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함께 있을게 웅진 세계그림책 120
볼프 에를브루흐 글 그림, 김경연 옮김 / 웅진주니어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4.

그림책시렁 1324


《내가 함께 있을게》

 볼프 에를브루흐

 김경연 옮김

 웅진주니어

 2007.10.31.



  열여섯 살 아이가 여덟 살이던 무렵에 《내가 함께 있을게》를 함께 읽은 적이 있습니다. 그즈음 아이는 이 그림책이 어렵다고 얘기했습니다. 열여섯 살에 이르러 다시 읽고 싶다고 하기에 스스럼없이 챙겨서 건네었습니다. ‘테리 프래쳇’ 님이 쓴 《디스크 월드》를 읽고서 ‘죽음’을 다룬 그림책을 새로 살피고 싶다고 하더군요. 《내가 함께 있을게》를 차근차근 되읽은 아이는 굳이 안 읽어도 되었다면서 쓸쓸히 웃습니다. 왜 그러냐 물으니, 이 그림책은 죽음도 삶도 제대로 못 다루거나 안 다뤘다고 얘기합니다. 그래요, 어느 모로 보면 그렇습니다. 무엇보다도 책이름부터 잘못 옮겼습니다. 독일말로는 “오리, 죽음, 봉긋꽃(Ente Tod und Tulpe)”으로 나왔는데, 왜 뜬금없이 바꿨을까요? 책이름만 바뀌었을까요? 몸글도 잘못 옮긴 데가 있지 않을까요? 삶이 좋거나 죽음이 나쁘지 않습니다. 우리 넋한테는 죽음이 없습니다. 우리 몸한테만 헌옷과 새옷이 있습니다. 풀줄기한테서 얻은 실로 짠 옷은 닳으면 흙으로 돌아가 새롭게 풀로 자랍니다. 그러면 새 풀줄기한테서 새 실을 얻어 새옷을 짓지요. 몸도 이와 같아요. 넋은 옷처럼 몸을 갈아입습니다. 이 그림책은 ‘봉긋꽃을 든 죽음’이라는 대목을 제대로 안 짚으면 샛길에서 헤맵니다.


ㅅㄴㄹ


#EnteTodundTulpe #WolfErlbruch


+


《내가 함께 있을게》(볼프 에를브루흐/김경연 옮김, 웅진주니어, 2007)


얼마 전부터 오리는 느낌이 이상했습니다

→ 오리는 얼마 앞서부터 야릇했습니다

→ 오리는 요사이에 꺼림했습니다

→ 오리는 요즈음 뭔가 느꼈습니다

4쪽


대체 누구야? 왜 내 뒤를 슬그머니 따라다니는 거야?

→ 누구야? 왜 내 뒤를 슬그머니 따라다녀?

4쪽


지금 나를 데리러 온 거야?

→ 오늘 나를 데리러 왔어?

→ 이제 나를 데리러 왔니?

6쪽


나는 네 곁에 있었어. 만일을 대비해서

→ 나는 네 곁에 있어. 기다리면서

→ 나는 네 곁에 있어. 지켜보면서

7쪽


독감에 걸린다거나 사고가 난다거나

→ 고뿔에 걸린다거나 다친다거나

8쪽


죽음만 아니라면 괜찮은 친구였습니다

→ 죽음만 아니라면 반가운 동무입니다

→ 죽음만 아니라면 서로 즐겁습니다

10쪽


아무도 죽음에게 그런 제안을 해 준 적이 없었습니다

→ 아무도 죽음한테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습니다

→ 아무도 죽음한테 이렇게 얘기한 적이 없습니다

17쪽


나무 위에 있으니 괴상한 생각만 든다

→ 나무에 오르니 얄궂은 생각만 든다

26쪽


아주 조용히 누워 있었습니다

→ 아주 조용히 누웠습니다

30쪽


하지만 그것이 삶이었습니다

→ 그런데 삶은 이렇습니다

→ 그러나 삶이란 이런걸요

3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1마리 올챙이
가코 사토시 글.그림, 정은지 옮김 / 내인생의책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4.

그림책시렁 1323


《101마리 올챙이》

 가코 사토시

 정은지 옮김

 내인생의책

 2011.7.22.



