 삼을 수 있습니다.


  해묵은 사전을 왜 뒤적이느냐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만, 우리가 쓰는 ‘우리·쓰다·말·나무’ 같은 낱말이 얼마나 오래되었는가를 헤아릴 길이 없어요. 우리 마음이 스미면서 살갑고 따스하고 즐겁게 쓰는 모든 말은 하나같이 해묵은 낱말입니다. 우리는 해묵은 낱말에 새로운 빛줄기를 생각이라는 씨앗으로 심어 마음에 놓기에 도란도란 이야기를 합니다.


  오랜 책길이 새로운 손길로 피어납니다. 오래 이은 책넋이 새로 짓는 숨결로 자라납니다. 오래 다스린 살림이 새로 가꾸는 사랑으로 잇닿습니다. 오래오래 사귄 사이는 두고두고 너나들이로 흐르면서 어깨동무라는 꽃길을 이끕니다.


  말길을 찾아서 책숲마실을 다닙니다. 말밑을 찾아서 이 나라 숱한 책집을 떠도는 동안 고맙게 곁책을 만납니다. 《조선어사전》을 사러 〈갈매나무〉에 왔다가 다른 책도 잔뜩 보는데요, 《아르미안의 네 딸들》도 품고 싶었으나 그렇게 하기에는 주머니가 탈탈 털려서 손가락만 쪽 빼물었습니다. 오늘은 품지 못하더라도 다음에 고이 품는 날이 있겠지요.


《朝鮮語辭典》(朝鮮總督府, 1928/1932)

《中等漢文讀本 卷一》(김경돈 엮음, 동방문화사, 1947)

《中等漢文讀本 卷二》(김경돈 엮음, 동방문화사, 1949)

《高等小學 算術書 第二學年 兒童用》(文部省, 1932)

《尋常 小學國史 上卷》(文部省, 1920)

《키리히토 찬가 3》(테즈카 오사무/서현영 옮김, 학산문화사, 2001)

《落弟生의 글과 그림》(민관식, 아세아정책연구원, 1976)

《4月의 塔》(편찬위원회, 세문사, 1967)

《톰의 별명은 위대한 두뇌》(죤.D피쯔제랄드/정돈영 옮김, 상서각, 1986)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김우중, 김영사, 1989)

《불타는 그린 1》(이상무, 서울문화사, 1997)

《에미는 先覺者였느니라, 羅蕙錫一代記》(이구열, 동화출판공사, 1974)

《모래 위에 쓴 落書》(김동명문집간행회 엮음, 김동명, 신아사, 1965)


― 충남 천안 〈갈매나무〉

충남 천안시 동남구 대흥로 280

041.555.850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오래된 숲 (2020.6.25.)

― 대전 〈중도서점〉


  2000년 첫무렵에 ‘북녘책을 누구나 사서 읽을 수 있는 길’을 나라에 여쭈어 처음으로 등록허가를 받고서, 서울역 곁에 ‘북한책 전문서점’을 연 〈대훈서적〉이 있습니다. 북녘책을 다루는 책집이라 하더라도, 북녘책을 사들일 길이 마땅하지 않습니다. 〈대훈서적〉 지기님은 몸소 연변에 찾아가서 북녘책을 몇 꾸러미씩 장만해서 하나하나 날랐고, 이렇게 날라온 책을 팔았지요. 사전짓기를 하는 길에 제가 곁에 두는 《조선말 대사전》(1992)은 ‘대훈서적 북한책 전문서점’에서 그때 104만 원을 치르고서 장만했습니다. 이제 대전이며 서울역 곁이며 〈대훈서적〉 자취는 찾아볼 길이 없습니다. 


  대전을 밝히는 헌책집거리는 두 곳이고, 대전역에서 가까운 〈중도서점〉은 두 거리 가운데 하나인데, 이곳만 이쪽 거리에서 꾸준히 책살림을 잇습니다. 〈중도서점〉은 2·3·4층을 헌책집으로 꾸리는데요, 2층을 돌아보다가 “대전 동구 중동 27-7” 〈大訓書籍〉 책싸개를 보았습니다. 《韓國敎育의 社會的 課題》(차경수, 배영사, 1987)를 싼 종이에 흐르는 옛자취를 쓰다듬습니다. 이 곁에는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마라》(윤재근, 둥지, 1990)를 감싼 “대전 중동318 홍명상가 1층 103호” 〈홍명서림〉 책싸개가 있어요. 책보다 책싸개가 값질 때가 있습니다.


  대전 동구는 오랜골목이 깃든 터전입니다. 빈집이 수두룩하고 빈가게도 많습니다. 저잣거리를 북돋우려는 물결이 있구나 싶으면서도 대전시에서 실타래를 잘 못 잡네 하고 느낍니다. 오랜골목에 75층짜리 아파트를 세우면 젊은이가 찾아들고 나아지는 터가 될까요? 《대전 태평국민학교》 18회(1988) 졸업사진책을 보면서 1987년에 6학년이던 대전 어린이를 빛깔사진으로 만납니다. 제 또래 모습을 담은 졸업사진책은 처음인데, 그즈음 대전 어린이는 이런 옷차림이었네 싶어 새삼스럽습니다. 그때 인천 어린이도 옷차림이 비슷했습니다.


