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 / 숲노래 우리말 2023.3.4.

나는 말꽃이다 131 세밀화



  2001년에 《보리 국어사전》 엮음빛(편집장)이 되어 말꽃짓기를 처음부터 새로 하면서 ‘그림 맡기기’를 미리 챙겼습니다. 어린이한테 뜻풀이로만 낱말을 알려주기 어려울 적에는 그림을 붙여야 하는데 어떤 꼼꼼그림(세밀화)을 살펴야 하는가를 놓고 한참 오래 이야기했습니다. 꼼꼼하게 담은 그림도 이따금 넣어야 할 테지만, ‘낱말책은 해부도감이 아니’기에, ‘풀꽃나무나 살림살이나 목숨붙이’를 ‘낱낱이 뜯는’ 그림은 안 싣기로 했고, 그림님(화가)한테 이 대목을 잘 여쭈어야 한다고 얘기했습니다. ‘세밀화’는 일본말입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꼼꼼·낱낱·찬찬’으로 지을 만합니다. 때로는 꼼꼼히, 때로는 낱낱이, 때로는 찬찬히 담아낼 노릇입니다. 다만, 뜻풀이도 그림도 ‘과학’이라는 눈이 아닌 ‘숨결(생명)’을 담는 눈길일 노릇입니다. 풀은 왜 풀이고 나무는 왜 나무인가를 바라보아야지요. 먼 옛날 모든 살림을 손수 지은 사람들이 ‘풀·꽃·나무’하고 마음으로 만나는 살림길에 지은 수수한 이름에 깃든 넋을 읽어야 뜻풀이도 그림도 어린이가 물려받아 새롭게 가꿀 사랑길로 잇는 징검다리가 됩니다. 해파리한테는 머리와 골(뇌)이 어디일까요? 다 다른 숨결을 다 달리 읽어야 다 다른 말을 보고 듣고 익힙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30 스승



  흔히 “어른은 가르치는 사람, 아이는 배우는 사람”처럼 여기지만,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어른은 배우는 사람, 아이는 사랑받는 사람”일 테고, “어른은 아이한테서 배우는 사람, 아이는 어른한테서 사랑받는 사람”이기에 서로 반가이 어우러지면서 환하게 피어나는 사이로 지내는구나 싶습니다. 어른·어버이는 ‘아이낳기’로 가르는 이름입니다. 아이를 낳은 어머니·아버지한테는 ‘어버이’란 이름을 나란히 얻습니다. 그러나 아이를 낳았어도 아직 ‘어른’이라고는 안 하지요. 철이 들기에 비로소 ‘어른’입니다. 여덟 살이나 열두 살이어도 철빛을 고이 품으면 어른입니다. 어른은 남을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스스로 나아가며 철을 읽고 삶을 깨닫고 살림을 짓는 사람입니다. 어른이기에 ‘길잡이·이슬받이’ 같은 몸짓일 만하고 ‘스승’이 될 때가 있어요. 우리말 ‘스승’은 ‘스님’하고도 맞물리는데, ‘슬기로운 님’입니다. ‘슬기’란 스스로 보고 느끼면서 알아차리는 빛입니다. ‘스승·스님 = 스스로 사랑빛·삶빛·살림빛’이라 하겠습니다. 스승은, 길을 짚거나 알려주기는 하되, 새길을 스스로 나아갈 뿐입니다. 잡아끌거나 떠밀지 않아요. 누구나 스스로 새길을 지으며 누리도록 몸소 보여주는 스승이요 어른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 / 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29 모르는 이웃



  모를 적에는 ‘모르다’라는 낱말을 쓰면 됩니다. 알 적에는 ‘알다’라는 낱말을 쓰면 되지요. ‘모르다 = 알지 못하다’요, ‘알다 = 모르지 않다’입니다. 우리는 우리말로 이야기하기에 서로 넉넉히 만나며 생각을 나눕니다. ‘무식(無識)·유식(有識)’이란 한자말을 어린이책에 쓰는 어른이 꽤 있습니다. “안 어려운 한자말”이라고 여겨 쓸는지 모르나 ‘무식 = 알지 못하다’요, ‘유식 = 알다’입니다. 누구나 쉽게 알도록 서로서로 이웃으로 여기는 ‘알다·모르다’라는 낱말을 쓸 적에 비로소 어깨동무(평화·평등)로 나아간다고 느낍니다. “많이 아는 어른 눈높이로 하는 말”이 아닌 “아직 모르는 어린이 마음으로 하는 말”일 적에 말빛을 가꾸고 말살림을 북돋운다고 느껴요. “낱말을 더 많이 써야” 말빛을 가꾸거나 말살림을 북돋우지 않습니다. “낱말을 더 적게 쓰기” 때문에 말빛을 못 가꾸거나 말살림을 못 북돋우지 않아요. “누구하고 이웃이 되어 어떤 마음을 어떻게 사랑으로 나누려 하느냐”를 바탕으로 헤아리기에, 낱말을 적게 쓰든 많이 쓰든 늘 말빛을 가꾸고 말살림을 북돋웁니다. ‘무늬만 한글’이 아닌 ‘속빛으로 우리말’을 쓰기에 어른스럽습니다. 새말을 가르치지 말고 새길을 보여주기에 어른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 2023.2.3.

