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집

 


  뒤꼍 땅뙈기를 밭으로 일구려고 틈틈이 삽과 쟁기로 파헤치곤 했다. 때때로 아주 커다란 돌덩이를 캐기도 한다. 이때에는 낑낑거리며 들어내고는 나중에 돌울을 쌓으려고 아무렇게나 던져 두곤 했다. 다른 일로 바쁘다가, 내팽개쳐진 돌덩이를 두어 달만에 들어서 돌울을 쌓던 엊그제, 커다란 돌덩이 밑에서 바글거리는 개미떼를 본다. 이 돌덩이 밑에도 개미집, 저 돌덩이 밑에도 개미집. 작은 돌 밑에도 개미집 있고, 조금 큰 돌 밑에도 개미집 있다.


  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개미집 구멍은 아주 작다. 문득 궁금해서 삽으로 쿡 찍어 ‘개미집 자른 모습’을 들여다보고 싶다고 생각하다가 그만둔다. 돌울을 쌓으며 물골을 내려고 하는데, 물골 자리에 있던 돌 밑마다 개미집이 어김없이 있다.


  개미들은 무척 커다란 벌레를 여럿이 들어 옮긴다고는 하나 ‘사람한테는 아주 작은 돌멩이’ 하나라 하더라도 여럿 아닌 수백이나 수천이 모여도 들어 옮기지 못한다. 모래로 이룬 언덕이라면 한 알씩 들어 날라 옮긴다 하지만, 한 덩어리 돌덩이나 바위라면 개미가 옮길 재주가 없으리라. 50층 높이쯤 되는 어마어마하게 큰 바위덩이가 있다고 생각해 보라. 이런 바위덩이를 수백 수천 수만 사람이 모인들 한꺼번에 짊어지고 옮길 수 있을까.


  네 식구 먹고살자며 밭을 일구고 물골을 낸다. 생각해 보니, 그토록 비가 퍼부었어도 이 돌덩이 밑에 있던 개미집에는 빗물이 스미지 않았으리라 느낀다. 그러면 개미들은 어디로 드나들었을까. 비가 올 적에는 빗물이 스미지 않도록 돌덩이 밑을 흙으로 꽁꽁 틀어막았을까. 나는 아무렇지 않게 돌을 집어 나른다. 한쪽에 돌울을 쌓는다. 개미들은 집뚜껑을 하루아침에 잃는다. 이른바 ‘미리 알리기’조차 없이 하루아침에 빼앗긴다. 수만이나 수십만에 이르는 개미들이 집을 잃는다. 수만이나 수십만에 이르는 개미들은 하루아침에 새 집을 찾아야 하고 새 보금자리를 지어야 한다.


  로라 잉걸스 와일더 님이 쓴 《초원의 집》 둘째 권 끝자락 이야기가 떠오른다. 너른 들판에 한 해 꼬박 걸려 알뜰히 짓고 밭까지 일구어 놓은 살림집을 이들 식구는 고스란히 내놓고 새 터로 떠나야 한다. 미국 정부에서 토박이들하고 협정을 맺어 ‘인디언 보호지구’를 마련하면서, 로라네 식구는 집을 하루아침에 잃어야 했단다. 로라네 아버지와 어머니는 한 해 동안 흘린 땀을 서운히 여기지 않는다. 거꾸로 보면, 북중미 토박이는 흰둥이한테 하루아침에 삶터와 일터와 꿈터를 몽땅 빼앗기지 않았는가.


  우리 시골마을조차 ‘4대강 사업’ 끄트머리 가운데 하나인 ‘시골 실개천 시멘트 처바르기’를 한다. 시골마을 논물이 흐르는 냇물 도랑을 뭐 하러 시멘트 들이부으며 ‘관광지 서울 청계천’ 비슷하게 만들어야 하는지 궁금하다. 그러나, 나라에서는 이루 셀 수 없도록 커다란 돈을 들여 온 나라 물길을 시멘트로 처바른다. 냇물에서 살던 물고기 보금자리가 어떻게 되는지 걱정하지 않는다. 냇물이 보금자리였을 숱한 목숨들 삶과 사랑을 생각하지 않는다. 들새와 물새를 생각하지 않는 건설업이요 경제이며 정치이다. 지율 스님은 도룡뇽 한 마리 때문에 천성산에 뚫으려는 굴을 막으려 했다지만, 도룡뇽 한 마리 때문에 고속철도를 안 놓아야 마땅하다. 도룡뇽 한 마리로 대표하는 뭇목숨을 아끼고 사랑하자면 고속철도는 없어도 된다. 고속도로도, 공항도, 전철도, 학교도, 아파트도, 공장도, 골프장도, 핵발전소도, 화력발전소도, 도룡뇽 한 마리를 비롯해 뭇목숨을 살리고 아끼자면 구태여 안 지어도 된다.


