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수분


  아주 부자인 사람을 한때 ‘백만장자’라는 이름으로 가리켰는데, 어느덧 ‘천만장자’라는 이름이 생기고, ‘억만장자’라느니 ‘조만장자’라느니 하는 이름이 생겨요. 앞으로는 숫자를 더 붙이는 이름이 새롭게 생길 수 있어요. 그런데, 쓰고 쓰고 또 쓰고 더 쓰고 다시 써도 줄어들지 않는 보물단지를 가리켜 ‘화수분’이라고 해요. 화수분이란 이름은 중국에서 왔을 수 있는데, “돈이 샘솟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돈샘그릇’이나 “보물이 샘솟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보물샘그릇’이라고 할 만해요. 보물이 샘솟아서 ‘보물샘’이라면, 꿈이 샘솟는 ‘꿈샘’이라든지 사랑이 샘솟는 ‘사랑샘’이라든지 기쁨이 샘솟는 ‘기쁨샘’도 있겠지요. 쉬지 않고 글을 쓰는 동무가 있으면 “넌 ‘글샘그릇’이네.” 하고 말할 만하고, 한결같이 신나게 노래하는 동무가 있으면 “너는 ‘노래샘그릇’이네.” 하고 말할 만해요. 자꾸자꾸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는 동무는 ‘이야기샘그릇’이고, 언제나 즐겁게 웃는 동무는 ‘웃음샘그릇’이에요.


+


혼인날


  ‘식구’하고 ‘가족’은 어떻게 다를까요? ‘혼인’하고 ‘결혼’은 어떻게 다를까요? 네 낱말은 모두 한자말이지만, ‘식구·혼인’은 한겨레가 꽤 오랜 옛날부터 쓰던 낱말이고, ‘가족·결혼’은 이 나라가 이웃나라한테 식민지가 되어야 하던 때에 일본에서 들어온 낱말이에요. 요즈음은 영어도 아주 널리 쓰는 흐름이 되었기에 한국 한자말이나 일본 한자말을 딱히 가리지 않는다고 할 만한데, 두 어른이 짝을 지어서 한집을 이루려고 할 적에는 ‘혼인신고’를 해요. 두 어른이 혼인을 하면서 하는 잔치는 ‘혼인잔치(혼례잔치)’라 하지요. 그런데 ‘혼인신고’를 해서 함께 살면서 요즈음 어른들이 기리는 날은 ‘혼인기념일’이 아닌 ‘결혼기념일’이에요. “혼인을 기리는 날”이라는 뜻으로 ‘혼인날·혼인기림날’처럼 쓰지 못해요. 한글이 태어난 날을 기릴 적에 ‘한글날’이라 하듯이, 어른들이 혼인을 기리는 날도 ‘혼인날’이라 하면 잘 어울리리라 생각해요. ‘식구·가족’이라는 한자말도 있지만, 이런 말이 있기 앞서는 ‘한집·한집안’ 같은 말을 썼어요. “한집 사람”이라고도 하지요. “한집 사람”은 ‘한솥밥’을 먹는 사이요, ‘한솥밥지기’나 ‘한솥밥님’이 됩니다.


+


읽기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말’을 새롭게 가르쳐요. ‘읽기’랑 ‘쓰기’랑 ‘듣기’랑 ‘말하기’를 알맞게 갈라서 가르쳐요. ‘말’을 배우려면 언제나 이 네 가지를 골고루 살피고 헤아려야 하지요. 눈으로 읽고, 손으로 쓰고,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지요. 그리고 ‘읽고 쓰고 듣고 말하고’ 하는 동안 가슴(마음)으로 느끼고, 머리로 생각해요. 온몸으로 말을 느끼고, 온마음으로 말을 헤아린다고 할 만해요. ‘읽기’는 ‘글읽기·책읽기’를 비롯해서 ‘그림읽기·영화읽기’로 나아가고, ‘사람읽기·사랑읽기·삶읽기’를 할 만하며, ‘사회읽기·문화읽기’까지 갈 수 있어요. ‘쓰기’는 ‘글쓰기’를 비롯해서 ‘책쓰기’도 할 만하고 ‘마음쓰기’나 ‘생각쓰기’도 할 만합니다. ‘듣기’를 할 적에는 가만히 듣다가 ‘귀여겨듣기’를 하지요. ‘말하기’는 내 뜻과 마음을 찬찬히 가누고 살펴서 알맞고 슬기로우면서 의젓하게 생각을 갈무리해서 들려주는 몸짓이 되어요. 읽기를 찬찬히 익히고 나면, ‘하늘읽기’나 ‘바다읽기’도 해요. ‘날씨읽기’나 ‘꿈읽기’도 하지요. ‘꽃읽기’나 ‘마음읽기’나 ‘생각읽기’도 합니다.


