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주 선 나무
유경환 지음, 이혜주 그림 / 창비 / 2002년 11월
평점 :
숲노래 시읽기 2022.9.24.
노래책시렁 245
《마주 선 나무》
유경환
창작과비평사
2002.11.30.
〈조선일보〉에서 글꾼(기자)으로 일했기에 나쁜 사람일 수 없습니다만, 서슬퍼렇던 나날 그곳에서 일삯을 받은 사람을 좋게 보기는 어렵습니다. 더구나 문화부장·편집부장·논설위원을 하면서 우두머리(대통령)를 비롯한 힘꾼(권력자)하고 사이좋게 지낸 이가 노래꽃(동시)을 썼다면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더구나 이 노래꽃을 ‘창비어린이(창작과비평사)’에서 선보였다면, 펴냄터가 넋이 나갔다고 밝히거나 ‘윤석중 동심천사주의를 어린이한테 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여길 만해요. 《마주 선 나무》를 읽으면 “때묻은 깃발”이라든지 “나만이 아는 그리운 노래”라든지 “1학년 그 귀여운”처럼 도무지 어린이스러울 수 없는 눈길을 엿볼 만합니다. 아이를 귀염둥이로 내려다보는 ‘귀염글(동심천사주의)’이자, ‘어른만 느끼는 옛생각(추억)에 잠긴 글치레’입니다. 아이들은 “때묻은 깃발”을 말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리운 노래”를 읊을 때가 아니에요. 신나게 땀흘리며 뛰놀며 노래를 쩌렁쩌렁 외칩니다. 누구나 글을 쓸 노릇이요, 어느 곳에 몸을 담갔어도 나쁠 수 없습니다. 그저 구경하는 마음이나 몸짓은 구경스런 글에 스스로 갇히고, 구경할 뿐이기에 자꾸 꾸미고 치레하고 덧바릅니다. 그만 구경하고 삶자리로 갑시다.
ㅅㄴㄹ
기차 / 지나간 뒤 // 때묻은 / 깃발처럼 // 흩날린다. (뒷모습/14쪽)
층계를 내려올 땐 / 가슴 속 / 노래가 / 찰랑대지요 // 나만이 아는 / 그리운 노래를 / 심심할 땐 혼자서 / 부르지요. (혼자 노는 아이/26쪽)
깃발처럼 나부끼는 잎 / 마음껏 뻗어 기지개 켜던 팔 // 1학년 그 귀여운 두 귀에 / 얼마나 옛얘기 담아 줄 수 있을까 (나무의자/11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