  작은못도 큰못도 저마다 다른 누리입니다. 작은별도 큰별도 다 다른 삶터입니다. 작은집도 큰집도, 또 작은마을도 큰마을도 서로 사랑을 나눌 적에 아름다운 터전입니다. 어버이는 어질게 살림을 펴면서 아이를 보살피는 길을 배웁니다. 아이는 어버이 곁에서 신나게 노는 동안 이 하루를 새롭게 맞아들이고 기뻐서 노래합니다. 《101마리 올챙이》는 어미 개구리가 아이 올챙이랑 함께 못물살림을 하면서 부닥치는 하루를 들려줍니다. 못물이나 논이나 냇물에서 보면, 올챙이는 스스로 가싯길을 헤쳐나가고, 서로 뭉쳐서 씩씩하게 하루를 열게 마련입니다만, 먼먼 옛날부터 숱한 목숨붙이가 어디에서나 어우러지면서 한살림을 이었어요. 우리는 뭇이웃을 눈여겨볼 수 있을까요? 우리는 사람만 살아갈 셈인가요? 우리는 이 별이 사랑으로 반짝이는 보금자리를 이루도록 마음을 기울일 수 있을까요? 그림결은 살갑고 물빛은 싱그럽습니다. 다만 자꾸 어미 개구리를 ‘아이를 나무라는 어버이’처럼 그리는 대목은 아쉽습니다. “놔두고 가버릴 거야!” 같은 말은 조금도 어른스럽지 않거든요. ‘무찌른다’고 읊는 대목도 아쉽습니다. 들은 들로, 숲은 숲으로, 풀밭은 풀밭으로, 못은 못으로, 이 별은 이 별대로 고스란히 담기만 하면 됩니다.


ㅅㄴㄹ


#おたまじゃくしの101ちゃん #加古里子


+


자꾸 한눈팔면 놔두고 가버릴 거야

→ 자꾸 한눈팔면 놔두고 갈게

→ 자꾸 한눈팔면 놔두고 가야겠어

4


나란히 줄을 서 보자. 준비됐니?

→ 나란히 줄을 서 보자. 됐니?

→ 나란히 줄을 서 보자. 다 됐니?

7


도대체 어딜 간 거니?

→ 아니 어딜 갔니?

8


여기서 동그라미 만들기 놀이를 했는데

→ 여기서 동그라미를 그리며 놀았는데

10


이 저수지는 우리 조상 대대로 살던 곳이라고

→ 이 못은 우리 옛어른이 내내 살던 곳이라고

→ 이 못물에서 우리 옛님이 길이길이 살았다고

18


상대는 난폭한 녀석이니까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해

→ 저놈은 사나우니까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해

→ 저 녀석은 날뛰니까 다 같이 힘을 모아야 해

20


백한 번째의 말을 듣고는

→ 온한째 말을 듣고는

→ 온한째가 말을 하자

20


저수지는 다시 조용해졌어요

→ 못은 다시 조용합니다

→ 못물을 다시 조용해요

3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의 발견 잘웃는아이 9
박규빈 지음 / 다림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1.

그림책시렁 1322


《청소의 발견》

 박규빈

 다림

 2019.5.24.



  어린이는 쓸고닦고 치우기를 즐깁니다. 어린이는 반짝반짝 잘 닦고 치울 줄 압니다. 어린이는 설거지도 훌륭히 하고, 밥살림도 알뜰살뜰 꾸릴 줄 압니다. 어린이는 그야말로 눈부시게 갈무리하고 추스르고 돌볼 줄 알아요. 그러나 ‘어른 아닌 꼰대’가 자꾸 시키면서 억누르면 괴로워서 안 쓸고닦으려 하고, 안 치우려 합니다. 말끔지기인 어린이인데, 어린이 마음에 무럭무럭 자라던 ‘정갈한 치움빛’을 누가 쓸어내었을까요? 《청소의 발견》을 곰곰이 읽었습니다. 푸른별은 어린이가 안 더럽힙니다. 푸른별은 바로 ‘어른 아닌 꼰대’가 더럽힙니다. 쓰레기를 누가 버리겠어요? 부릉부릉 매캐하게 달리는 길은 누가 내었나요? 온통 쇳덩이(자동차)가 차지하는 나라입니다. 누가 이런 나라를 세웠나요? 치고박고 싸워서 죽이는 짓을 누가 하지요? 총칼(전쟁무기)은 누가 만드나요? 바로 ‘어른 아닌 꼰대’가 이 모든 엉터리에 멍청한 짓을 일삼습니다. 그러니 ‘어른 아닌 꼰대’는 어린이한테서 비질에 빗질에 쓰레질에 걸레질에 치움질을 배울 노릇입니다. 그리고 책이름은 “청소의 발견”이라는 일본말씨가 아닌, 우리말로 “새롭게 치우기”나 “즐겁게 치우기”나 “말끔히 치우기”나 “잘 치우기”나 “쓸고닦는 길”로 붙일 노릇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퍼 토끼 그림책이 참 좋아 68
유설화 글.그림 / 책읽는곰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11.

