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도토리의 집 2 - 개정증보판
야마모토 오사무 지음, 김은진 옮김 / 한울림스페셜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山本おさむ #どんぐりの家


숲노래 푸른책/숲노래 만화책

- 안 보려 했으니 안 보인다



《도토리의 집 2》

 야마모토 오사무

 김은진 옮김

 한울림스페셜

 2004.11.15.



  처음에 《사랑의 집》이란 이름으로 나온 《도토리의 집 2》(야마모토 오사무/김은진 옮김, 한울림스페셜, 2004)을 되읽었습니다. 그림꽃책을 펴내는 곳에서 《머나먼 갑자원》하고 《사랑의 집》에 이어 《천상의 현》을 잇달아 내놓은 적 있는데, 1990년대가 저물고 2000년으로 접어들 그무렵, 우리나라에서 야마모토 오사무 님 그림꽃은 썩 안 읽혔습니다. 저는 열린배움터를 진작 그만두었습니다만, 둘레에 사범대나 교대에 다니는 동생이 많았고, 배움터에서 길잡이로 일하는 또래나 벗이 많아 《사랑의 집》이며 《머나먼 갑자원》을 읽어 보라고, 또 별빛사람(장애인)하고 어깨동무하는 길을 가거나 열린배움터에서 이 길을 배우는 이한테 이 그림꽃책을 알려주거나 사서 건네어도 하나같이 시큰둥했어요.


  스무 해쯤 앞서 그런 모습에 꽤 아찔했습니다. 이웃이나 둘레에서는 “굳이 왜 만화책을 봐야 하느냐?”고 되묻거나 따지더군요. “글로 적은 책만 책입니까?” 하고 말한들, “글로 적은 책 가운데 제대로 삶으로 파고들어 엮은 책은 얼마나 됩니까” 하고 물은들, ‘그림꽃(만화)’이라 하면 지레 손사래치는 숱한 길잡이(교사)라면, 배움터에 다니는 숱한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가엾네 싶었어요.


  별빛사람한테서 별빛을 느끼지 못하기에 우리 삶터가 일그러지는 길로 가리라 느낍니다. 어린이한테서 참다운 얼이며 사랑을 배우지 못하기에 우리 어른들이 짓는다는 이 나라가 엉망진창이지 싶습니다.


  오늘날 숱한 ‘어른’이란 이들은 자동차를 몰기만 하는 터라, 거님길이 얼마나 엉터리인지 잘 모릅니다. 자동차를 모는 이들은 거님길에 버젓이 자동차를 세워 놓고 볼일을 보는 터라, 어린이뿐 아니라 여러 어른이 걸어다니기에 얼마나 사나운지 잘 모릅니다. 길바닥에 점글판이 제대로 있는 데는 없다시피 합니다. 전철을 타고내리는 사람들 가운데 점글판을 디디지 않도록 걸음결을 살피는 이도 없다시피 합니다. 무엇보다도 이 나라에서 다 다른 사람들이 함께 어우러지거나 섞이면서 삶을 노래하는 길은 꽉 막히다시피 합니다. 여느 때에 별빛사람을 마주하지 않으니 스스로 어떤 마음이요 눈빛이며 살림을 가꿀 적에 아름다운가를 모릅니다.


  여느 자리 여느 때에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리지 않으니 숱한 어른들 말씨는 딱딱하거나 거칠거나 모질기 마련입니다. ‘어른끼리 읽는 책’이더라도 ‘글을 잘 읽지 못하는 이웃 어른’을 헤아린다면 구태여 일본스러운 한자말이나 갖가지 영어를 섞거나 옮김 말씨를 안 쓰겠지요. 누구나 글을 쓰는 판이 되었으나 ‘누구나 읽을 만한 글’을 쓰도록 마음이며 손길이며 눈빛을 가다듬거나 새롭게 배우는 사람은 아직 너무 적어요.


