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701 | 1702 | 1703 | 170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알량한 말 바로잡기

 언급 言及


 언급을 회피하다 → 말을 꺼리다 / 말을 돌리다

 언급을 자제하다 → 말을 아끼다 / 말을 삼가다

 아무런 언급이 없다 → 아무 말이 없다

 강한 생활력을 언급했다 → 생활력이 뛰어나다고 말했다

 미술사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미술사를 말했다 / 미술사 얘기를 했다


  ‘언급(言及)’은 “어떤 문제에 대하여 말함”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한국말 ‘말하다’를 애써 한자로 뒤집어씌운 낱말인 셈입니다. 말을 할 적에는 ‘말하다’라 하면 됩니다. ‘얘기하다·이야기하다’라 해도 됩니다. 흐름을 살펴서 ‘다루다’나 ‘짚다’나 ‘밝히다’라 할 수도 있습니다. 4348.12.27.해.ㅅㄴㄹ



어떤 능력이 나타난다는 식의 언급을 자주 한다

→ 어떤 재주가 나타난다는 말을 자주 한다

→ 어떤 솜씨가 나타난다 같은 말을 자주 한다

《프랑신 페르랑/강현주 옮김-아이의 진실》(한울림,2003) 74쪽


일화 한 토막은 뒤에서 다시 쓰기로 하고 여기선 언급만 해 둔다

→ 이야기 한 토막은 뒤에서 다시 쓰기로 하고 여기선 살짝 밝히기만 해 둔다

→ 이야기 한 토막은 뒤에서 다시 쓰기로 하고 여기선 그냥 지나가겠다

→ 이야기 한 토막은 뒤에서 다시 쓰기로 한다

《정운현-임종국 평전》(시대의창,2006) 150쪽


앞서 언급한 것처럼

→ 앞서 말한 것처럼

→ 앞서 말했듯이

→ 앞서 다룬 대로

→ 앞서 이야기한 대로

《노인향-자연생태 개념수첩》(자연과생태,2015) 51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폐쇄적


 폐쇄적 구조 → 닫힌 얼개 / 막힌 얼거리

 폐쇄적 사회 → 닫힌 사회 / 갑갑한 사회

 폐쇄적 환경 → 닫힌 환경 / 꽉 막힌 환경

 폐쇄적인 성격 → 닫힌 성격 / 꽉 막힌 성격


  ‘폐쇄적(閉鎖的)’은 “외부와 통하거나 교류하지 않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외부(外部)’는 ‘바깥’을 가리키고, ‘통(通)하다’는 ‘흐르다’를 가리키며, ‘교류(交流)’는 ‘서로 오가다’를 가리킵니다. 그러니까 바깥으로 흐르거나 바깥하고 서로 오가지 않는 모습을 ‘폐쇄적·폐쇄’로 나타낸다고 할 텐데, 이를 나타내는 한국말로는 ‘닫히다’하고 ‘막히다’가 있습니다. 때로는 ‘갑갑하다’나 ‘답답하다’로 나타낼 만하고, ‘묶이다’나 ‘매이다’로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4348.12.27.해.ㅅㄴㄹ



그만큼 폐쇄적이고 정적인 생활관습이라고 할까요

→ 그만큼 닫히고 고요한 버릇이라고 할까요

→ 그만큼 막히고 고요한 삶이라고 할까요

《조태일-고여 있는 시 움직이는 시》(전예원,1980) 194쪽


폐쇄적이고 유교의 윤리에 매여 있었던

→ 꽉 막히고 유교 윤리에 매였던

→ 꼭 닫히고 유교 윤리에 매였던

→ 꽁꽁 묶이고 유교 윤리에 매였던

《고도원 외-아버지가 버렸다》(오상사,1983) 41쪽


의외로 폐쇄적인걸

→ 뜻밖에 꽉 막혔는걸

→ 뜻밖에 꽁 하는걸

→ 생각과 달리 막혔는걸

→ 생각 밖으로 좀스러운걸

《시무라 다카코/설은미 옮김-방랑 소년 3》(학산문화사,2007) 133쪽


모두 믿을 수 없다고 판단하는 건 너무 폐쇄적인 생각이 아닐까 싶구나

→ 모두 믿을 수 없다고 여긴다면 너무 닫힌 생각이 아닐까 싶구나

→ 모두 믿을 수 없다고 본다면 너무 막힌 생각이 아닐까 싶구나

《야마시타 카즈미/서현아 옮김-천재 유교수의 생활 29》(학산문화사,2012) 15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 기리시마의 나무


기리시마의 나무는 다 크고 다 높았다

→ 기리시마는 나무가 다 크고 다 높았다

→ 기리시마에 있는 나무는 다 크고 다 높았다

《손민호-규슈 올레》(중앙북스,2015) 169쪽


  이 자리에서는 ‘-는’이라는 토씨를 붙이거나 ‘-에 있는’이나 ‘-에서 자라는’을 붙여야 알맞습니다. 또는 “기리시마 나무”처럼 쓰면 돼요. 이를테면, 서울에서 자라는 나무라면 “서울 나무”이고, 설악산에 있는 나무라면 “설악산 나무”입니다.