그림책시렁 1321


《슈퍼 토끼》

 유설화

 책읽는곰

 2020.6.12.



  빨리 가야 한다면, 빨리 죽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느긋이 가는 길이라면, 느긋이 살아간다는 뜻입니다. 빨리 끝내야 한다면, 둘레나 앞뒤를 살필 겨를이 없다는 뜻이라서, 삶이 아닌 죽음으로 기우는 굴레입니다. 차근차근 끝내려 한다면, 둘레나 앞뒤를 살필 틈을 스스로 낸다는 뜻이니, 언제나 삶이라는 하루를 마음껏 누리는 길입니다. 《슈퍼 토끼》를 읽는 내내 답답하면서, 어린이한테 이런 그림책을 왜 읽히나 아리송했습니다. 푸르락붉으락 춤추는 마음에 우스꽝스럽게 보이는 몸짓을 담는 그림이면 어린이가 좋아한다고 여기는가요? 거북은 언제나 거북이고, 토끼는 늘 토끼입니다. 어린이는 노상 어린이요, 어른은 한결같이 어른입니다. 누가 ‘잘난(슈퍼)’ 토끼라면, 둘레에는 ‘안 잘난’ 토끼가 있겠지요. 누가 더 잘 해야 하지 않고, 높거나 낮은지 가려야 하지 않습니다. 그동안 보람(상장)을 잔뜩 누렸어도 둘레에서 다른 이가 어쩌다가 보람을 얻으면 못마땅하면서 혼자 휩쓸어야 한다고 여기는 ‘잘난 토끼’라는 마음은 너무나 가난하고 쓸쓸합니다. 더더 잘 달려서 어느 누구도 못 따라올 만큼 엄청난 재주를 키워야 할까요? 함께 달리고, 함께 나누고, 함께 놀고, 함께 웃는 하루를 나아갈 하루이지 않을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수 지은 집 - 세계 각지의 전통가옥
존 니콜슨 지음, 양상현 옮김 / 현암사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2.5.

그림책시렁 1311


《손수 지은 집》

 존 니콜슨

 양상현 옮김

 현암사

 2008.6.15.



  예부터 누구나 집을 손수 지었습니다. 어느 나라 어느 겨레도 손수 지은 집에서 손수 짓는 밥살림에 옷살림으로 아이를 낳아 돌보았습니다. 예부터 누구나 말을 손수 지어서 생각을 나누었습니다. 우두머리나 벼슬아치는 말을 손수 안 지었어요. 이들은 밥도 집도 옷도 손수 안 지었습니다. 이른바 힘꾼·이름꾼·돈꾼은 손수짓기라는 살림하고 등진 채 ‘손수짓기를 하는 사람들’을 억누르거나 얕보았습니다. 곰곰이 보면 오늘날이나 옛날 모두 ‘손수 안 짓는’ 무리가 힘꾼·이름꾼·돈꾼을 차지합니다. 《손수 지은 집》을 가만히 읽었습니다. 다 다른 터전에서는 다 다른 집밥옷을 손수 일굽니다. 그리고 다 다른 터전에서 다 다른 말을 손수 지어서 살아요. 우리는 어떤 말을 쓰는 하루일까요? 우리는 우리가 쓰는 말을 손수 지을 줄 아나요, 아니면 배움터에 다니거나 책을 펴면서 외우는가요? 글이나 책은 모르더라도 밥옷집을 스스로 짓고 가꾸고 일군 사람들 땀방울에는 사랑이 서렸어요. 밥옷집을 스스로 안 짓고 안 가꾸고 안 일군 무리는 힘·이름·돈으로 윽박지르거나 우쭐거렸습니다. 앞으로 어린이는 누구한테서 무엇을 배울 적에 아름다운 어른으로 자랄까요? 앞으로 우리는 어린이한테 무엇을 가르치거나 물려줄 수 있는가요?


ㅅㄴㄹ


+


《손수 지은 집》(존 니콜슨/양상현 옮김, 현암사, 2008)


이 책에 소개한 모든 전통가옥에는 오늘도 사람이 삽니다

→ 이 책에 실은 모든 겨레집에는 오늘도 사람이 삽니다

→ 이 책에 다룬 모든 오래집에는 오늘도 사람이 삽니다

7쪽


지구상에서 가장 거칠고 황량한 지역에서도

→ 푸른별에서 가장 거친 곳에서도

→ 푸른별에서 가장 메마른 땅에서도

9쪽


내부는 남성의 공간과 여성의 공간으로 각각 나뉘었다

→ 안쪽은 돌이칸과 순이칸으로 나누었다

1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