  이틀쯤 지나 개미집 자리를 들여다본다. 개미 한 마리 안 보인다. 모두 잘 옮겼을까. 모두 새 터에 즐겁게 또아리를 틀었을까. 개미들아, 물골은 이곳에만 하나 낼게. 새 물골은 내지 않을 테니 걱정하지 말아 주렴. (4345.4.30.달.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뜨개실 되감기

 


  옆지기가 첫째 아이 긴양말을 뜨는데, 그만 첫 코에 떴어야 하는 바탕을 안 뜨고 지나치는 바람에 여러 날 애써 떴지만 다 풀고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단다. 나라면 어떡했을까. 그냥 모르는 척 끝까지 뜰까? 꼭 해야 하는 첫뜨기를 안 하고 마무리까지 한다면 양말이 어떻게 되려나. 엉망이 되려나. 미운 양말이 되려나.


  글을 쓰다가 어딘가 잘못 적은 대목이 있다면 제아무리 길게 쓴 글이라 하더라도 여러 차례 꼼꼼히 되읽으며 바로잡아야 한다. 어느 때에는 아예 처음부터 새롭게 다시 써야 한다. 책을 냈는데 어느 한 곳 잘못 찍힌 데가 있다면 어떻게 해서든 고치거나 손질해야 한다. 아니, 목숨이 걸린 일이라고 헤아려 보자. 모종을 거꾸로 심을 수 있을까. 어린나무로 키워 옮겨심기를 하는데 뒤집어 심어도 될까. 싹이 안 튼 감자를 씨감자로 삼을 수 있을까. 물고기 비늘을 안 벗기고 먹을 수 있을까.


  가야 할 길을 잘못 접어들었다면, 모로 가도 닿는다며 그냥 가도 될까. 잘못 접어든 줄 깨달았으면 제아무리 멀리 걸어왔어도 여태 걸어온 길을 하나하나 되짚으며 도로 걸어가서 제대로 가야 한다. 아이 양말 한 짝을 뜨던 일이면, 어쩌는 수 없이 모두 끌러 처음부터 다시 떠야 할 테지. 차근차근 짚으며 뜨고, 한 코 두 코 살뜰히 헤아리며 뜰 노릇이다. 천천히 짚으며 읽고, 한 줄 두 줄 올바로 생각하며 읽을 노릇이다.


  그나저나, 되감는 실빛이 곱고, 되감는 심부름하는 아이 손빛이 예쁘다. 옆지기 몰래 슬쩍 웃는다. (4345.4.27.쇠.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12-04-28 13:26   좋아요 0 | URL
긴양말도 뜨신다고요?와 대단하시네요
일상이 참 고와요

숲노래 2012-04-28 15:05   좋아요 0 | URL
그냥 재미나게 살아가고 싶을 뿐이랍니다~ ^^
 


 책으로 보는 눈 181 : 삶이 곧 시, 책이 바로 사랑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삼인,2012)를 엮은 이흥환 님은 “대개의 전쟁사가 전투 기록, 전략전술사로만 기술된 군사이거나 전쟁의 배경, 원인에만 치중한 정치사이다. 이런 기록은 생명력이 없다. 생명력이 없다는 것은 사람의 목소리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며, 생명력이 없는 기록은 그래서 잊히기 쉽다(164쪽).” 하고 이야기합니다. 나는 이 대목에 밑줄을 그으며 고개를 끄덕입니다.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이 죽었다 하더라도 이들 죽은 넋을 기리거나 돌이킬 수 있어야 역사일 텐데, 막상 수천 수만 수십만 수백만이 죽었다 하는 싸움터 이야기를 들출 때에 으레 남쪽으로 쳐들어왔다느니 누가 나쁜 놈이라느니 하는 목청만 높이기 일쑤예요. 서울 어느 동네에서 마구 철거를 하며 재개발을 하려 들 때에 그만 목숨을 잃은 사람들이 있는데, 정작 이들 슬픈 넋을 기리거나 달래는 몸짓은 없이 법이 어떻고 경제가 어떻고 하는 목소리가 드높기까지 해요.


  사람이 살아가는 터전인걸요. 사람이 모여 이루어지는 마을인걸요. 사람이 모여 이루어진 마을을 아우른다는 나라인걸요.


