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5.

오늘말. 마음


모든 노래에 흐르는 가락은 우리 마음입니다. 슬프거나 기쁘다고 여기는 마음을 가락에 얹어요. 신가락이나 신명가락일 수 있고, 눈물노래나 슬픔노래일 수 있습니다. 모든 글에 감도는 빛은 우리 마음입니다. 반갑거나 아프다고 여기는 빛을 글로 옮겨요. 기쁨글이나 웃음글일 수 있고, 멍울글이나 고름글일 수 있습니다. 누구나 넋을 입은 몸입니다. 우리 얼은 반짝이는 냇물이나 바닷물처럼, 서로 다르게 퍼지는 숨빛이 피어나는 윤슬이라고 할 만합니다. 온누리에는 떠돌별이 있고, 우리 둘레에는 떠돌새가 있어요. 씨앗을 퍼뜨리는 꽃이라면 떠돌꽃일 테고, 언제나 마실을 다니는 하루라면 떠돌깨비일 테지요. 몸뚱이만 멀쩡하기에 숨꽃이지 않습니다. 숨은 붙었되 죽은넋이나 죽은빛인, 감은눈이자 감은얼인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고요히 빛나는 고요숨인 줄 알아보려고 하지 않기에 그만 숨통이 끊어져요. 흔들릴 적마다 하늘꽃을 온마음에 담을 노릇입니다. 고단할 적마다 하늘빛을 온몸에 실을 일입니다. 뻗어나가는 아침해 빛발처럼, 가락꽃을 담는 바람처럼, 마음꽃을 틔우면서 기운을 차립니다. 스스로 노래하기에 스스로 노을빛입니다.


ㅅㄴㄹ


신가락·신명가락·신노래·신명노래·널노래·널가락·가락꽃 ← 재즈


넋·넋빛·넋아이·얼·윤슬·님·마음·마음꽃·빛·빛결·빛기운·빛값·빛꽃·빛살·빛발·빛줄기·떠도는넋·떠돌이넋·떠돌다·떠돌별·떠돌새·떠돌님·떠돌빛·떠돌꽃·떠돌이·떠돌깨비·목숨·숨·숨결·숨빛·숨길·숨꽃·숨통·숨붙이·숨소리·하늘꽃·하늘빛·죽은넋·죽은빛·죽은이·감은눈·감은빛·감은님·감은넋·감은얼·고요·고요넋·고요꽃·고요빛·고요숨·고요잠·고즈넉하다·뻗다·뻗어나가다·뻗치다 ← 영혼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5.

오늘말. 살핌길


나한테 맞는 얼개가 있고, 너한테 어울리는 틀이 있어요. 너랑 나를 맺는 사잇목을 두고, 부드러이 잇는 곬을 냅니다. 둘레를 하나하나 본다면 디딤길을 다스리고 살핌길을 꾸릴 만합니다. 아직 길눈이 안 밝더라도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이 길에서 헛디딜 수 있고, 미끄러지거나 넘어질 수 있어요. 한창 살펴보다가 어긋날 때가 있고, 두리번두리번하다가 끝날 수 있어요. 모르는 줄 알아보기에 돌아봅니다. 나라책숲에도 가고, 큰책숲에도 갑니다. 마을책숲에도 가고, 작은책숲에도 드나들어요. 어디에서나 알음길을 가꿉니다. 앞선 어른이 여민 꾸러미를 읽기도 하고, 스스로 풀꽃나무하고 들숲바다를 헤아리기도 합니다. 둘레를 찾으면서 짚어 가노라면 천천히 눈을 뜰 만합니다. 우리 마을에서 찾아봅니다. 이웃 고장에서 둘러봅니다. 모든 곳은 저마다 징검다리이니, 느긋이 생각하면서 길꽃을 펴려고 합니다. 앞뒤를 어우르는 흐름을 읽어요. 이 자리하고 저 마당하고 얽힌 이음길을 곱씹습니다. 일머리를 추슬러서 차근차근 일굽니다. 차곡차곡 밟아 가면 어느덧 깨달을 테고, 환하게 웃고 노래하는 살림길을 걸어가게 마련입니다.