+


세겹살


  사이좋은 동무가 넷이면 이 넷을 아울러 ‘네동무’가 됩니다. 사이좋은 동무가 다섯이면 이 다섯을 아울러 ‘다섯동무’가 돼요. 동무는 ‘열동무’나 ‘스무동무’도 되고, ‘일곱동무’나 ‘두동무’나 ‘세동무’도 되어요. 고깃집에 가 보면 흔히 ‘삼겹살’을 파는데, 삼겹살은 “세 겹인 살”을 가리켜요. 그러니까 ‘세겹살’이라 하면 될 고기인데 ‘세(셋)’가 아닌 ‘삼(三)’이라는 한자를 넣은 셈이에요. 여럿으로 포갠 것을 셀 적에 ‘겹’을 써요. “한 겹·두 겹·세 겹·네 겹”처럼 쓰지요. “일 겹·이 겹·삼 겹·사 겹”처럼 쓰면 어딘가 안 어울려요. 한자인 숫자말 ‘일·이·삼·사’를 넣으려 할 적에는 똑같이 한자인 ‘중(重)’을 넣어서 ‘일중·이중·삼중·사중’처럼 써야 어울립니다. 그래서 ‘삼중주’라면 “세 악기 연주”인 “세 겹 연주”나 “세 가락 연주”인 셈이고, ‘사중창’이라면 “네 사람 합창”인 “네 사람 노래”나 “네 가락 노래”인 셈이에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201] 심는다



  달력을 보면 나무를 심는 날이 따로 있어요. 그런데 달력에는 ‘나무심기’ 같은 말은 안 쓰고 ‘식목일’이라는 한자말을 써요. ‘나무날’이나 ‘나무심기날’ 같은 이름을 쓰면 한결 재미있을 텐데요. 우리는 나무도 심고 씨앗도 심어요. 때로는 꽃을 심고, 꽃씨를 심지요. 씨앗을 심기에 ‘씨앗심기’이거나 ‘씨심기’예요. 씨앗 가운데에는 우리가 따로 심어야 하는 씨앗도 있지만, 술술 뿌려도 되는 씨앗이 있어서, 이때에는 ‘씨뿌리기’라는 말을 써요. 땅에 씨앗이나 나무를 심는 모습을 빗대어 우리 마음에 생각을 심는다고도 말해요. 이른바 ‘생각심기’라고 할 텐데, 앞으로 이루고 싶은 꿈을 고이 헤아리면서 생각을 심지요. 생각을 심는 일은 ‘꿈심기’라고 할 만합니다. 이루려는 꿈을 생각으로 심으니까요. 이런 모습을 돌아본다면 ‘사랑심기’라든지 ‘마음심기’라든지 ‘믿음심기’라든지 ‘웃음심기’ 같은 말도 한결 살뜰히 쓸 수 있어요. 즐겁게 가꾸어서 기쁘게 거두고 싶은 것이라면 무엇이든 심을 만해요. 내 손길에 따스한 숨결을 담아서 씨앗을 심고, 우리 손마다 넉넉한 바람결을 실어서 꿈도 사랑도 노래도 이야기도 심어요. 4349.1.26.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느님


  내가 우리 아버지·어머니를 가리킬 적에는 ‘아버지·어머니’처럼 쓰고, 동무나 이웃 아버지·어머니를 가리킬 적에는 ‘아버님·어머님’처럼 씁니다. 다른 집 딸·아들을 높이려는 뜻에서 ‘따님·아드님’처럼 써요. 어버이는 제 아이를 놓고 ‘님’을 붙이지 않아요. 아이도 제 어버이를 놓고 ‘님’을 붙이지 않고요. 그런데 ‘딸·아들’을 높일 적에 ‘딸님·아들님’처럼 안 적어요. ‘ㄹ’이 떨어져서 ‘따 + 님’이고 ‘아드 + 님’이에요. 이와 같은 얼거리로 “하늘에 계신 님”을 가리킬 적에도 ‘하늘 + 님’은 ‘하느 + (ㄹ 떨굼) + 님’이 되어 ‘하느님’처럼 적어요. ‘님’은 누군가를 높일 적에 붙여요. 흔히 사람을 높일 적에 붙이지만, 사람이 아닌 자리에도 붙이지요. ‘해님’이나 ‘달님’은 해와 달을 사람으로 여겨서 섬기려는 뜻이에요. 그래서 ‘땅님·숲님·비님·눈님’이라든지 ‘풀님·꽃님·나무님·벌레님’처럼 쓸 수 있어요. 동무한테는 ‘동무님’이라 할 만하고, 이웃한테는 ‘이웃님’이라 할 만해요. 학교에서 어린이와 푸름이를 가르치는 교사를 두고는 ‘선생 + 님’이라 ‘선생님’이지요. 그러면 학생은 ‘학생님’이라 하면 될까요? 배우는 사람이 학생이니까 ‘배움님’이라 해 볼 수 있을 테고요.


