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학 시선 K-포엣 시리즈 5
안상학 지음, 안선재(안토니 수사)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7.7.

노래책시렁 324


《그대 무사한가》

 안상학

 한길사

 1991.10.5.



  저는 1995년에 어버이집에서 제금나면서 몇 가지를 안 쓰기로 다짐했습니다. 보임틀(텔레비전)·쇳덩이(자동차)·바람이(선풍기)·빨래틀(세탁기) 없이 살아갑니다. 이 가운데 빨래틀은 2013년 무렵 비로소 들였으나, 혼자 빨래할 적에는 안 씁니다. 겨울에도 으레 손빨래를 하고, 빨래틀은 선반 구실입니다. 싱싱칸(냉장고) 없이 열다섯 해쯤 살기도 했습니다. 손발에 두바퀴(자전거)가 있으니, 이모저모 없대서 삶이 고단할 일이 없습니다. 그리고 눈코귀로 둘레 숨결을 느끼고, 마음으로 풀꽃나무를 마주하면 하루가 느긋하면서 넉넉합니다. 《그대 무사한가》는 1991년에 나온 꾸러미입니다만, 적잖은 분들은 이 꾸러미에 나오는 글 비슷하게 적어야 ‘시·문학·예술’인 듯 여긴다고 느낍니다. 곰곰이 생각할 노릇입니다. ‘실내포장 아저씨’라든지 ‘공장으로 떠난 돌쇠’라든지 ‘진달래꽃 따먹던 어린 아버지’를 글로 담는 ‘글순이(여류시인)’이 있을까요? 아주 없지는 않겠습니다만, 우리나라 글쟁이는 스스로 굴레에 가두어 ‘글 아닌 굴레’를 퍼뜨린다고 느낍니다. ‘굴레를 쓰기’에 나쁘지 않습니다만, 이 나라 ‘시·문학·예술’이 온통 ‘글쓰기 아닌 굴레쓰기’라면 좀 걷어내야지 싶어요. 굴레가 있어야 삶이 있지 않아요.


ㅅㄴㄹ


이런 날엔 당신이 생각납니다 할머니 / 죽어서도 갈 수 없었던 당신의 고향 황해도와 / 진달래꽃 따먹던 유년의 봄을 그리워하신 / 생전의 당신 모습이 진달래꽃 수놓인 / 북한제 고무신 한짝을 보노라면 불현듯 생각납니다 (꽃 고무신/15쪽)


감꽃 속에 웃던 웃음 그대로 여섯 해를 / 천방따라 학교길 잘도 따라 오가더니 / 중학교에 갈 때는 더는 따라 못 오고 / 대구 어느 공장으로 떠나간 순연이 (어개골/22쪽)


총각, 총각은 어쩌다가 혼자 술을 마신당가 / 내가 결혼하고 돌아서서 서방 잃고 / 전라도 충청도 떠돌다 / 사람 설은 경상도로 흘러왔지만, / 총각, 오늘이 내 결혼 십주년 기념일이여 / 비에 젖어 뽕짝에 한잔했지라 / 오늘은 내가 한잔 낼 텐께 마음 놓고 한잔혀 / 그래 그날도 오늘같이 비가 억수로 내렸제 / 비내리는 인천 송도 바닷가에서 / 다홍치마 적셔가며 사진 찍을 때 그랬지라 / 내 평생 비바람은 이 사람이 막아줄끼라 (실내포장 아줌마/5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7.7.

노래책시렁 346


《주민등록》

 하일

 민음사

 1985.4.15.



  생각을 나타내기 어렵다고 말씀하는 분이 곧잘 있는데, ‘눈치보기’ 아닌 ‘눈길보기’를 하면 누구나 스스럼없이 생각을 밝히며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로 눈길이 아닌 눈치를 볼 적에는 생각도 마음도 느낌도 뜻도 못 밝히거나 가리거나 감추거나 꾸밉니다. 말을 안 하는 사람은 없기에, 뒷북으로 말을 하더라도, 스스로 즐겁게 말을 터뜨린다면, 이 말을 고스란히 옮기면서 하나하나 누릴 적에 저절로 노래로 피어납니다. 사랑이 먼발치에 없듯, 노래도 먼발치에는 없습니다. 살림을 우리 손으로 스스럼없이 일구며 즐겁듯, 글도 노래도 우리 깜냥껏 두런두런 부를 적에 아름답습니다. 《주민등록》은 어느새 감쪽같이 사라진 노래책입니다. 이런 노래책이 진작 나온 적 있어서 놀라고, 이런 노래책이 더 읽히지 않아서 놀랍습니다. 삶을 찾고 살피며 노래하는 목소리는 어느새 사라지거나 파묻히고, 겉으로 훑는 허울에 너스레에 탈춤이 판치는 나라입니다. ‘시’도 ‘문학’도 ‘예술’도 안 해야 노래를 부릅니다. ‘시·문학·예술’에 ‘문화·교육·K’를 붙이는 모든 곳에는 겉치레가 넘실거립니다. 놀이는 누가 가르치지 않습니다. 스스로 놉니다. 노래는 누가 가르칠 수 없습니다. 스스로 불러야 노래입니다.