ㅅㄴㄹ


얼개·얼거리·틀·틀거리·사잇목·샛목·곬·길·길눈·길꽃·앞뒤·자리·판·흐름·밟다·이음길·잇는길·줄·일머리·디딤돌·디딤길·디딤칸·징검다리·징검돌·징검길 ← 행정절차


살피다·살펴보다·알아보다·찾아보다·돌아보다·둘러보다·둘레보기·둘레찾기·마을보기·마을찾기·고을보기·고을찾기·고장보기·고장찾기·짚다·톺다·헤아리다·살핌길·살핌꽃·알음길·알음꽃 ← 현장조사, 현지조사


나라책숲·나라책숲집·열린책숲·열린책숲집·큰책숲·큰책숲집·큰책밭·큰책터 ← 공공도서관, 국립도서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대안학교



 아이의 미래를 생각해서 대안학교를 고려한다 → 아이 앞날을 생각해서 다른길을 살핀다

 대안학교를 선택하려고 준비한다 → 새배움터로 가려고 한다

 대안학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열린배움터를 부쩍 눈여겨본다


대안학교 : x

대안(代案) : 어떤 안(案)을 대신하는 안

학교(學校) : [교육] 일정한 목적·교과 과정·설비·제도 및 법규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학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 ≒ 학원



  다르게 가른 ‘다른길’이 있고, ‘다른배움’이 있습니다. 이대로는 낡은 틀이나 굴레일 테니, ‘새길·새곳’을 찾고, ‘새배움’을 펴려고 합니다. 누구나 날갯짓을 펴는 배움길을 바라기에 ‘열린배움터’를 살핍니다. ㅅㄴㄹ



대안학교는 말 그대로 ‘대안적인’ 교육을 실천하는 배움터

→ 다른배움은 말 그대로 ‘다르게’ 펴는 배움터

→ 새배움터는 말 그대로 ‘새로’ 일구는 배움터

→ 다른길은 말 그대로 ‘다르게’ 나누는 배움터

→ 새길은 말 그대로 ‘새’길을 가르치고 배우는 터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윤성근, 이매진, 2009) 78쪽


농사일을 하며 근처에 있는 대안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 논밭일을 하며 둘레 새배움터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 흙을 일구며 가까운 새길터에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책이 좀 많습니다》(윤성근, 이매진, 2015) 280쪽


곳곳에서 대안학교가 등장하고, 가정학교가 늘어나고, 교육이 한 발씩 달라지고 있었지만

→ 곳곳에서 다른길이 나오고, 집배움이 늘어나고, 배움길이 한 발씩 달라지지만

→ 곳곳에서 새길이 나오고, 스스로길이 늘어나고, 배움판이 한 발씩 달라지지만

《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한울림, 2021)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피사체 被寫體


 원치 않는 피사체가 찍혔다 → 바라지 않는 모습이 찍혔다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할 시에는 → 움직이는 숨결을 찍을 때에는


  ‘피사체(被寫體)’는 “사진을 찍는 대상이 되는 물체”를 가리킨다고 합니다만, 일본 한자말입니다. 우리말로는 ‘사람·사람꽃·이웃’이나 ‘숨결·숨빛·삶·살림’이나 ‘모습·빛·결·길·길눈·길꽃’으로 옮깁니다. ‘멋·멋있다·맛보기·맛선·맵시보기’나 ‘꽃사람·꽃보기·아름보기’로 옮기고, ‘보기·보는꽃·보는빛·보임꽃·봄꽃·보임빛’이나 ‘짜임새·틀·틀거리·판’으로 옮겨요. ‘밑·밑동·밑밭·밑절미·밑꽃·밑틀·밑판’이나 ‘바탕·바탕길·바탕꽃·밑바탕·밑싹·밑자락’으로도 옮기고, ‘그·그쪽·그사람·저·저쪽·저사람’으로도 옮기지요. ‘찍다·찍히다·담다·담기다·그림·그리다’로 옮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내가 추구하고자 하는 피사체는 한국의 체제 쪽에서는 비판적인 것으로 보일지도 모르는 것들이 대부분일 수밖에 없었다

