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10.15.

숨은책 712


《世界陶磁全集 18 高麗》

 相賀徹夫·崔淳雨·長谷部樂爾 엮음

 小學館

 1978.7.25.첫/1987.8.1.5벌



  온누리 질그릇을 스물두 자락짜리 두툼하고 커다란 책으로 1978년에 여민 일본책을 살피니, 석 자락은 우리나라 질그릇 이야기입니다. 이 가운데 《世界陶磁全集 18 高麗》를 곰곰이 읽으면서 우리나라는 1978년에 무엇을 했고, 2000년에는 무엇을 했으며, 2020년에는 또 무엇을 했으려나 돌아봅니다. 일본에서는 ‘일·중·한’을 살림길로 견주는 책을 꽤 자주 깊고 넓게 여미는데, 우리나라는 ‘한·중·일’을 살림길로 헤아리는 책을 여태 얼마나 선보였을까요? 우리나라 사람이 이웃나라 살림길(문화)을 찬찬히 짚거나 다루는 책을 내는 일은 드문데, 이 가운데 일본 살림길을 헤아리는 책은 더더욱 드뭅니다. 어쩌면 우리는 이웃나라 살림길조차 모르고 안 쳐다볼 뿐 아니라, 우리 살림길마저 영 모르거나 안 쳐다보는 나날은 아닐까요? 하루하루 너무 바쁘게 지내면서 값싼 살림을 사서 쓰다가 지치고, 값비싼 이웃나라 살림을 돈으로 마련해서 자랑하는 두 갈래입니다. 손수 쓸 살림이니 손수 지으면서 손수 곱게 무늬를 새기던 마음은 아주 스러졌나요? 2000년 우리 살림길이나 2020년 우리 살림길은 무엇인가요? 2050년에는 우리다운 살림길이 남을 수 있을까요? 온나라가 서울스럽게 틀에 박히고, 사투리는 빠르게 잊히고, 서울말조차 우리말스럽기보다는 일본말씨에 일본 한자말에 옮김말씨가 외려 물결치는 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0.15.

숨은책 714


《나나NANA 45호》

 전영호 엮음

 예원문화사

 1995.9.1.



  이제 사랑그림꽃(순정만화)을 읽는다고 스스럼없이 밝히는 돌이가 조금 늘지만, 지난날에는 사랑그림꽃은 순이만 보아야 한다고 여기는 눈길이 짙었고, 요새도 이 눈길은 썩 안 바뀝니다. 어린이책은 어린이부터 누구나 읽는 책인 줄 깨닫는 분이 부쩍 늘었으나, 어른이 왜 ‘유치하게 어린이책을 읽느냐고 핀잔하거나 나무라는 사람이 아직 꽤 많습니다. 세 살 터울 언니하고 《보물섬》·《소년중앙》·《만화왕국》·《아이큐점프》뿐 아니라 《르네상스》·《하이센스》도 꼬박꼬박 챙겨 함께 읽었습니다. 이러다 언니가 스무 살에 접어들어 푸른배움터를 마치고 제가 열일곱 살로 접어들어 하루 내내 배움수렁(입시지옥)에 갇힐 즈음부터 이 그림꽃을 하나도 못 읽습니다. 갓 태어난 《나나NANA》는 구경조차 못 했어요. 1995년 가을에 싸움터(군대)로 끌려가며 더 만날 길이 없더니, 겨우 집으로 돌아오고 책마을에서 일자리를 얻을 즈음에는 사랑그림꽃을 담은 달책인 《나나NANA》는 가뭇없이 사라집니다. 아예 잊은, 아니 처음부터 못 본, 풋풋한 그림꽃이 깃든 달책을 꾸러미로 서른 해 만에 장만해서 읽다가 생각합니다. ‘사랑그림꽃을 읽는 돌이’는 싸움을 꺼리고, 순이돌이가 오순도순 지낼 사랑길을 그립니다. 어린이책을 읽는 어른도 어깨동무를 사랑하게 마련이에요. 우리는 뭔가 크게 잊다가 잃은 듯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10.15.

숨은책 702


《ロシアの民謠》

 井上賴豊 글

 筑摩書房

 1951.10.20.