용선생의 설명이 끝나자

→ 용선생이 설명을 끝내자

→ 용선생이 얘기를 끝내자

→ 용선생이 말을 끝내자

《금현진·손정혜·이우일-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사회평론,2012) 135쪽


  ‘-의’만 덜어서 “용선생 설명이 끝나자”처럼 적을 수 있습니다. 토씨를 ‘-이’로 고쳐도 되고요. ‘설명(說明)’은 ‘얘기’나 ‘이야기’나 ‘말’로 손질합니다.


몇 번의 고비가 있었지만

→ 몇 번 고비가 있었지만

→ 몇 번씩 고비가 있었지만

→ 몇 번이나 고비가 있었지만

《김은형-끈질긴 삶터 달동네》(한겨레출판,2015) 229쪽


  “몇 번 고비”로 적으면 되고, 힘주어 말하고 싶다면 “몇 번씩”이나 “몇 번이나”나 “몇 번씩이나”처럼 한 마디씩 더 붙여서 적으면 됩니다.


바다 너머의 나라와 교역을 했을 거라고 해

→ 바다 너머 나라와 교역을 했다고 해

→ 바다 너머에 있는 나라와 교역을 했다고 해

《김영숙-땅에서 찾고 바다에서 건진 우리 역사》(책과함께어린이,2012) 37쪽


  ‘-의’를 안 붙여도 되는 자리에 자꾸 ‘-의’를 붙이는 버릇을 털어야지 싶습니다. 꼭 토씨를 붙이고 싶다면 ‘-에’를 붙인 다음에 “바다 너머에 있는”처럼 써 볼 수 있습니다. 4348.12.27.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 한자의 쓰임새


그 바람에 한자의 쓰임새도 함께 커졌어

→ 그 바람에 한자도 쓰임새가 함께 늘었어

→ 그 바람에 한자를 쓸 일도 함께 늘었어

《강창훈-세 나라는 늘 싸우기만 했을까?》(책과함께어린이,2013) 91쪽


  “한자 쓰임새도”처럼 써도 잘 어울립니다. 토씨 자리를 바꾸어 “한자도 쓰임새가”처럼 쓰면 글흐름이 한결 부드럽게 이어지고요.


겨우 스무 살의 나이에 당나라의 장군이 되었어

→ 겨우 스무 살 나이에 당나라 장군이 되었어

→ 겨우 스무 살에 당나라에서 장군이 되었어

《강창훈-세 나라는 늘 싸우기만 했을까?》(책과함께어린이,2013) 54쪽


  ‘-의’ 없이 쓰면 됩니다. “스무 살 나이”이거나 “두 살 나이”이거나 “마흔 살 나이”입니다. 그리고 “당나라 장군”이나 “일본 장군”이나 “러시아 장군”처럼 쓰면 되지요.


《팔만대장경》은 한국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야

→ 《팔만대장경》은 한국에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야

→ 《팔만대장경》은 한국에서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야

→ 《팔만대장경》은 한국이 자랑할 문화유산이야

《강창훈-세 나라는 늘 싸우기만 했을까?》(책과함께어린이,2013) 84쪽


  자랑스럽다고 할 적에는 어디‘에’ 자랑스럽거나 어디‘에서’ 자랑스러운가를 밝힙니다. 말꼴을 바꾼다면 어떤 사람(나라)‘이(가)’ 자랑스러워 하는가를 밝힐 만할 테지요.


어느새 삶의 습관이 달라지고 소박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게 된다

→ 어느새 삶이 달라지고 수수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게 된다

→ 어느새 버릇이 달라지고 수수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다

《스콧 새비지 엮음/강경이 옮김-그들이 사는 마을》(느린걸음,2015) 67쪽


  “삶의 습관”이란 무엇일까요? 글흐름을 살피면 “삶이 달라지고”나 “버릇이 달라지고”처럼 적으면 됩니다. ‘습관(習慣)’은 ‘버릇’으로 손보고, ‘소박(素朴)하게’는 ‘수수하게’로 손봅니다. 4348.12.26.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374 : 물기 있는 습한 곳



물기 있는 습한 곳

→ 물기 있는 곳

→ 물기 많은 곳

→ 축축한 곳


습(濕)하다 : 메마르지 않고 물기가 많아 축축하다



  외마디 한자말 ‘습하다’는 “물기가 많아 축축하다”를 뜻한다고 하는데, 한국말 ‘축축하다’는 “물기가 있어 젖은 듯하다”를 뜻합니다. 그러니 한국말사전에 실린 뜻풀이는 겹말입니다. “물기가 많다”라고만 적든지 “물기가 많거나 축축하다”로 적어야 합니다. 그냥 물기가 있으면 “물기가 있다”나 ‘축축하다’라 하면 되고, 물기가 많으면 “물기가 많다”라 하면 됩니다. 4348.12.25.쇠.ㅅㄴㄹ



물기 있는 습한 곳에서 산다

→ 물기 있는 곳에서 산다

→ 축축한 곳에서 산다

《노인향-자연생태 개념수첩》(자연과생태,2015) 63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701 | 1702 | 1703 | 170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