ㅅㄴㄹ


다섯 명 가족 다 뉘어도 평 반이면 된다. 가구같이 하나님 서 계시리라 믿으며, 부엌 안에 하나님 들어오시리라 믿으며(밥과 반찬 주시니 항상 감사합니다). 아내도 나를 믿는다. 내일은 방세를 낼 것이라 믿으며, 내일은 쌀을 사 올 것이라 믿으며, 아내의 믿음은 참 나를 유능하게 만든다. 아이들의 기도는 참 나를 유능하게 만든다. (유능할 뿐/12쪽)


신문 방송에서 믿을 건 광고뿐이다, 아니다, 하고 때로는 다투었지. 때로는 다투며 새벽까지 소주를 나누어 마시다가, 교회의 잠긴 門 밖에서 유행가를 불렀지. 요즈음 잘 팔리는 게 예수냐? 아니면 그리스도냐? 서로 묻기도 했었지. (동행/28쪽)


부산 시립도서관에서 83년도 아동도서목록을 뒤적이다가, 등장하는 영웅들을 세어 보니 83명이었다. 그 중 우리나라 사람은 53명으로 전체의 60%였고 60&를 다시 유형별로 다시 분류해서 장군이 17명(32%) 소위 예술가 3명(약 6%)이었다. 우리나라는 영웅 많구나. 영웅이 많구나. 우리는 그들의 후손이다. 그럴까? 하며 집으로 왔는데 다섯 살 큰딸년이 “아빠, 장군은 별을 달아야지요? 그라마 이순신 장군은 별이 몇 개였어요?” 하고 물었다. 나는 “그때는 장군들이 별을 안 달았어요” 했더니 큰딸년도 둘째딸년도 한참 고개를 갸우뚱한 후 “아빠 거짓말” 하며 내 뺨을 때렸다. (별 이야기/4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엉겅퀴 봄날의책 세계시인선 8
라이너 쿤체 지음, 전영애.박세인 옮김 / 봄날의책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7.7.

노래책시렁 347


《은엉겅퀴》

 라이너 쿤체

 전영애·박세인 옮김

 봄날의책

 2022.4.18.



  누구나 노래합니다. 그런데 나날이 노래님이 사라집니다. 누구나 했고 누구나 들려주며 누구나 듣던 노래였으나, 이제는 어느 높다란 마당에 올라가지 않으면 노래를 벙긋해서는 안 된다고 여깁니다. 이름을 높이거나 돈을 버는 ‘장삿노래’가 휘감습니다. 노래란, 늘 놀이랑 맞물립니다. 노래하는 이는 놀이를 하지요. 노는 이는 노래를 해요. ‘노래’랑 ‘놀이’는 함께 흐릅니다. 하나만 있을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어느덧 온누리는 노래하고 놀이가 쩍 갈려요. 아니, 서울살림(도시문명)은 둘을 떨어뜨리면서 돈벌이(상업주의)로 휘두릅니다. 《은엉겅퀴》를 읽다가 놀랐습니다. 독일글하고 한글을 나란히 놓았기에, ‘독일 노래’를 우리 스스로 얼마나 엉뚱하거나 뜬금없거나 어설피 옮기는지 더없이 또렷하게 느낍니다. 왜 노래를 노래로 옮기지 않을까요? 왜 노래를 갉아먹을까요? 모든 노래는 놀이입니다. 소릿결이 가락으로 춤추는 말씨인 노래인데, 왜 글치레에 꾸밈질에 일본 한자말에 옮김말씨를 잔뜩 끼워넣고, 줄까지 함부로 바꿀까요? 독일글에서라면 ‘나무들·애벌레들’처럼 적을는지 모르나 한글로 옮길 적에는 ‘나무·애벌레’입니다. ‘속·위·안·아래·-고 있다’ 같은 말씨를 찬찬히 가릴 적에 비로소 ‘우리말’입니다.