+


징검다리


  치마가 길면 어떤 치마일까요? ‘긴치마’이지요. 바지가 길면 어떤 바지일까요? ‘긴바지’예요. 다리가 길면 어떤 다리일까요? ‘긴다리’일 테지요. 팔이 길면 ‘긴팔’일 테고요. 다리는 우리 몸에도 있지만, 이곳에서 저곳으로 건너가는 자리에도 있어요. 돌로 지은 ‘돌다리’, 나무로 지은 ‘나무다리’, 쇠로 지은 ‘쇠다리’가 있어요. 골짜기에 놓는 ‘흔들다리’가 있고, 나무나 잔가지로 엮은 뒤에 흙을 덮는 ‘섶다리’가 있어요. 냇물이나 도랑이나 웅덩이에 돌을 하나씩 놓는 ‘징검다리’도 있는데, 다리 구실을 하도록 사이사이에 놓는 돌을 가리켜 따로 ‘징검돌’이라 해요. ‘징검돌’은 ‘다릿돌’이라고도 하는데, 여러 사람 사이를 살뜰히 잇는 구실을 슬기롭게 하는 사람을 가리킬 적에 ‘징검돌’과 같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나저나, 이곳하고 저곳을 잇는 다리가 길면 이때에도 ‘긴다리’라 할 수 있어요. 두 곳을 잇는 다리가 커다랗다면 ‘큰다리’라 할 테지요. 서울이나 부산 같은 큰도시를 보면 ‘긴다리·큰다리’ 같은 이름보다는 ‘대교’라는 한자말을 흔히 쓰지만, 길거나 커다란 다리를 ‘한강큰다리’나 ‘광안긴다리’ 같은 이름으로 즐겁게 붙일 만해요.


+


마늘빵


  마늘을 넣어 밥을 지으면 마늘밥이 됩니다. 고구마를 넣어 밥을 지으면 고구마밥이 됩니다. 쑥을 넣으면 쑥밥이요, 팥을 넣으면 팥밭이며, 콩을 넣으면 콩밥입니다. 보리로 지으면 보리밥이고, 쌀로 지으면 쌀밥이에요. 이리하여, 마늘을 써서 빵을 구으면 마늘빵이 될 테지요. 한국사람도 오늘날에는 빵을 널리 먹으니, 마늘로 얼마든지 빵을 구울 만합니다. 영어를 쓰는 나라에서는 ‘마늘’이 아닌 ‘갈릭’이라는 낱말을 쓸 테니 ‘갈릭 브레드’라 해요. 한국말에서는 ‘빵’이지만 영어에서는 ‘브레드’이기도 해요. 그러고 보니 ‘바게트’ 같은 서양말도 한국에서는 그냥저냥 쓰기 일쑤입니다. 한국말로 손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막대빵(막대기빵)’이라 해도 될 텐데 말이지요. 마늘을 써서 구운 빵이기에 ‘마늘빵’이라 하면 누구나 쉽게 알아볼 만하고, 막대기처럼 길게 구운 빵이기에 ‘막대빵’이라 하면 참말 누구나 바로 알아차릴 수 있어요. 팥빵도 한국말로 ‘팥빵’이라 해야 알아듣기에 좋아요. 일본말로 ‘앙꼬빵’이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본말로 쓰는 ‘소보로빵(소보루빵)’도 ‘곰보빵’이나 ‘오돌빵’이나 ‘못난이빵’ 같은 한국말로 고쳐서 쓰면 한결 낫습니다.


