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드는 참 운이 좋아!
레미 찰립 글.그림 이덕남 옮김 / 북뱅크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22.

그림책시렁 1242


《네드는 참 운이 좋아!》

 레미 찰립

 이덕남 옮김

 비비아이들

 2006.5.25.



  우리는 ‘운(運)·운수(運數)’라는 한자말을 언제부터 썼을까요? 이런 낱말을 어린이한테 써도 될까요? 숱한 사람들은 우리가 예부터 쓴 우리말을 아예 마음에 담지 않기 일쑤요, 어린이한테 들려주면서 생각을 북돋울 말씨앗을 안 쳐다보기도 합니다. 1964년에 나온 “Fortunately”를 옮긴 《네드는 참 운이 좋아!》입니다. 줄거리를 살피면, 네드라는 아이가 나아가는 ‘길’을 보여줍니다. 굳이 좋거나 나쁘게 바라볼 일이 없는 ‘삶’입니다. 길이자 삶이란 출렁이는 물결처럼 나아가는데, ‘고개’일 수 있고 ‘고비’라 여길 만합니다. 이래저래 하나씩 너머로 가면서 새롭게 하루를 맞이해요. 가만히 생각을 기울여 봐요. 우리는 어떤 빛으로 아이들한테 이 삶을 들려주거나 물려주거나 밝히나요? 우리는 어떤 말로 아이들한테 오늘을 노래하거나 얘기하거나 속삭이나요? 이 그림책은 내내 “다행이다!”로 옮기는데, 참으로 알맞거나 걸맞거나 들어맞을까요? “좋았어!”나 “그래!”나 “마침!”이나 “고맙지!”나 “됐어!”나 “그런데!”처럼, 다 다른 자리와 삶과 길을 다 다른 말씨로 풀어내면서 스스로 활짝 웃음지으며 뚜벅뚜벅 걸어가는 몸짓을 헤아릴 만하다고 봅니다.


ㅅㄴㄹ


#RemyCharlip #Fortunately


《네드는 참 운이 좋아!》(레미 찰립/이덕남 옮김, 비비아이들, 2006)


깜짝 파티에 초대합니다

→ 깜짝 잔치에 모십니다

→ 깜짝 마당에 오셔요

4쪽


도중에 비행기가 꽝 하고 터져 버렸어

→ 가다가 날개가 꽝 하고 터져 버렸어

10쪽


아, 다행이다! 비행기 속에 낙하산이 있었거든

→ 아, 마침! 날개에 나래천이 있었거든

12쪽


건초 더미 위에 곡괭이가 꽂혀 있었어

→ 깃더미에 곡괭이가 꽂혔어

→ 짚더미에 곡괭이가 있어

1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손 손 손 생각이 톡
정연경 지음, 김지영 그림 / 책속물고기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22.

그림책시렁 1238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손 손 손》

 정연경 글

 김지영 그림

 책속물고기

 2023.3.15.



  우리말 ‘솜씨’는 ‘손 + 씨’입니다. “손을 놀려서 짓거나 할 수 있는 힘이나 슬기”를 밑뜻으로 그립니다. ‘씨’는 ‘씨앗’이면서 ‘쓰다·쓰임새’를 나타내고, ‘손’은 ‘속’하고 말밑이 이어요. 손으로 무엇을 하거나 짓는 살림길이나 소꿉놀이를 드러내는 오랜 낱말 ‘솜씨’입니다. 생각해 봐요. 길게 뻗은 가락인 손가락만 있는 손이지 않습니다. 손바닥은 ‘손으로 이룬 바닥이자 바탕이자 밭’이라서 ‘손바닥으로 품어서 속으로 고이 깃들도록 하’면, 우리 숨결을 두근두근 받아들여서 새롭게 깨어납니다. 예부터 사람들은 “손으로 씨(씨앗) 심기”부터 했습니다. 풀씨·꽃씨·나무씨도 심고, 생각씨·마음씨·사랑씨를 이룰 살림씨를 심었어요. 아이들은 어른 곁에서 놀이씨를 심고, 어른들은 아이 곁에서 말씨를 심었지요.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손 손 손》은 ‘손으로 펼치는 여러 놀이’를 들려주려고 합니다. “무엇이든 할 수 있는”이란 이름은 안 나쁩니다. 그러나 “손으로 한다 = 손수 한다 = 스스로 한다”가 바탕이에요. 더욱이 ‘손 + 씨’라는 숨결을 먼저 헤아렸다면, ‘서울(도시)에서 펼치는 물질문명’에 앞서 ‘숲을 이루는 씨앗’부터 살피고 ‘서로 사이를 잇는 사랑과 살림’을 짚을 노릇 아닐까요?