ㅅㄴㄹ


나무들이 / 애벌레들의 노래를 칭찬하고 있어 (지빠귀와의 대화/45쪽)


하루하루는 / 한 장의 편지 // 저녁마다 / 우리는 그것을 봉인한다 (매일/81쪽)


#ReinerKunze



《은엉겅퀴》(라이너 쿤체/전영애·박세인 옮김, 봄날의책, 2022)


어느 날 우리, 문득 영혼 속이 떨리리

→ 어느 날 문득 넋이 떨리리

15


믿음의 균열을 뚫고 비쳐 나오는 무(無)

→ 믿음 틈새를 뚫고 비쳐 나오나 없다

23


하지만 조약돌도 가져간다, 손 안에 고인 온기를

→ 그러나 조약돌은 따뜻한 손을 잡는다

→ 그렇지만 조약돌은 포근한 손을 쥔다

23


발언하라 그 말을

→ 밝혀라 그 말을

→ 외쳐라 그 말을

29


그래서 나로 하여금 알게 한다

→ 그래서 나는 안다

→ 그래서 나는 알아차린다

37


나무들이 애벌레들의 노래를 칭찬하고 있어

→ 나무가 애벌레 노래를 기려

→ 나무가 애벌레 노래를 추켜

45


하루하루는 한 장의 편지 저녁마다 우리는 그것을 봉인한다

→ 하루하루는 글월 한 자락 우리는 저녁마다 붙인다

81


산(山)에다 대고 문 두드려야 한다

→ 멧골에 두드려야 한다

→ 메에 두드려야 한다

123


천국, 열려 있다

→ 하늘, 열렸다

133


일시에 죽는다

→ 나란히 죽는다

→ 덩달아 죽는다

→ 냉큼 죽는다

→ 같이 죽는다

141


그녀를 삶에서 데리고 나오는 것

→ 그이를 삶에서 데리고 나오기

→ 그 사람을 삶에서 데리고 나오기

159


한데 우리가 없어도 지구가 있고 우주도 있지만 시(詩)는 없다

→ 그런데 우리가 없어도 푸른별 있고 온누리 있지만 노래는 없다

165


낯선 나라들에 있던 작은 고향들

→ 낯선 나라에 있던 작은 마을

→ 낯선 나라에 있던 작은 배냇터

169


놀라움이 커지는 나이

→ 크게 놀라는 나이

→ 한껏 놀라는 나이

→ 더욱 놀라는 나이

17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라리 랜덤 시선 39
박진성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6.19.

노래책시렁 343


《아라리》

 박진성

 랜덤하우스코리아

 2008.4.30.



  사랑이란, 살내음이 아닙니다. 살내음은 살내음일 뿐, 사랑도 사랑내음도 아닙니다. 사랑이란, 손잡기나 살섞기가 아닙니다. 손잡기나 살섞기는 손잡기나 살섞기일 뿐, 사랑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숱한 사람들은 사랑이 아닌 곳에 자꾸 사랑이라는 낱말을 붙입니다. 살내음·손잡기·살섞기를 하면서 자꾸 ‘사랑’이라는 낱말을 내세웁니다. 사랑을 배운 적이 없고, 사랑을 지은 적이 없고, 사랑을 나눈 적이 없고, 사랑을 그린 적이 없다면, 몸뚱이로 부비대는 길에 갇힙니다. 사랑을 펴고, 사랑을 가꾸고, 사랑으로 노래하는 사람들은, 이 사랑으로 스스로 반짝이는 눈빛으로 거듭나면서 온누리에 사랑씨앗을 푸르게 흩뿌려요. 《아라리》를 읽는 내내 ‘난 사랑받지 못 하며 살았어!’ 하는 혼잣말을 느낍니다. 그런데, ‘사랑을 알지 못 하고, 스스로 사랑을 짓지 않았다’면, ‘사랑을 못 받은 줄’ 어떻게 알지요? 사랑을 모르는 숨결이라면, 사랑을 받았다거나 했다고 여길 수 없어요. 사랑을 아는 사람이라면, 살섞기가 아닌 사랑빛으로 살아가고 노래하고 웃을 뿐 아니라, 모든 말이 사랑으로 피어나요. 다시 말해서, 누구나 사랑을 받아서 태어나지만, 사랑을 스스로 찾아나서지 않기 때문에 ‘사랑받은 줄 모를’ 뿐입니다. 겉치레예요.