  먼나라 얘기가 아닌, 우리 이웃에 있으나 그저 숨죽여야 하는 목소리를 차곡차곡 담아낸 《도토리의 집》입니다. 바로 옆에 이웃이 있어요. 그저 우리 스스로 안 보려 했기에 여태 못 보았을 뿐입니다.


ㅅㄴㄹ


‘이 아이가 이해 못하는 게 아니라, 우리가 이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 못하는 것이다.’ (49쪽)


“손을 잡아 주면 펜밖에 못 잡는 약한 힘으로 애써 자네 손을 잡으려 하지 않았는가? 그건 반응이 아니고 뭔가! 그래도 오리에가 반응하지 앟았다고 할 텐가? 3개월에 걸쳐 오리에는 자넬 인정해 가고 있었어! 자넬 받아들이려고 했었다구! 뜨겁지 않은가? 오리에의 몸이 뜨겁지 않은가!” (72쪽)


“지면 안 돼요, 어머님. 놓지 마세요. 가케루는 당신 생명의 빛입니다. 힘내세요! 힘내세요!” (163쪽)


“난 그 애와 함께 밝게 살아가고 싶어. 무슨 일이 있는, 어떠한 경우에도 난, 그 애가 태어난 걸 축복해 주고 싶어.” (171쪽)


“못하는 것밖에 보지 못하십니까? 가케루에겐 할 수 있는 일도 많이 있습니다.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게 많이 있다구요! 말이 안 통해도 함께 손을 잡고 걷는 게 즐겁고, 웃으며 함께 도시락을 먹는 것만으로도 즐겁습니다.” (185쪽)


‘어째서 우리들은 가케루와 함께 즐길 수 없는 걸까. 귀가 안 들려서? 아니. 아니다, 아니다! 우리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220쪽)


.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장불륜 1
히가시무라 아키코 지음, 김주영 옮김 / 와이랩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 마음은 모두 마음



《위장불륜 1》

 히가시무라 아키코

 김주영 옮김

 와이랩

 2019.6.21.



  《위장불륜 1》(히가시무라 아키코/김주영 옮김, 와이랩, 2019)를 읽으면서 ‘눈가림’하고 ‘바람 피우기’를 돌아봅니다. ‘나는 이런 모습이 아닌데’ 하고 여기기에 다르게 가거나 꾸미거나 눈가림을 할 수 있으나, ‘우리 스스로 미처 느끼지 못한 모습’이 있어서 어느 날 문득 속모습이 드러날 수 있습니다.


  둘레에서 보기에 멋지거나 부럽다 할 만한 짝꿍이 있다는데 바람을 피우는 사람이 꽤 있대요. 둘레에서는 ‘저이는 아쉬울 일이 하나도 없을 텐데 왜 바람을 피울까?’ 하고 아리송하게 바라보는데, ‘막상 그곳에 있는 그이’로서는 속모습을 감추거나 눈가림을 하면서 ‘난 이 길이 아닌 다른 길로 가고 싶었어!’ 하고 여기곤 합니다. 그래서 그이로서는 ‘둘레에서 보기에 바람 피우는 길’이 아니라 ‘이 길에 예전부터 바라던 내 속마음’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나저나 왜 눈가림을 해야 할까요. 왜 속모습을 감춰야 하나요. 둘레에서 무어라 보든 스스로 바라는 가장 즐거운 길을 갈 노릇이지 않을까요. 남이 보는 눈이 아닌 우리가 보는 기쁨으로 달려갈 길이어야 하지 않을까요.


  눈치를 본다면 사랑이 아닙니다. 사랑을 할 적에는 오직 사랑을 바라봅니다. 둘레에 마음을 빼앗긴다면 사랑이 아니에요. 사랑이라는 마음은 언제나 사랑으로 그득하면서 환합니다.


  예전부터 우리나라를 몹시 좋아하던 히가시무라 아키코 님은 틈나는 대로 서울마실을 했다고 합니다. 《위장불륜》에 나오는 서울 골목이나 가게는 그동안 다닌 곳이라고 하는군요. 두 나라를 오가면서 삶을 누리고 아이를 돌보는 ‘아줌마 그림꽃님’은 언젠가 두 나라 사이를 오가는 이야기로 그림꽃을 펴고 싶었다는데, 이 꿈이 “위장불륜”으로, ‘불륜 아닌 만남’이지만 겉보기로는 ‘불륜처럼 된 만남’이 흐르는 길을 보여줍니다.