나는 말꽃이다 128 생각



  우리말 ‘생각’을 억지로 한자 ‘生覺’에 꿰맞추려는 분이 있습니다. 꿰어맞춘다고 해서 잘못일 까닭은 없어요. 꿰어맞출 적에는 우리가 스스로 생각하는 마음이 옅거나 스러지는데, 이러다 그만 생각하는 빛줄기를 잊다가 잃더군요. 우리말 ‘생각’은 ‘생생하다·싱싱하다’하고 ‘새롭게·새로·새·새삼·새록새록’에다가 ‘생기다’ 같은 낱말하고 밑줄기가 나란하고, ‘가다·갈다’나 ‘가꾸다·가리다·감다’ 같은 낱말하고도 밑뿌리를 잇습니다. 마음에서 피어나는 빛살이라 할 생각은 언제나 새롭습니다. 새롭게 깨어나는 빛이기에 생각입니다. 모든 생각은 새롭게 일어나는 빛줄기이자 말빛이에요. 말결·말뜻·말밑을 알고 보면, ‘생각 = 새롭게 나아가려고 짓는 길을 말로 마음에 심어서 깨어나는 빛’일 테니 “새로운 생각”이라고 하면 겹말이에요. “생각하는 사람”하고 “생각 않는 사람”으로 가를 뿐입니다. “생각하는 사람 = 스스로 삶을 새롭게 가꾸려 하면서 스스로 살림을 짓는 길로 나아가는 사람”입니다. “생각 않는 사람”은 거꾸로일 테고요. 이 삶터에서 모든 배움길은 “생각을 빛내는 마음”에서 태어납니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말 한 마디를 짓고 엮어서 나눕니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말을 익히고 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넋 / 숲노래 우리말꽃 2023.1.30.

나는 말꽃이다 127 한자 ㄴ



  이웃글인 한자를 잘 알거나 익히고 싶다면 우리말부터 잘 알고 익힐 노릇입니다. 영어나 프랑스말이나 일본말이나 독일말 같은 여러 이웃말을 잘 알거나 익히고 싶다면 우리말을 찬찬히 짚고 생각하고 가다듬고 늘 새롭게 배울 노릇이에요. 우리말 ‘기쁨’은 혼자 누릴 수 없고, 우리말 ‘즐거움’은 같이 나눌 수 있되 모름지기 스스로 피어나는 기운을 가리켜요. 한자 “기쁠 열(悅)”하고 “즐거울 락(樂)”이 있는데, 기쁨은 둘레에서 느끼도록 환하게 피어나는 기운이고, 즐거움은 스스로 노래로 피어나는 기운을 가리킵니다. 먼저 우리말 ‘기쁨·즐거움’을 제대로 안다면, ‘悅’을 붙이는 ‘열애’를 제대로 헤아릴 테고, ‘樂’을 붙이는 ‘음악’을 올바로 읽을 테지요. 기쁘게 사랑하기에 둘레에도 환하게 기운을 퍼뜨리는 ‘기쁜사랑(열애)’입니다. 스스로 가락을 일으키고 즐거우니 저절로 터져나오는 노래(음악)입니다. 다만, 우리말 ‘사랑’은 스스로 즐거워 둘레에 기쁨씨를 퍼뜨리는 숨결을 담기에 그저 ‘사랑’ 한 마디이면 넉넉합니다. 우리말 ‘노래’는 저절로 ‘놀이’로 뻗으면서 ‘노느는(나누는)’ 마음빛이 환한 숨결을 담기에 ‘음악·뮤직’을 써야만 멋지다고 여기는 분이 있다면 그야말로 말넋삶을 모르는 셈이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