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ltimate Book of Horses (Hardcover) The Ultimate Book 10
Sandra Laboucarie / Twirl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4.28.

그림책시렁 1007


《The Ultimate Book of Horse》

 Sandra Laboucarie 글

 Helene Convert 그림

 Twirl

 2020.



  나라 곳곳에 알쏭달쏭한 일자리가 수두룩합니다. 이 가운데 ‘길나무 가지치기’가 있습니다. 멀쩡한 나무를 젓가락으로 쳐내는 짓인데, 이렇게 해야 보기에 좋거나 벌레가 덜 먹거나 가게·집을 안 가린다고 여깁니다. 나무살림을 ‘수목학’이라는 일본스런 한자말 이름으로 가르친 지 기껏 100해조차 안 된 판인데, 섣부른 가지치기가 얼마나 사납고 고약한가를 느끼거나 살피는 눈길이 매우 얕아요. 《The Ultimate Book of Horse》를 읽었습니다. 한글판으로는 안 나왔습니다. ‘말’이 누구요 어떻게 사람 곁에 있는가를 들려주려는 꾸러미입니다. 말이 궁금하다면 펼 만하고, 사람하고 말이 어울리는 길을 엿보도록 이바지합니다. 다만, 말이 들판을 달리는 홀가분한 넋으로 어떻게 살아왔고 살아갈 수 있느냐는 대목은 담아내지 못 합니다. 말이 아닌 돼지나 소를 다루는 책도 비슷합니다. 개나 고양이를 다루는 책도 들빛과 숲빛으로 홀가분히 살아가는 이웃으로 바라보는 결을 담지 못 하기 일쑤입니다. 우리가 사람이라는 몸을 입었기에 다른 이웃을 못 알아보거나 못 느낄 수 있겠지요. 그렇지만 말은 달림말(경주마)로 태어나지도 자라지도 않았습니다. ‘사람이 부리는 말’을 그릴 수도 있되, ‘말로 살아가는 말’도 함께 그려야지요.


ㅅㄴㄹ


#산드라라부카리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상상이나 할까요? 웅진 세계그림책 160
주디스 커 글.그림, 공경희 옮김 / 웅진주니어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4.25.

그림책시렁 1183


《누가 상상이나 할까요?》

 주디스 커

 공경희 옮김

 웅진주니어

 2017.5.20.



  하려는 일을 마음에 담기에 합니다. 이렇게 할까 저렇게 할까 오락가락하는 마음을 심으니 ‘오락가락’을 이룹니다. 가파르거나 고달프거나 어려우리라 여기더라도 그저 하겠노라는 마음을 심으니 ‘그저 하는’ 살림을 이룹니다. 그 길은 바라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을 테지만, 우리가 걸어가는 모든 길은 스스로 어느 날 문득 바란 꿈씨앗이 자라서 눈앞에 나타나게 마련입니다. 미끄럼도 날갯짓도 모두 스스로 그린 마음씨앗이에요. 《누가 상상이나 할까요?》는 “My Henry”를 우리말로 옮겼습니다. 나쁘게 옮기지는 않았습니다만, “누가 꿈이나 꿀까요?”나 “누가 생각이나 할까요?”처럼 옮기는 길이 어울립니다. 또는 “나는 꿈꿔요”나 “나는 즐겁게 생각해요”로 옮길 만합니다. 겉모습이나 나이로 바라볼 까닭이 없습니다. 둘레에서 ‘늙었다’고 바라보거나 말거나 대수롭지 않습니다. 스스로 어떤 마음인가 돌아볼 노릇이요, 스스로 오늘 하루 하고픈 일을 그리면 즐겁습니다. 스스로 마음을 안 바라보기에 마음이 굳어요. 스스로 오늘 하루를 그리지 않기에 쳇바퀴를 맴돌거나 헤매면서 삶길을 잊다가 잃어요. 미끄러지기도 하고 날기도 하면서 온누리를 실컷 누비는 하루는 새록새록 배우고 사랑하는 숨길입니다.


#JudithKerr #MyHenry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응시
김휘훈 지음 / 필무렵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4.16.

그림책시렁 1224


《응시》

 김휘훈

 키위북스

 2023.4.16.



  사랑을 그리는 사람은 늘 사랑을 생각하고 마음에 놓기에, 하루를 사랑으로 그리면서 스스로 사랑을 짓는 길을 틔웁니다. 누구를 미워하는 사람은 늘 미움을 쳐다보고 마음에 담기에, 온하루가 미움에 사로잡혀 치고받거나 다투거나 겨루는 판을 스스로 끌어냅니다. 꽃을 바라보며 고요하고 푸르게 꽃빛에 젖어들기에 꽃마음을 일구며 서로 하늘빛으로 하나입니다. 엉터리 우두머리나 벼슬꾼(공무원)을 나무라거나 탓하는 데에 온힘을 쏟노라면 그만 우리 보금자리를 잊다가 어느새 잃고 말아, ‘나라도 마을도 집도’ 조각조각 바스라지더니 흩어집니다. 아니, 캄캄기운을 먹고사는 그들(우두머리·벼슬꾼)은 우리가 자꾸 누구를 미워하면서 마음에 사랑 아닌 불길로 활활 태우기를 바랄는지 몰라요. 《응시》를 물끄러미 보고 넘기고 덮고 다시 보고 새삼스레 넘기다가 덮고 문득 거듭 보고 생각하다가 아이들이랑 이야기하고, 곁님하고 얘기합니다. 우리말 ‘바라보다 = 바라다 + 보다’입니다. ‘바라다 = 바람이 되듯, 바람을 품듯, 바다가 되듯, 밭을 스스로 일구듯, 바탕에 꿈을 놓는 몸짓과 생각과 마음’을 나타냅니다. ‘보다(봄) = 눈으로 사랑빛을 실어 주고받으면서 새롭게 틔우는 살림(돌봄·보살핌)’을 그려요. 함께 별씨앗을 볼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스름 나라에서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마리트 퇴른크비스트 그림, 김라합 옮김 / 창비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4.12.