→ 내가 찍고 싶은 모습은 한나라 쪽에서는 거의 따갑다고 볼 수밖에 없다

→ 내가 담으려는 삶은 한나라 쪽에서는 으레 까탈스럽다고 볼 수밖에 없다

《촬영금지》(구와바라 시세이/김승곤 옮김, 눈빛, 1990) 15쪽


사진을 볼 때 우리는 그 표면을 넘어서 원래의 피사체를 보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 우리는 빛꽃을 볼 때 겉모습보다는 찍힌 모습이 무엇인가를 보려고 한다

→ 우리는 빛꽃에서 겉모습보다는 참모습이 무엇인가를 보려고 하기 마련이다

→ 우리는 빛꽃에서 겉모습 아닌 제모습이 무엇인가를 보려고 한다

《사진의 유혹》(데이브 요라스/정주연 옮김, 예담, 2003) 9쪽


무엇보다도, 내가 만나는 사람들은 단순 피사체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 무엇보다도, 내가 만나는 사람은 그저 보임꽃이지 않다

→ 무엇보다도, 내가 만나는 사람은 한낱 꽃보기이지 않다

→ 무엇보다도, 나는 그냥 찍힐 사람을 만나지 않는다

《내 멋대로 사진찍기》(김윤기, 들녘, 2004) 19쪽


다양한 빛의 방향을 이용하면 피사체의 구체적인 모습을 부각시킬 수 있다

→ 여러 빛길을 살피면 하나하나 돋보이도록 찍을 수 있다

→ 여러 빛줄기를 가누면 낱낱이 도드라지도록 찍을 수 있다

《뛰어난 사진을 위한 접사의 모든 것》(조나단 콕스/김문호 옮김, 청어람미디어, 2008) 66쪽


우리가 걷는 길에서 만나는 모든 것들은 훌륭한 피사체가 될 수 있습니다

→ 우리가 걷는 길에서 만나는 모두를 훌륭히 찍을 수 있습니다

→ 우리가 걷는 길에서 만나는 모두를 훌륭히 그릴 수 있습니다

→ 우리가 걷는 길에서 만나는 모두를 훌륭히 담을 수 있습니다

《레아의 감성사진 두 번째 이야기》(레아, 한빛미디어, 2010) 167쪽


사진을 찍는 기쁨, 피사체와 마주쳤을 때의 기쁨, 마음에 드는 사진을 찍었을 때의 기쁨

→ 찰칵하는 기쁨, 이웃과 마주치는 기쁨, 마음에 들도록 찍는 기쁨

→ 빛을 찍는 기쁨, 삶을 마주치는 기쁨, 마음에 들도록 찍는 기쁨

《카메라는 나이를 묻지 않는다》(사토 토미오/임향자 옮김, 포토스페이스, 2010) 23쪽


자신이 몸을 숙이거나 피사체에 가까이 다가가거나 하는 것이지요

→ 내가 몸을 숙이거나 이웃한테 다가가거나 하지요

《천재 아라키의 괴짜 사진론》(아라키 노부요시/백창흠 옮김, 포토넷, 2012) 69쪽


촬영하고 싶은 피사체를 만나면 난 눈을 깜빡이듯 셔터를 누른다

→ 찍고 싶은 모습을 만나면 난 눈을 깜빡이듯 단추를 누른다

→ 찍고 싶은 모습을 만나면 난 눈을 깜빡이듯 찰칵 하고 누른다

《도쿄 셔터 걸 2》(켄이치 키리키/주원일 옮김, 미우, 2015) 54쪽


사진의 피사체로서야 세월의 흔적이 가득 묻은 할머니 할아버지의 얼굴만큼 훌륭한 것이 없다

→ 담는 빛으로는 삶자국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이야말로 훌륭하다

→ 살아온 자국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이야말로 훌륭한 빛이다