  민주와 평화를 바라던 1980년대 어느 날 어느 곳에 몇 천이나 몇 만이라는 숫자가 모였다고 이야기하는 일도 그리 달갑지 않습니다. 어느 집회나 어느 모임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모였다고 내세우는 일도 썩 반갑지 않습니다. 일본대사관 앞 수요집회에 천이나 만 사람쯤 모여야 한다고 느끼지 않아요. 다문 한 사람이 수요집회를 하더라도 틀림없이 수요집회이고, 이 집회를 몇 분이나 몇 시간에 걸쳐 한다고 적바림할 까닭이 없어요. 한 사람이 모였건 열 사람이 모였건, 모인 사람들 뜻을 살피고, 모인 사람들 삶을 귀기울여 들으며, 모인 사람들 눈망울과 마음결을 함께 읽을 수 있어야 아름답습니다.


  고정희 님 시집 《지리산의 봄》(문학과지성사,1987)을 다시 읽습니다. 오늘밤 이 시집을 다 읽고 덮을 텐데, 고정희 님이 당신 어머님한테 마지막 옷을 입히며 눈물을 적시는 이야기를 담은 시를 읽다가 “당신 칠십 평생 동안에 열린 산과 들의 숨소리가(수의를 입히며)”라는 글줄에 밑줄을 천천히 긋습니다. 전라남도 해남에서 흙을 일구던 늙은 어머니 몸과 마음에 깃들던 멧자락과 들판 내음을 맡을 수 있기에 이렇게 시를 썼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삶이 곧 시요, 시가 바로 삶이겠지요. 삶이 곧 글이며 그림이고 사진일 테지요.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이 바로 삶일 테지요. 사랑이 시로 태어나고, 시가 사랑으로 거듭납니다. 꿈이 글이라는 옷을 입고, 글이 꿈이라는 모습으로 다시 샘솟습니다.


  일본 전통놀이 ‘카루타’를 삶으로 받아들인 아이들이 나오는 만화책 《치하야후루》(스에츠구 유키 그림) 첫째 권을 읽으면 123쪽에, 카루타 학원 스승이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한테 “100명의 친구가 생겼다고 여기고, 사이좋게 지내라.” 하고 이야기합니다. 놀이나 경기라는 틀을 넘어, 마음으로 사귀는 좋은 벗으로 지내라는 뜻입니다. 대회에서 1등을 하거나 높은 성적을 거둘 생각으로 하는 일이 아니라, 날마다 웃음꽃으로 어깨동무할 벗하고 삶을 짓는 사랑입니다. 그러니까, 책읽기는 삶읽기이면서 사랑읽기요 꿈읽기입니다. (4345.4.25.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닐에 싸인 ‘겉속 바뀐’ 만화책

 


  만화책 《치하야후루》 셋째 권을 주문했다. 새책은 비닐에 곱게 싸였다. 즐겁게 뜯어서 읽는다. 그런데 어째 그림결이며 줄거리가 영 딴판이다. 무언가 하고 겉종이를 벗기고 보니, 겉종이는 《치하야후루》이지만 알맹이는 《미드나이트 카페》 둘째 권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길 수 있을까. 배본사에서 잘못했을까. 한꺼번에 나온 여러 가지 만화책을 만들다가 이런 잘못이 생겼을까. 책을 어찌 바꾸어야 하느냐 생각하다가 문득 떠오르는 다른 생각. 아, 이런 잘못은 출판사에 전화해 주어야 하는구나. 왜냐하면, 나 말고 다른 누군가 이렇게 엉뚱한 책을 받아볼 수 있을 테니까. 책을 보내온 곳으로도 ‘잘못된 책’인데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여쭈고, 출판사로도 전화해야겠다. (4345.4.25.물.ㅎㄲㅅㄱ)

 

 

.. 아아... 며칠을 기다려야 3권을 읽을 수 있을까 ㅠ.ㅜ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2-04-25 18: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4-25 21: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알라딘고객센터 2012-05-02 12:08   좋아요 0 | URL
불편드려 죄송합니다. 이미 1:1고객상담으로 문의주셔서 안내해드린것으로 조회됩니다.이후 상품평이 아닌 이용하시면서 불편하신 점은 1:1 고객상담을 이용해 주시면 됩니다. 편안한 시간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숲노래 2012-05-03 06:06   좋아요 0 | URL
어찌 보면 '재미난' 경험이었기에
이런 글도 하나 쓸 수 있었구나 싶어요.
고맙습니다~ ^^
 


 봄꽃을 읽는 책

 