  그동안 선보인 그림꽃을 헤아린다면 이 그림꽃도 ‘마음을 속이지 말자’는 생각을 바탕으로 ‘잘생긴 마음도 못생긴 마음도 없이 모두 우리 모습을 고이 드러내는 즐거운 마음일 뿐인걸’로 이어가리라 봅니다. 모쪼록 마지막까지 차근차근 나아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ㅅㄴㄹ


“한국에선 혼자 고깃집 가서 맥주 마시면 이상하게 본다구!” “걱정도 팔자야 언니. 괜찮아, 난 여행 온 외국인이니까.” “너 또 직장 그만둬다면서?” (5쪽)


‘하지만 내 이름을 물어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당연한 질문에 가슴이 두근거린다.’ (41쪽)


‘상대가 훈남이니까 갑자기 태도가 싹 바뀌는구만. 그치만 뭐 그것도 나쁘지 않지. 사람이 그럴 수도 있지 뭐.’ (64쪽)


“일본에서는 쇼코 상처럼 예쁜 분들이 스스로를 아줌마라고 하던데, 왜 그러는 거예요? 유부녀라서?” (80쪽)


‘쓸데없는 허세에서 지가도니 거짓말 때문에 나는 처음 온 서울에서 한국 음식을 먹을 기회를 잃었다.’ (127쪽)


‘그럼 잘 됐네. 거짓말하는 게 맞았던 거야. 서른에 솔로, 게다가 구혼 활동에 지친 백수라고 말했으면 엄청 경계했을 거야. 이 사람은 잘생기고 인기도 많을 테니까. 진지하게 누군가와 사귀고 싶지 않은 거야.’ (1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겁쟁이페달 1
와타나베 와타루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푸른책/숲노래 만화책

천천히 바람을 마시면서 간다



《겁쟁이 페달 1》

 와타나베 와타루

 이형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0.5.15.



  《겁쟁이 페달 1》(와타나베 와타루/이형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0)를 읽으면서 달림이(자전거)하고 삶하고 오늘하고 어린이·푸름이를 생각해 봅니다. 이웃나라 일본을 비롯해 적잖은 나라는 어린이가 스스로 걷거나 달림이를 타고서 배움터를 다니도록 이끕니다. 이웃나라에서도 아이를 씽씽이(자동차)에 태워 배움터를 다니도록 하는 어버이가 더러 있지만, 웬만하면 스스로 걷거나 달림이를 몰도록 해요.


  생각해 봐요. 아이가 집하고 배움터 사이를 스스로 걸을 적에는 무엇을 볼까요? 아이가 집하고 배움터 사이를 씽씽 지나칠 적에는 무엇을 볼까요? 걷지 않는 아이들은 ‘우리 집 곁에 있는 이웃집’을 볼 겨를이 없지 않을까요? 달림이조차 몰지 않는 아이들은 ‘마을을 이룬 숱한 사람’을 만날 틈이 없지 않을까요?


  스스로 걷거나 달림이를 몬다면, 무엇보다도 철이 흐르는 결을 온몸으로 맞아들입니다. 바람을 쐬고 땡볕을 느끼고 눈비를 맞으면서 다 다른 철이며 날씨를 온몸으로 배워요. 동무하고 수다를 떨거나 혼자 생각에 잠기면서 하루를 되새기고요.


  어릴 적부터 걷거나 달림이를 몰면서 어른이 된다면, 이 아이는 ‘걷는 사람’하고 ‘달림이를 모는 사람’을 헤아리는 눈썰미가 됩니다. 스스로 온몸으로 치러낸 삶이 있으니까요. 이와 달리 어버이 씽씽이에 폭 안겨서 이웃도 마을도 날씨도 느끼지 않고서 어른이 된 아이라면, 이 아이가 나라지기나 벼슬아치가 될 적에 무엇을 생각하거나 펼 만할까요?