→ 살아온 나날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을 담으면 그야말로 훌륭하다

《일인용 책》(신해욱, 봄날의책, 2015) 172쪽


오솔길에 아무렇게나 뒹굴고 있는 하나의 솔방울도 나에게는 중요한 피사체입니다

→ 오솔길에 아무렇게나 있는 솔방울도 나한테는 뜻깊습니다

→ 나는 오솔길에 뒹구는 솔방울도 반갑게 찍습니다

→ 나는 오솔길에 있는 솔방울도 고맙게 담습니다

《나도 잘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양해남, 눈빛, 2016) 43쪽


네게 있어 좋은 피사체는 어떤 거야?

→ 너는 어떤 사람이 마음에 들어?

→ 너는 누구를 찍고 싶어?

→ 너는 어떤 보임꽃을 찍고 싶어?

《꿈에서도 보고픈 1》(아케가타 유우/반기모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21) 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와이셔츠ワイシャツ·Yシャツ



와이셔츠(← white shirt) : 양복 바로 안에 입는 서양식 윗옷. 칼라와 소매가 달려 있고 목에 넥타이를 매게 되어 있다 ≒ 와이샤쓰

white shirt : (英속어) 상급 교도관

dress shirt : 1. 드레스 셔츠(정장을 입고 나비넥타이를 맬 때 입는 흰색 셔츠) 2. (양복 안에 입는) 와이셔츠

ワイシャツ(Yシャツ white + shirt) : 와이셔츠


 오늘은 와이셔츠를 안 입었다 → 오늘은 적삼을 안 입었다

 와이셔츠가 필수는 아니다 → 흰웃옷이 아니어도 된다



  ‘와이셔츠·와이샤쓰’로 적지만, ‘ワイシャツ·Yシャツ’라는 일본말입니다. ‘white shirt’를 일본사람이 잘못 알아듣고서 퍼진 말씨라지만, 정작 영어로는 ‘dress shirt’라 해야 올바르다지요. 우리말로는 ‘윗옷·윗도리’라 하면 되고, ‘위·웃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옷살림을 돌아본다면 ‘저고리·적삼’이라 할 만하고, 수수하게 ‘옷·옷가지·옷자락’이라 할 수 있어요. 따로 흰빛인 적삼을 가리킬 적에는 ‘흰옷’이나 ‘흰웃옷·흰윗도리·흰적삼·흰저고리’라 해도 어울립니다. ‘하얀웃옷·하얀윗도리·하얀적삼·하얀저고리’라 해도 되어요. ㅅㄴㄹ



미제국주의의 통치하에서는 와이셔츠 하나 만족스럽게 살 수 없었다

→ 미국이 억누르면서 적삼 하나 제대로 살 수 없었다

→ 미국이 짓누르면서 저고리 하나 넉넉히 살 수 없었다

《겨레의 꿈 과학에 실어》이승기, 대동, 1990) 81쪽


와이셔츠를 차려입은 남자 혼자

→ 흰웃옷을 차려입은 사내 혼자

→ 흰웃도리 차려입은 돌이 혼자

《책이 좀 많습니다》(윤성근, 이매진, 2015) 6쪽


환한 조명 아래에서 다채로운 와이셔츠 차림의 남자들이

→ 불빛은 환하고 가지가지 윗옷 차림인 사내들이

→ 불은 환하고 알록달록한 윗도리 차림 사내들이

《원전 집시, 피폭 하청 노동자의 기록》(호리오 구니에/고노 다이스케 옮김, 무명인, 2017) 3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