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발길이 머물다 (2018.1.6.)

― 대구  〈대륙서점〉


  드문드문 대구마실을 할 적이면 으레 〈대륙서점〉을 찾습니다. 대구 계신 이웃님더러 이 아름책집에 틈틈이 나들이 해보시라 여쭙는데, 이곳을 찾아갈 적마다 주머니가 탈탈 털리면서도 흐뭇합니다. 삶을 새롭게 바라보고, 어제를 오늘로 이으며, 이 하루를 앞으로 힘껏 가꾸는 슬기로운 빛을 헌책자락에서 배우거든요. 모든 빛은 어제 태어났고, 오늘 마주하는 빛은 모레로 나아가는 즐거운 숨결입니다.


《못 다 가르친 역사》(김남선, 석탑, 1988)

《부싯돌, 이야기로 엮은 겨레의 뿌리》(고동영, 한뿌리, 1988)

《볼쇼이발레》(유리 슬로님스키/오화진·최영숙 옮김, 월인출판사, 1988)

《바람 세례》(김남조, 문학세계사, 1988)

《한국어와 몽고어와의 접미사비교연구》(김형수, 형설출판사, 1981)

《숨어 사는 섬》(정다운, 나무, 1988)

《이상소설전작집 1》(문학사상자료연구실 엮음·이어령 교주, 갑인출판사, 1977)

《이상소설전작집 2》(문학사상자료연구실 엮음·이어령 교주, 갑인출판사, 1977)

《journey into China》(national geographic, 1982)

《Art through the Ages(7th edition)》(harcourt brace jovanovich, 1980)

《普通學校 國史 兒童用 上卷》(朝鮮總督府, 1923첫/1927고침)

《普通學校 國史 兒童用 下卷》(朝鮮總督府, 1924첫/1927고침)

《中學新植物 乙要目用》(東京開成館編輯所 엮음, 東京開成館, 1935)

《新定 中學理科 一般理科篇》(文部省, 中文館, 1933)

《中等敎育 修身書 卷三》(里見三男, 朝鮮總督府, 1908첫/1939고침)

《尋常 小學算術 第六年兒童用 上》(文部省, 朝鮮總督府, ? 1940년 언저리)

《路和辭典》(岩波書店, 1935 첫/1953 12찍음)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1. 양계편》(육군본부, 1961)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2. 양돈》(육군본부, 1961)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3. 토끼와 오리 기르기》(육군본부, 1963)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4. 산양 및 면양 사육법》(육군본부, 1963)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5. 꿀벌 기르기》(육군본부, 1962)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6. 손쉬운 담수어 기르기》(육군본부, 1962)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7. 손쉬운 누에 기르기》(육군본부, 1962)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8. 원예편》(육군본부, 1963)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10. 임업, 버섯》(육군본부, 1963)

《국민독본 농업축산 기술강좌 11. 국토개발, 젖소, 크로렐라》(육군본부, 1966)

《반달곰 미순이》(박화성 글·박서보 그림, 동화출판공사, 1982)

《한국교육십년사》(한국교육십년사간행회, 풍문사, 1960)

《닫힌 교문을 열며》(장산곶매, 예건사, 1992)


― 대구  〈대륙서점〉

대구 중구 태평로 228-1

053.423.1836.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