+


힘내자


  밥을 먹으면서 새롭게 힘을 내요. 몸을 움직인다든지 다른 것을 움직이려면 ‘힘’이 있어야지요. 힘이 없으면 어쩐지 축 처져요. 힘이 빠지면 고단하거나 고달파요. 힘이 없으니 아무것도 못하기 마련이고, 힘이 여리면 여러모로 벅차거나 버겁기까지 해요. 몸을 살찌우려고 밥을 먹으면서 힘을 낸다면, 마음을 가꾸려고 사랑을 받아들여서 힘을 내요. 생각하는 힘을 키우고, 꿈을 꾸는 힘을 길러요.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면 온누리에 따사로운 기운이 퍼져요. 해님이 곱고 따스히 베푸는 기운을 받아서 꽃이며 풀이며 나무가 자라요. ‘봄기운’을 받아서 씨앗이 싹이 트고 겨울눈이 터져요. 오래달리기를 하다가 힘이 빠져서 축 처질라치면 “자, 조금 더 힘내렴!” 하고 옆에서 북돋아 줘요. 아무래도 안 되거나 못 하겠구나 하고 느껴서 기운이 빠질 적에 “괜찮아, 다시 기운을 내 보자!” 하고 곁에서 빙긋 웃으면서 일으켜세워 주어요. 새롭게 힘내고, 다시금 기운내요. 때로는 “젖 먹던 힘”을 내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한꺼번에 힘을 모아서 내려고 ‘용’을 쓴다고 할 수 있어요. 있는 대로 다 모아서 기운을 쓴다든지, 모질고 단단하게 기운을 내려고 할 적에는 ‘악’을 써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능금풀, 감풀, 토마토풀


  감을 얇게 썹니다. 동글배추를 얇게 썹니다. 케챱과 마요네즈를 뿌린 뒤에 둘을 섞습니다. 접시에 담아 밥상에 올립니다. 네 살 아이는 ‘감과 동글배추를 섞어서 놓은 접시’를 보더니 “‘감풀’이네.” 하고 말합니다. “그래, 감풀이로구나.” 아이들한테는 감과 풀이 함께 있는 접시입니다. 이 아이들한테 ‘샐러드’라는 이름을 알려줄 수 있지만, 아이들이 처음 느끼면서 스스로 붙인 이름대로 ‘감풀’이라 하기로 합니다. 며칠 뒤, 능금을 얇게 썹니다. 동글배추를 또 얇게 썰어요. 이런 뒤에 마요네즈만 넣어서 섞습니다. 이제는 ‘능금풀’이 됩니다. 며칠이 또 지난 뒤에는 토마토를 얇게 썰어서 동글배추하고 섞습니다. 이제 어떤 풀이 될까요? ‘토마토풀’이 될 테지요. 당근을 넣으면 ‘당근풀’이고, 고구마를 넣으면 ‘고구마풀’이 돼요. 달걀을 넣으면 ‘달걀풀’이고, 딸기를 넣으면 ‘딸기풀’입니다. 자, 우리 함께 감풀도 능금풀도 토마토풀도 모두 맛나게 먹자. 밥도 맛나게 먹고, 국도 맛나게 먹자.


+


감알빛, 감잎빛


  가을에 감알을 바라보며 생각합니다. 감은 ‘감빛’으로 나타냅니다. 살구는 ‘살구빛’이고, 앵두는 ‘앵두빛’입니다. 딸기는 ‘딸기빛’이에요. 그런데 딸기꽃이나 앵두꽃은 하얗습니다. 그래서 빨강을 나타내려면 ‘앵두알빛’이나 ‘딸기알빛’이라 가르고, 하양을 나타내려면 ‘앵두꽃빛’이나 ‘딸기꽃빛’처럼 새롭게 적어 볼 수 있어요. 찔레를 살피면, 꽃은 하얗고 열매는 빨개요. 그러니 ‘찔레꽃빛’하고 ‘찔레알빛’도 새삼스레 다르게 적을 만합니다. 이처럼 ‘석류꽃빛’하고 ‘석류알빛’을 나눌 수 있고, ‘감알빛’하고 ‘감꽃빛’을 쓸 만합니다. 여기에 한 가지를 덧붙인다면, 잎빛을 말할 수 있으니, ‘감잎빛’도 말할 만해요. 잎빛은 모두 풀빛이라 할 테지만, 나무나 풀마다 잎빛이 저마다 다르기에 ‘딸기잎빛’이나 ‘앵두잎빛’이나 ‘찔레잎빛’ 같은 빛깔말을 써 볼 만합니다. 그리고 감알을 놓고도, ‘풋감알빛·말랑감알빛·단감알빛’처럼 갈라서 쓸 수 있어요. ‘감잎빛’을 말할 적에도 새봄에 돋는 옅푸른 감잎빛이랑 한여름에 짙푸른 감잎빛이랑 가을에 누렇게 물드는 감잎빛은 저마다 다르니, ‘봄감잎빛·여름감잎빛·가을감잎빛’ 같은 낱말을 새롭게 지어서 기쁘게 나눌 만합니다.