  하늘집(옥탑집)이나 땅밑집(지하주택)을 모르는 나라지기는 이제 그만 구경해야지 싶어요. 버스삯이며 전철삯을 모르는 나라일꾼도 이제 그만 만나야지 싶습니다. 이뿐이 아니지요. 아기 똥기저귀를 갈 줄 모르는 벼슬아치나 글쟁이라면, 아이랑 소꿉놀이를 할 줄 모르는 벼슬꾼이며 글꾼이라면, 이제 사라져야지 싶어요.


  두 손으로 하루를 짓는 씩씩하고 즐거운 사람으로 서도록 가르치고 이끌 어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림꽃책 《겁쟁이 페달》은 아주 잘 짠 줄거리는 아니지 싶으나, 두렴쟁이에 말주변까지 없는, 딱히 잘하는 일이 없다 싶은 아이가 두 다리로 발판을 구르면서 새롭게 마시는 바람맛을 비로소 깨달으면서 천천히 자라나는 길을 들려줍니다.


  빨리 자라야 하지 않아요. 더디 자라도 좋아요. 빨리 닿아야 하지 않아요. 느긋이 닿아도 즐거워요. ‘언제’ 가느냐가 아닌 ‘어떻게’ 가느냐를 살필 노릇입니다. ‘누구’랑 가고, ‘무엇을 하면’서 가느냐도 살필 노릇이에요.


  곁에 아이가 있다면 서로 손을 잡고 천천히 걸어요. 아이가 달리고 싶어 하면 이제 손을 놓고 함께 달려요. 이마에 땀방울이 한 줄기 흐를 때까지 땅을 박차요. 그리고 활개를 치면서 활짝 웃고 노래해요.

.

ㅅㄴㄹ

.

“죄송합니다. 설마 이 길을 자전거로 달리는 애가 있을 거라고는 생각지 못해서.” “흥. 타카하시, 잘못 본 거 아니야? 달리는 게 아니라 밀고 가는 거겠지. 10단 기어의 로드레이서라면 몰라도. 방금 거 그냥 아줌마 자전거였어.” (19쪽)


“괘, 괜찮아요. 자전거가 있으니까.” (30쪽)


‘나는 약골로도 만족해. 패기가 없으면 나쁜 거야? 나는 원래부터 목소리가 작아. 운동 못하는 사람은 우습게 보고. 큰 목소리로 위압하고 힘으로 찍어누르고. 언제나 자기가 올바르다고 착각하고 있어!’ (87쪽)


‘굉장하다. 자전거는 의외로 알수록 깊은 맛이 있는지도! 가자. 따라잡자.’ (159쪽)


“밟으면 밟을수록 나아간다는 건 즐겁네. 이마이즈미!” (172쪽)

.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라라 5
킨다이치 렌쥬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푸른책/숲노래 만화책

꽃차림새는 무엇일까



《라라라 5》

 킨다이치 렌주로

 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18.6.25.



  《라라라 5》(킨다이치 렌주로/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18)을 읽으면서 집안을 이루는 여러 사람이 서는 자리를 생각합니다. 우리는 왜 한집안으로 살아갈까요? 한지붕을 이는 사이라면 서로 어떤 마음이자 눈빛일 적에 즐겁거나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울까요?


  같이산다면 서로 즐거워야겠지요. 함께살기에 서로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워야겠지요. 남들 앞에서 보여주는 겉모습이 아닌, 속으로 서로 아끼며 돌보는 숨결일 노릇이리라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이런 말조차 으레 입에 말린 이야기가 되기 일쑤인 터전입니다. 겉모습 아닌 속모습을 읽자고 입으로 말하더라도, 정작 우리는 속모습을 읽는 눈을 스스로 잃고서 겉모습을 훑는 데에서 그칩니다. “아니, 겉보다 속이 대수롭다지만, 다른 사람은 다들 속보다 겉을 보잖아요?” 하면서 겉치레를 하지요. “아무리 속이 대수로운들 옷을 안 입고 어떻게 살아?” 하면서 겉을 꾸미지요.