만져진다, 네 발톱에서 미끄러지는 나의 지문들, 소용돌이친다 (오래된 싸이월드/102쪽)


도대체가 약발이 들지 않는 날이에요 신경을 안정시키지 못한 알약이 속을 우려내고 액체로 헹구네요 새벽이구요 나는 공터로 나가는데요 (약발이 받지 않는 날/122쪽)


연속극에선 젊은 여자가 왼갖 신경질 내면서 배를 움켜잡고 끙끙대더란 얘기. 생리통 앓는 소리가 화면 조정 소리처럼 길고 길더란 얘기. / 어머니가 母로 누워 있다. 어머니가 모로 누워 울고 있다. 어머니가 폐경기를 지나고 있다. (어머니의 생리/128쪽)



《아라리》(박진성, 랜덤하우스코리아, 2008)


늙은 여자들 평상에 앉아 화투(花鬪) 친다

→ 할매들 바깥마루 앉아 꽃짝 친다

→ 늙은 순이들 바깥채 앉아 꽃짝 친다

12쪽


한 달 치 생활비는 잘 받았습니다

→ 한 달 살림돈은 잘 받았습니다

→ 한 달 삶돈은 잘 받았습니다

18쪽


별빛은 두텁게 가려져 있고 시계(視界)를 가늠하지 마라

→ 별빛은 두껍게 가렸고 눈을 가늠하지 마라

30쪽


불빛이 뿜어내는 열(熱) 속에서

→ 불빛이 뜨거운데

→ 불빛으로 뜨거운데

41쪽


바람이 상여를 흔드는 것이 아니다

→ 바람이 가마를 흔들지 않는다

11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망의 나이 창비시선 107
김정환 지음 / 창비 / 199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6.19.

노래책시렁 345


《희망의 나이》

 김정환

 창작과비평사

 1992.11.5.



  우리를 둘러싼 숨결이 무엇일까 하고 이웃님한테 묻다가 ‘아차, 잘못했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하루 내내 새·개구리·풀벌레 노래에 바람·구름·해·별 노래를 듣는 터전이 아니라, 쇳덩이·잿더미가 가득한 터전에서는 ‘숨결’을 느끼거나 헤아릴 틈이 없게 마련입니다. 저는 시골에서 부채조차 거의 안 쓰면서 보내니, 바람이(선풍기·에어컨)는 집에 들여놓지도 않는데, 시골조차 읍내나 버스에서는 바람이를 싱싱 틀 뿐, 들바람을 누리려 하지 않습니다. 《희망의 나이》를 다시금 읽다가 예전부터 마음에 안 와닿던 까닭을 어렵잖이 알아챕니다. 이 꾸러미를 여민 분을 비롯해 거의 모두라 할 글꾼은 서울(도시)에서 삽니다. ‘이름까지 서울’인 곳에서 살든 ‘이름만 서울이 아닌’ 곳에서 살든, 다 ‘서울’입니다. ‘이쁘장한 호프집 여종업원’을 그리는 글이 나쁘다고 여길 수는 없으나, 늘 술집마실을 하면서 늘 술고래로 헤엄치는 판에서 끌어낼 만한 글은 너무 뻔합니다. ‘헌책방’이라는 이름인 글은 뭘 말하려는 셈이었을까요. 헌책집에는 ‘손길책’이 있습니다. 손길을 받아 오래오래 읽힌 책이 있고, 미처 손길을 못 받고 숨죽이는 책이 있고, 앞으로 손길을 받고픈 새책이 있는 데가 ‘헌책집’입니다. 참으로 딱합니다.


ㅅㄴㄹ


그날 4차까지 가고 헤어졌다 / 교수인 그는 지하철 막차를 탔다 / 나는 택시를 타고 꽤 미인이었던 / 호프집 알프스 복장의 여종업원 얼굴과 / 그의 안경테가 밤 한강 파돗물에 / 출렁이는 것을 달리며 보았다 (안경/83쪽)


망하지 않았다면 절망했으리 / 그 사이에 네가 있다 / 내가 진열창 밖에서 여직 / 그 속에 있으므로 더욱 그렇다 / 식구들은 안녕할 것인가 / 낭만적이던 것은 끝났다 모두 / 시대는 수척하지 않고 날씬하다 / 그 사이에 내가 있다 (헌책방/86쪽)



《희망의 나이》(김정환, 창작과비평사, 1992)


고층건물도 뒤집어보면 계단이다

→ 높은집도 뒤집어보면 디딤돌이다

89족


자본주의의 裏面으로서 되돌아보면 눈 내려 시간이 깔리고

→ 돈나라 뒷낯으로 되돌아보면 눈 내려 하루가 깔리고

10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