+


창문천


  마루문하고 창문에 쓰려고 천을 끊습니다. 마루문에 대는 천은 ‘마루문천’이나 ‘마루천’이라 할 수 있고, 창문에 대는 천은 ‘창문천’이나 ‘창천’이라 할 수 있어요. 요새는 흔히 ‘커튼’이라고 하지요. 어떤 천을 쓰면 좋을까 하고 생각하다가, 창문에 대는 두꺼운 천은 겨울에 쓰기 때문에 눈송이가 펄펄 내리는 무늬가 박힌 천을 맞춥니다. 그런데 이 천을 본 우리 집 아이들이 문득 “사랑이 가득 있네. ‘사랑천’이야?” 하고 묻습니다. 그러고 보니까, 이 천에는 눈송이뿐 아니라 ‘사랑’을 나타내는 ‘하트’ 무늬가 가득 있습니다. 다른 천에는 사슴 무늬가 큼직하게 있습니다. 이 무늬를 보더니 어느새 “와, 이건 ‘사슴천’이네!” 하면서 웃습니다. 나는 마당에 나가서 길다란 대나무를 들고 들어옵니다. 이레쯤 앞서 미리 잘라 온 대나무입니다. 마루문 길이에 맞게 자른 대나무에 천을 엮습니다. 이리하여, 마루문하고 창문에 ‘사랑천’하고 ‘사슴천’을 대면서 ‘마루문천’하고 ‘창문천’을 새로 꾸밉니다.


+


물뿅뿅이


  남녘에서 ‘거위’라고 하면 오리하고 닮았으나 목이 더 길고 덩치도 한결 큰 새를 가리켜요. 그렇지만 북녘에서 ‘거위’라고 하면 “사람 몸으로 들어와서 사는 벌레”인 ‘회충’을 가리켜요. 어느 모로 본다면 ‘회충’은 ‘거위(붙어살이벌레)’를 가리키는 한자말이라고 할 만합니다. 그러면 북녘에서는 오리하고 닮은 새를 어떤 이름으로 가리킬까요? 북녘에서는 이때에 ‘게사니’라는 이름을 써요. 그리고, 북녘에서는 ‘물뚱뚱이’라는 이름으로 가리키는 짐승이 있어요. 자, 남녘에서는 ‘물뚱뚱이’를 어떤 이름으로 가리킬까요? 바로 ‘하마’입니다. 물에서 살기를 좋아하면서 몸집이 뚱뚱한 짐승이라고 하기에 북녘에서는 ‘물뚱뚱이’라는 이름을 붙여요. 우리 집 아이들하고 읍내 가게에 갔다가 ‘물게임기’라는 장난감을 보았어요. 이 물게임기를 가만히 들여다보는 아이들은 “그거 있잖아요. 물 뿅뿅 쏘는 거. 그거 사 주세요.” 하고 부릅니다. 그래요, 아이들 말마따나 물을 뿅뿅 쏘는 장난감은 ‘물뿅뿅이’입니다. 단추를 눌러서 바람을 뿅뿅 넣으면 거품이 보글보글 올라오면서 고리가 춤을 추는데 작은 막대기에 꽂힐랑 말랑 흔들려요.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200] 머리집



  옛날에는 머리카락이 길어도 자르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고 해요. 길게 흘러내리는 머리카락을 곱게 땋아서 다녔다지요. 곱게 땋은 머리마다 댕기를 묶어서 한결 예쁘게 건사했대요. 사내도 가시내도 머리카락을 굳이 자르지 않았고, 턱이나 코밑에 돋는 나룻도 따로 밀지 않았어요. 오늘날에는 ‘긴머리’가 좋으면 긴머리대로 두고, 짧게 치는 머리가 좋으면 ‘짧은머리’대로 돌보면서 살아요. 머리카락이 좀 지저분해 보인다면 ‘다듬기’를 하러 ‘머리집’이나 ‘머리방’이나 ‘미용실’에 가지요. 머리카락이 길면 머리핀을 꽂거나 머리띠를 둘러서 여미어요. 머리카락은 그냥 ‘자르’거나 ‘깎’을 수 있어요. 때로는 ‘볶기·말기·꾸미기’를 하지요. 머리집에 가면 으레 ‘커트’라는 영어를 쓰는데, 짧게 칠 적에는 ‘치기·짧게치기·머리치기’라 해 볼 수 있어요. 치마가 짧으면 ‘짧은치마·깡똥치마’라 하듯이, 머리카락이 짧으면 ‘짧은머리·깡똥머리’라 할 만해요. 검은 머리가 더 빛나도록 머리를 감아요. 머리를 감은 뒤에는 바람에 말릴 수 있고, 따로 ‘머리말리개’를 쓸 수 있습니다. 머리말리개를 가리켜 ‘헤어드라이어’라고도 해요. 4349.1.26.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