ㅅㄴㄹ


할머니 손이랑 아이 손이 만나고,

아이 손이랑 할아버지 손이 만나고,

어머니 손이랑 아버지 손이 만나고,

내 손이랑 네 손이 만나며,

사람 손이랑 풀꽃나무에 벌나비 손이 만나는,

사람이 숲하고 하나로 잇도록

씨앗을 심는 길에

‘손’이 ‘다리(이음길)’인 줄

들려줄 적에 비로소 빛날 텐데

이 대목을 너무 지나쳐 버렸다.


《Here Are My Hands》(손 손 내 손은) 같은 그림책은

우리 몸에서 손이 어떤 몫인가를

아름답게 담아냈다.

‘테드 랜드·빌 마틴 주니어·존 아캠볼트’ 그림책은

2005년에 한글판이 나온 뒤 일찍 판이 끊어졌지만

이 그림책을 사람들이 잘 모를 수 있더라도

정연경·김지연 그림책은 더없이 아쉬울밖에 없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엉뚱하고 재미있는 구름이야기 아이세움 지식그림책 8
토미 드 파올라 글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6.13.

그림책시렁 1241


《엉뚱하고 재미있는 구름 이야기》

 토미 드파올라

 편집부 옮김

 아이세움

 2003.8.20.



  엊그제 구름송이를 바라보다가 훅훅 끼치는 비내음을 맡았습니다. 큰아이하고 얘기했어요. “오늘 바람에는 비내음이 물씬 묻어나지만 비는 안 올 듯하네.” “어제 구름이 잔뜩 끼었을 적에는 바다냄새가 났어요.” 빗물이란 구름이고, 구름이란 아지랑이에, 아지랑이란 바다입니다. 바다에서 아지랑이를 거쳐 구름을 이루다가 내리는 빗물에는 짠맛이 없되 바다맛이 흘러요. 그래서 이 빗물은 온누리를 살리고 풀꽃나무를 비롯해 사람과 새와 짐승과 풀벌레 모두 싱그럽게 일으킵니다. 우리말 ‘새하늬마높’은 한자말 ‘동서남북’하고 다릅니다. 우리가 예부터 스스로 하늘과 바람과 구름과 바다를 읽으면서 여민 ‘새(새롭게·사이)·하늬(하늘·함)·마(많·넉)·높(노을·놀이)’을 알아차려서 아이들한테 물려준다면, 우리는 언제라도 스스로 날씨를 알 뿐 아니라, 우리 눈빛으로 날씨를 바꿉니다. 《엉뚱하고 재미있는 구름 이야기》는 토미 드파올라 님이 남긴 숱한 그림책 가운데 손꼽을 만큼 뜻깊고 아름답습니다. ‘바다·구름·비·냇물’이 모두 하나인 줄 넌지시 알려주면서 ‘개구쟁이’인 줄 비추거든요. 물방울은 하나하나 다르면서 모두 살아숨쉽니다. 우리도 다 다른 사람으로서 모두 사랑으로 살아요. 이 수수께끼를 알면 빛납니다.


#TheCloudBook #TomieDePaola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에겐 정말 커다란 의자야
차은정 지음 / 후즈갓마이테일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6.13.

그림책시렁 1240


《너에겐 정말 커다란 의자야》

 차은정

 후즈갓마이테일

 2023.3.28.