  나는 어릴 적에 봄꽃이라 하면 ‘개나리’와 ‘진달래’라고 배웠습니다. 아니, 내 어릴 적 인천에서 봄에 보는 꽃은 으레 개나리와 진달래로 여겼습니다. 이야기책에서는 봄을 맞이해 ‘할미꽃’이 핀다고 말했습니다. 정작 봄에 할미꽃을 본 해는 서른여덟 해를 살며 몇 차례 되지 않으나, 스무 줄 끄트머리와 서른 줄 첫머리에 할미꽃 봄을 맞이한 적 있습니다. 고향에서 고등학교를 마치고 서울로 제금난 이듬해부터는 서울사람들이 말하는 봄꽃을 느끼는데, 서울사람은 으레 ‘벚꽃’으로 봄을 헤아립니다. 그렇지만 나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나라에서 벚나무를 도시 한복판에 심어 봄꽃놀이 즐기던 햇수가 얼마나 되는가요. 참말 이 나라에서 벚꽃을 구경하고 벚꽃잎 흩날리는 밑에서 사진을 찍어야 기쁜 봄맞이라 할 만할까요.


  스무 해나 서른 해쯤 자란 벚나무도 제법 우람합니다. 섬진강 둘레에서 벚꽃잔치를 열기도 하고, 나라 곳곳에서 벚꽃이 예쁜 데가 어디라는 둥 말이 많은데, 봄꽃잔치를 굳이 억지로 만들어야 한다고 느끼지 않아요. 왜냐하면, 봄꽃은 한 가지 꽃나무를 길가에 잔뜩 심어서 즐기는 봉우리가 아니니까요.


  봄꽃은 온 목숨이 고운 햇살을 받아 사랑스럽게 피우는 봉우리입니다. 갖은 꽃이 차례차례 피어나며 갖은 빛깔을 뽐냅니다. 더 짙거나 더 돋보이는 봄꽃은 없습니다. 저마다 아리땁게 입은 꽃잎으로 저마다 향긋한 내음을 베풉니다. 자그마한 들꽃들이 먼저 고개를 내밉니다. 이윽고 산수유와 매화가 봉우리를 터뜨리고, 잇달아 복숭아와 살구와 능금이 봉우리를 터뜨리며, 조팝나무랑 모과나무가 봉우리를 터뜨려요.


  높고 낮은 멧등성이 숲속에 멧벚나무 드문드문 어여쁩니다. 곁에서 아까시나무도 어여쁜 빛을 드러냅니다. 멧벚이나 아까시처럼 하얗거나 발그레한 빛깔은 아니지만, ‘푸른 꽃’을 피우는 나무들 새잎 또한 어여쁩니다. 느티나무 푸른 꽃이 어여쁩니다. 단풍나무 새 잎으로 푸른 물결이 어여쁩니다. 다 다른 나무들 다 다른 잎사귀와 봉우리가 온 들판과 멧자락을 울긋불긋 알록달록 무늬짓습니다.


  날마다 천천히 새 봉우리를 터뜨리는 우리 집 뒤꼍 모과나무를 바라봅니다. 아이들을 안고 꽃 앞에 코를 대어 냄새를 맡도록 합니다. 손가락으로 꽃잎을 한 장씩 쓰다듬으며, 아이 예쁘구나, 하고 소리내어 이야기합니다. 모과꽃에 뒤이어 감꽃이 찾아올 테지요. 이제 막 돋는 새 감잎을 하나씩 따서 옆지기와 아이하고 잘근잘근 씹어서 먹습니다. 감꽃이 피면 감꽃도 몇 송이 따서 먹을 생각입니다.


  바라보기만 해도 어여쁜 풀꽃과 나무꽃처럼, 아이들은 언제나 가만히 바라보기만 해도 어여쁜 목숨이라고 느낍니다. 한참 바라보다가는 잎사귀를 뜯고, 나무 둘레 풀을 뜯습니다. 아이들을 한참 바라보다가는 내 어린 날 내가 했던 놀이를 하나하나 떠올려 우리 아이들하고 놀자고 생각합니다.


  로라 잉걸스 와일더 님 《초원의 집》을 읽다가 살며시 덮습니다. 드넓은 들판 이야기를 아기자기하게 담아 멋스러운데, 막상 봄꽃 흐드러지는 이야기라든지, 봄풀 짙푸르다는 이야기는 얼마 나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로라 잉걸스 와일더 님은 바람소리를 이녁 글에 담아요. 햇살 소리와 냇물 소리를, 봄흙 소리를, 들짐승 소리를, 들새 소리를, 이녁 어머님과 아버님이 땀흘려 살림을 일구고 집을 지으며 밭을 돌보는 소리를 찬찬히 글로 빚어요. (4345.4.19.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