그림책시렁 1214


《어스름 나라에서》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

 마리트 퇴른크비스트 그림

 김라합 옮김

 창비

 2022.1.24.



  린드그렌 님이 남긴 글에 그림을 새롭게 얹어서 그림책이나 동화책을 낼 만합니다. 다만, 린드그렌은 이웃나라 사람인 만큼 이녁 책을 우리말로 낼 적에는 옮김말씨를 모조리 뜯어고치거나 알맞게 추스를 노릇입니다. 그런데 린드그렌 님 책을 우리말로 내는 곳 가운데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가다듬는 곳’은 좀처럼 못 봅니다. 우리말씨를 모르는 채 섣불리 자꾸 냅니다. 이미 다른 책에서 읽은 글이기는 하되, 그림책으로 새로 나왔기에 장만해서 되읽다가 얼른 접었습니다. 차마 보아줄 수조차 없는 이런 옮김말을 어떻게 어린이한테 읽히려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그저 린드그렌이기 때문에 훌륭하거나 아름답다고만 여길 수 없습니다. 이웃말을 우리말로 옮길 적에도, 우리말을 이웃말로 옮길 적에도, 모든 나라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릴 노릇일 뿐 아니라, ‘말에 흐르는 삶’과 ‘살림살이랑 사랑을 그리는 말’이 얽히는 자리를 곧게 바라보면서 가꿀 줄 알아야지요. “내 아픈 다리가 엄마를 슬프게 해요”는 무늬만 한글입니다. “엄마는 아주 슬퍼 보일 때가 많아요”도 무늬만 한글입니다. 어린이는 ‘좋은 책’만 읽을 수 없습니다. 어린이는 ‘말’로 삶을 배웁니다. 말로 사랑을 물려주는 넋일 때라야 비로소 어른입니다.


엄마는 아주 슬퍼 보일 때가 많아요

→ 엄마는 자주 아주 슬퍼 보여요

→ 엄마는 슬퍼 보일 때가 잦아요


내 아픈 다리가 엄마를 슬프게 해요

→ 내 다리가 아파 엄마가 슬퍼해요

→ 내 다리가 아파서 엄마가 슬퍼요


그런 이야기는 차라리 안 듣는 게 좋았을 걸 그랬어요

→ 그런 이야기는 차라리 안 들어야 했어요

→ 그런 이야기는 차라리 안 들어야 나아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세 번째 아기 돼지 지양어린이의 세계 명작 그림책 77
앙드레 풀랭 지음, 마르티나 토넬로 그림, 정경임 옮김 / 지양어린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4.12.

그림책시렁 1217


《열세 번째 아기 돼지》

 앙드레 풀랭 글

 마르티나 토넬로 그림

 정경임 옮김

 지양어린이

 2022.8.25.



  아이들은 저마다 빛납니다. 아이들은 책을 읽어야 배울 수 있지 않고, 배움터(학교)라는 데를 오가야 마음을 갈고닦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저마다 삶을 바라보면서 살림길을 찾고 사랑빛을 깨닫습니다. 어버이는 언제나 아이들 곁에서 느긋이 기다리고 지켜보면서 품는 숨결이요, 어른은 늘 아이하고 하루를 일구는 손길을 다스리는 숨빛입니다. 《열세 번째 아기 돼지》는 열셋째 새끼 돼지로 태어나면서 어미 돼지 젖꼭지를 좀처럼 누리지 못 하는 막둥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어미 돼지 젖꼭지가 열둘이라면 열셋째 새끼 돼지는 늘 밀리거나 채일밖에 없습니다. 어미 돼지는 열셋한테 젖을 어떻게 나누어 물릴 수 있을까요? 열셋은 엄마젖을 어떻게 나누어 받을 수 있을까요? 실타래를 쉽게 풀기 어려울 만하지만, 어려운 실타래이기에 더욱 마음을 기울일 만하고, 마음을 더 기울이면서 새길을 찾아내게 마련입니다. 주저앉아 멍하니 있다면 아무도 엄마젖을 내어주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열두 아이를 밀치거나 밟을 수 없는 노릇입니다. 내가 배고프듯 동무랑 이웃이랑 언니동생 모두 배고프겠지요. 사랑을 스스로 싹틔울 적에 고우면서 고르게 하루를 짓습니다.


ㅅㄴㄹ


#TheThirteenthPiglet #AndreePoulin #MartinaTonello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