  꽃차림새로 꾸미는 일은 하나도 안 나쁩니다. 좋다고까지 할 만합니다. 다만, 옷이나 얼굴이나 몸매나 자가용이나 책이나 배움끈(학력)만 꽃차림새라면 겉발림입니다. 마음이 꽃차림새가 아니라면, 마음으로 읽고 듣고 받아들이면서 배우고 사랑하는 꽃차림새가 아니라면, 한낱 부질없는 몸짓이라고 느껴요.


  남들이 좋게 봐주어야 하니까 겉을 꾸며야 하나요? 남들이 다 읽는 책이니까 우리도 따라서 읽어야 하나요? 스스로 아름답게 노래하고 싶기에 가꾸는 몸이요 마음인가요? 스스로 사랑을 익히며 아름답고 즐거이 하루를 지으려고 손에 쥐어 읽는 책인가요?


  눈을 감아야 볼 줄 압니다. 눈을 감고서 본 다음에 눈을 뜰 노릇입니다. 겉눈이 아닌 속눈을 뜰 노릇입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가 아이를 겉모습으로만 따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어버이 곁에 선 아이가 어른한테서 겉모습만 물려받거나 따른다면 어떤 삶이 될까요? 겉모습이 대수롭다면 꽃처럼 차려 놓고서 자린고비처럼 눈으로만 먹으면 돼요. 속모습이 대수롭다면 꽃처럼 차리든 그냥그냥 차리든 다같이 둘러앉아 노래하는 수다판으로 밥차림을 누리면 됩니다.


ㅅㄴㄹ


“키리시마도 20년 넘게 살아왔으니 이미 알고 있을 텐데? 정상적인 인간은 의외로 몇 없고 정상적이지 않은 인간이 의외로 많다는 것.” (8쪽)


“그 아이, 척 보아하니 사리분별이 되는 나이인 듯한데, 그 녀석은 나쁜 짓이라는 걸 뻔히 알면서도 그러고 있는 거죠. 근데 어른이 주의를 주지 않으면 어떡해요? 이대로 놔두면 본인은 나쁜 짓을 해도 괜찮은, 선택받은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된다고요 …… 굳이 야단 치지 않아도 돼요. 다만, 나쁜 짓을 하면 어떻게 되는지 그가  납득할 때까지 끈기 있게 몇 번이고 설명해야 해요.” (30쪽)


“누가 구슬땀 흘려가며 일해서 번 돈을 불쾌한 악동한테 준대?” “저기요, 너무 어른스럽지 못 하잖아요.” “봤지? 불쾌한 녀석은 미움 받기 때문에 손해 보는 거야. 지금 이런 상태론 넌 그 누구한테도 예쁨 받지 못 해. 그래도 괜찮다면 그냥 이대로 불쾌한 녀석으로 살든가.” (36쪽)


“죽으려고 맘만 먹으면 언제 죽어도 괜찮다, 난 5살 때 그 사실을 깨달은 뒤로 사는 게 편해졌어요.” (73쪽)


“주위가 달라져도 자신이 변하지 않으면 세계도 달라지지 않아. 난 이시무라 씨를 만나고 달라졌어. 이시무라 씨 덕분에 달라졌다고도 볼 수 있지만, 나 자신이 변하고자 했기 때문에 달라질 수 있었다고 생각해. 이시무라 씨가 그렇게 믿게 해줬어.” (13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미소우 완전판 - 상
오시키리 렌스케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숲노래 푸른책/숲노래 만화책

밖에서 오지 않은 사람이란



《미스 미소우 上》

 오시키리 렌스케

 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18.6.30.



  《미스 미소우 上》(오시키리 렌스케/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18)에는 ‘19세 미만 구독 불가’란 붉은 띠가 붙습니다. 사람이 서로 죽이고 죽는 모습을 꽤 고스란히 담아내기에 이처럼 붉은 띠를 붙이는구나 싶은데, 나라 곳곳에서 벌어지는 숱한 따돌림이나 괴롭힘질도 ‘아이가 보면 안 될 짓’이라고 느낍니다.