  정갈하게 추스른 책꽂이마다 빈틈이 없습니다. 어제를 이은 오늘을 되새기고 앞날을 살피려는 눈썰미가 있다면, 이곳에서 새 발자국을 읽을 만합니다. 오래되기에 숲을 이룹니다. 새롭게 싹이 트기에 봄여름이 짙푸릅니다. 오래된 숲에서 푸나무가 새롭게 자라고, 새롭게 자란 푸나무는 오래된 숲을 새삼스레 북돋아요. 오랜골목을 살리는 슬기로운 길을 헌책집에서 엿봅니다.


《民族語의 將來》(김민수, 일조각, 1985)

《손에 손을 잡고, 노동자 소모임 활동사례》(이선영·김은숙, 풀빛, 1985)

《학위 수여자 명단, 1975학년도 전기》(고려대학교, 1976)

《호수돈여자고등학교》 졸업장(1975.1.10.)

《國漢 最新漢字玉篇》(文生 엮음, 인창서관, 1964)

《대전 태평국민학교》 18회(1988)


― 대전 〈중도서점〉

대전 동구 대전로797번길 40

042.253.423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마실빛이 낳은 새길 (2020.6.25.)

― 대전 〈버찌책방〉


  제 등짐은 어릴 적부터 컸습니다. 1982년부터 1987년까지 다닌 국민학교에는 책칸이나 짐칸이 따로 없으니 누구나 모든 교과서하고 공책을 날마다 이고 지고 다녔어요. 그때에는 교과서·공책뿐 아니라 숙제도 많고 폐품도 으레 학교에 바쳐야 했습니다. 그무렵 어린이는 어린이라기보다 ‘어린 짐꾼’이었습니다. 중·고등학교를 다닐 무렵에는 배울 갈래가 잔뜩 늘었고 참고서에다가 문제집에다가 사전까지 늘 짊어집니다. 등짐 하나로는 모자라 둘을 챙겨야 하던 판입니다. 학교를 마친 뒤에는 신문을 돌리느라 이 몸이 쉴 겨를이 없습니다. 손잡이가 휘청할 만큼 신문을 자전거 앞뒤에 싣고서 달렸고, 일을 마친 다음에는 헌책집을 다니면서 다시금 종이짐을 한가득 꾸리며 살았습니다. “뭐 하는 분이세요?” 하고 묻는 분이 많아서 빙긋 웃으면 “멧골 다녀오셨어요?”나 “여행 다니세요?” 하고 더 묻습니다. 다시 빙그레 웃으며 “사전을 씁니다. 우리말사전, 또는 한국말사전, 또는 배달말사전을 쓰지요. 제 등짐이나 끌짐에는 모두 책을 담았습니다.” 하고 대꾸합니다.


  따로 여행을 다니지 않기에 ‘여행에서 얻는 느낌’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다만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던 때에는 ‘이 깜깜한 나라에 앞날이 있을까’ 하고 물었고, 신문을 돌리던 즈음에는 ‘이 메마른 땅에 꽃이 필까’ 하고 물었으며, 아이를 낳아 살림을 꾸리는 오늘은 ‘이 매캐한 마을에 숲을 심자’ 하고 되새깁니다.


  사전이라는 책을 씁니다만, 제가 쓰는 글로 엮는 사전은 “아이하고 뛰놀고 날아다니고 노래하고 춤추고 웃고 떠들면서 소꿉잔치 벌이는 동안 스스로 길어올리거나 짓거나 찾아내는 사랑이라고 하는 빛살을 이야기로 여미는 꾸러미”가 되기를 바랍니다. 책마실을 다니는 길에는 늘 이 대목만 생각합니다.


  대전 기스락에 깃든 〈버찌책방〉은 냇물 하나 건너면 〈책방 채움〉을 만날 만큼 서로 가깝습니다. 더구나 두 책집이 문을 연 때도 비슷하답니다. 살구도 오얏도 복숭아도 딸기도 오디도 아닌 버찌가 맺는 책집인데요, ‘버찌’란 열매를 마주할 적에는 《버찌가 익을 무렵》을 쓴 옛어른이 떠오릅니다. 배고픈 멧골아이가 학교 한켠에 자라는 벚나무에 맺는 버찌로 배를 채우려다가 교장샘한테 들켜 꾸중 듣는 모습을 보고는, 아이들을 불러서 벚나무에 타고 올라 “얘들아, 너희 마음껏 나무를 타고서 이 열매를 누리렴. 이 열매는 새랑 너희 몫이란다.” 하고 노래한 옛어른. 〈버찌책방〉은 책으로 싱그러운 들내음을 나누는 들꽃다운 자리일 테지요.


《머나먼 여행》(에런 베커, 웅진주니어, 2014)

《혁명노트》(김규항, 알마, 2020)

《여자에게 여행이 필요할 때》(조예은, 카시오페아, 2016)

《말도 안 돼!》(미셸 마켈 글·낸시 카펜터 그림/허은미 옮김, 산하, 2017)

《출근길에 썼습니다》(돌고래, 버찌책방, 2020)


― 대전 〈버찌책방〉

대전 유성구 지족로349번길 48-7

http://instagram.com/cherrybooks_201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