  어버이가 아이를 낳아 돌보는 뜻은 오직 하나입니다. 어버이 스스로 여태껏 일군 사랑을 물려주려는 뜻입니다. 어버이 스스로 비록 일구지 못 했으나 아이들이 새롭게 일구기를 바라는 사랑이라는 마음을 품어서 일구기를 바라는 뜻입니다. 어버이 스스로 일구었든 못 일구었든 사랑을 심어 스스로 일구면서 즐겁게 하루를 노래하는 길을 물려주려는 자리가 바로 ‘어버이’입니다. 사랑을 못 받은 채 태어났다고 여기는 분이 있을 테지만, 사랑을 못 받을 수 없습니다. 숨을 쉬는 모든 몸에는 사랑이 흐르니까요. 눈을 뜨려 할 적에 보고 느끼는 사랑이요, 눈을 감으려 할 적에 밀쳐내려 하는 사랑입니다. 《너에겐 정말 커다란 의자야》를 읽었습니다. 사랑은 ‘몸에 깃들’지 않으나, ‘몸에 씨앗처럼 남겨’ 놓습니다. 우리 몸에 어버이가 남기는 사랑은 언제나 ‘하나’입니다. 하나로 오롯한데, 이 오롯한 하나가 새로운 ‘오롯하나’를 만나면 ‘새삼스레 새로운 오롯하나’를 이루면서 ‘다시 새로운 오롯하나’를 일구는 사랑씨앗이 되는 줄 알려주지요. 그러나 사랑은 몸으로만 보려 하면 못 봐요. 몸을 움직이며 삶을 누리는 숨결은 ‘넋’이에요. 몸만 바라보면 사랑을 잊다가 얽매입니다. 숨결·빛·넋을 볼 때에 눈을 뜨며 사랑입니다.


ㅅㄴㄹ


“죽음이란 생채기를 이겨내야” 할 까닭은 없다.

생채기라고 여기니 늘 생채기란 자국이 남는다.

우리가 마시는 바람은

몸으로 들어왔다가 나갈 적에

‘다시 못 쓸 죽은 바람’이 될까?

‘산소·이산화탄소’로 갈라 본들

‘바람을 가를’ 수 있을까?


몸뚱이만 바라볼 적에는 ‘생채기·죽음’에

스스로 가둔다.

마음에 흐르는 숨결과 넋을 바라볼 적에는

‘삶을 이루는 사랑으로 짓는 살림’을

비로소 깨달으면서 훨훨 날아오른다.


아쉬운 그림책.

왜 헤매야 하는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 아저씨의 그림물감 주니어 그림동화 11
산드라 피크 글, 로렌 사이먼 그림, 송호빈 옮김 / 주니어북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6.13.

그림책시렁 1245


《그레이 아저씨의 그림물감》

 산드라 피크 글

 로렌 사이먼 그림

 송호빈 옮김

 주니어북스

 2014.5.30.



  누가 알려주아야 나무를 알지 않습니다. 우리가 나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아간다면, 스스로 느끼고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결을 헤아려 새롭게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나라와 겨레마다 ‘같은 나무를 가리키는 다 다른 이름’이 있습니다. 생각해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오동나무’라 하지만, 바다 건너 일본이나 뭍 너머 중국뿐 아니라 미국이며 영국이며 독일이며 덴마크이며 필리핀이며 카자흐스탄에서 가리키는 이름은 다 다를 수밖에 없어요. 사랑으로 낳아 돌보는 아이한테 누가 이름을 붙이나요? 바로 우리 스스로 붙입니다. 남한테 이름짓기를 맡기지 않아요. 우리가 스스로 사랑으로 살아가는 집에서 주고받는 말은 언제나 우리가 스스로 마음에 심어서 나누려는 ‘즐거운 숨빛이 깃든 소리’입니다. 《그레이 아저씨의 그림물감》은 잿마을(도시)에서 그냥그냥 달삯꾼으로 일하던 아저씨가 어느 날 문득 ‘빛깔로 물들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두 틀에 가두어 똑같이 묶은 모습을 바꿀 수 있’는 줄 알아차린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새길에 눈뜬 아저씨는 혼자만 즐겁게 살아가고 싶지 않아요. 모든 사람이 저마다 즐겁게 새빛을 맞아들이면서 사랑을 지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사랑은 스스로 짓습니다.


#SandraPiquee #RaurentSimon #LeMondeDeYakatougris


https://laurent-simon.ultra-book.com/edition_jeunesse-p10673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