  나라지기나 벼슬아치가 저지르거나 벌이는 못난 짓이 안 끊입니다. 저쪽에서 나라지기나 벼슬아치를 맡았든, 이쪽에서 나라지기나 벼슬아치를 맡았든, 힘을 부리고 이름을 날리며 돈을 거머쥔 쪽이라면 으레 못난 짓을 벌이더군요. 가만히 본다면 그림꽃책 하나에 ‘보면 안 됨’이라는 붉은 띠를 붙일 노릇이 아니에요. 모든 새뜸(신문)에 붉은 띠를 붙여야 하지 않나요? 볼썽사나운 이야기가 날마다 쏟아지지 않나요?


  잘못을 저지르고도 감추는 어른이 수두룩합니다. 잘못을 저지른 다음 돈을 먹여 붓쟁이(작가·기자)를 구워삶는 어른이 수두룩할 뿐 아니라, 뒷돈을 받고서 잘못을 덮는다든지, 마치 잘못이 없었다는 듯이 꾸미는 어른이 넘칩니다. 돈을 벌고 이름을 얻고 힘을 누릴 수 있다면, 뒷돈쯤이야 대수롭지 않다고 여기는 어른이 참으로 많아요.


  아이들이 왜 사나울까? 아이를 낳아 돌본다는 어른부터 사납거든요. 아이들이 왜 서로 돌보거나 아끼지 않고 서로 따돌리거나 괴롭힐까요? 바로 어른들이 서로 따돌리거나 괴롭히거든요. 아이들은 모두 지켜보고서 고스란히 따라합니다. 어른 스스로 착한길을 걷는다면 아이도 이를 지켜보고서 착한길을 걸어요. 어른 스스로 몹쓸길을 걸으면서 아이한테만 몹쓸길 아닌 착한길을 걸으라 하면, 아이는 어느새 겉속이 다른 두 갈래로 나아가겠지요.


  밖에서 오지 않은 사람은 없습니다. 그리고 밖에서 오든 아니든, 모두 이곳에 함께 있습니다. 나랑 다른 사람을 이웃으로 여기지 못하는 마음이라면, 아무런 사랑이 없겠지요. 다시 말해서, 저쪽을 미워하는 이쪽이랑 이쪽을 싫어하는 저쪽은 똑같이 사랑하고 동떨어집니다. 둘은 한통속이 됩니다.


ㅅㄴㄹ


“도쿄로 돌아가, 멍청아. 그 쓰레기장에서 자빠져 잠이나 자라고! 너 같은 외부인하고 같이 졸업하는 건 절대로 싫어!” (22쪽)


“아무 일도 없다고요? 아니, 하지만 제 딸은 어제도 진흙투성이가 돼서 돌아왔단 말입니다.” “그걸 왜 저희 학생들이 괴롭힌 거라고 단정하시는 거죠?” “자기 학생들을 감싸려는 기분도 알겠습니다만, 제 딸도 당신의 학생입니다. 조금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시나요?” “글쎄요.” (29쪽)


“노자키. 카메라는 정말 좋아. 좋은 걸 찍고 싶다는 기분은 정말. 함께 해보지 않을래?” (67쪽)


“그렇지만 말야, 마미야. 내가 좀 글러먹은 건지는 몰라도 그때 무척이나 마음이 두근거렸어. 그동안 쌓이고 쌓았던 게 단번에 해방된 것 같은 기분이었거든.” “너라는 존재 자체가 글러먹은 거야.” (132∼133쪽)


“넌 아무것도 몰라. 아무튼 나는 완전 질렸어. 시골 이발소가 아니라, 도쿄에서 바쁘게 일하고 싶어. 내가 이런 곳에서 끝날 거라 생각하고 싶지도 않고. 여기에 정 붙여서 사는 내가 되고 싶지도 않아.” (31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