  오늘날 우리는 매우 비뚤어진 별에서 살아갑니다. 사람을 마구 죽이고 숲을 함부로 짓밟는 총칼(전쟁무기)을 끝없이 만들면서 ‘첨단과학’이란 이름을 붙일 뿐 아니라, ‘방위산업 수출’이라고까지 읊습니다. 적잖은 러시아사람은 제 나라 우두머리가 시키는 대로 총칼을 앞세워 이웃나라로 쳐들어갈 뿐 아니라, 이웃사람을 끔찍하게 죽입니다. 참말로 총칼로 어깨동무(평화)를 이룰까요? 총칼을 자꾸 만들기에 서로 때리고 미워하다가 죽이기까지 하지 않나요? 《ロシアの民謠》는 “附 ロシア民謠歌曲集”이라 붙이듯 러시아사람이 드넓은 숲과 들을 품고 살아오면서 스스로 지은 살림을 살며시 옮긴 노래가 무엇인가 하고 짚습니다. 언뜻 보면 메마르거나 추운 땅인 러시아일 테고, 곰곰이 보면 사이좋게 아끼고 손잡는 마음을 그리는 너른터인 러시아일 텐데, 스스로 싸움수렁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도 매한가지 아닐까요? 북녘도 남녘도 더 센 총칼을 만들거나 마련하려고 목돈을 씁니다. 남녘도 북녘도 러시아도 미국도 가난할 수 없어요. 총칼을 때려짓지 않으면 누구나 넉넉하게 살 만합니다. 싸움을 그치고, 우두머리를 쫓아내어, 들풀 같은 사람들이 들노래를 부르면서 들꽃내음을 마신다면, 가난도 배고픔도 없이 누구나 아늑하고 아름다울 테지요. 들노래를 잊기에 허수아비가 되어 총칼을 쥔다고 느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9.24.

숨은책 757


《제주방언 연구》

 박용후 글

 동원사

 1960.9.8.



  이웃고장으로 마실을 갈 적에는 늘 그 고장에 헌책집이 있는가부터 살핍니다. 새책집에는 ‘막대기(바코드)’를 받아 ‘나라책숲(국립중앙도서관)’에 들어간 책만 깃듭니다. 이와 달리 헌책집은 ‘막대기 없이 조금만 찍어 이웃하고 가볍게 나눈 책’이 깃들어요. ‘안 파는 책(비매품)’을 만나려면 헌책집에 갈 노릇입니다. “‘안 파는 책’을 뭣하러 찾아다녀?” 하고 묻는 분이 많은데, 일제강점기에 나온 책이건, 달책(잡지)에 딸린 책(별책부록)이나 만화책뿐 아니라, 마을빛을 헤아린 책인 ‘지역문화·역사를 다룬 책’은 거의 ‘안 파는 책’으로 조금만 나왔습니다. 제주 〈책밭서점〉에서 《제주방언 연구》를 만났어요. 책밭지기님은 “이거 비매품으로 100권만 나온 책이야. 가리방이라고 알아? 쇠붓 있잖아? 그거로 하나하나 긁었는데, (제주) 관공서에서 버리더구만.” 제주말·제주살림·제주넋을 살리고 품는 길은 여럿입니다. 하늘나루(공항)를 더 짓거나 부릉길(찻길)을 더 닦기보다는, 마을빛을 온몸으로 사랑하며 여민 작은책 하나를 돌아본다면 아름답겠지요.


“위에서 고찰하여 온바와 같이 ‘탐라(耽羅)’는 ‘탐무라(耽牟羅)’에서 온 것인데 ‘탐무라’는 곧 ‘섬무라’요, ‘무리’와 같은 말로써 ‘모리>모이>뫼’의 과정을 거쳐 오늘의 ‘뫼’로 된 것으므로 ‘섬무라’는 곧 ‘섬뫼(島山)’를 뜻하는 것이었음을 알수 있다.” (472쪽)

.

.

제주 옛이름인 ‘탐라’ 말밑을 차근차근 두루 짚으며

캐낸 이야기를 담은 책을

거의 처음으로 만났다.


‘섬뫼’는 

“섬 + 메(산)”이자

“섬 + 담(성벽)”이라고 한다.


이리하여

‘섬뫼 = 섬메 = 섬담 = 섬나라’라고 한다.

‘탐라 = 섬나라’란 뜻이기도 한 셈이다.


이 값진 책을 버려준

제주 어느 관공서가 고맙다.


그리고 버림받은 책을

고이 손질해서 품어준

제주 책밭서점이 고맙다.

사랑한다.

.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2022.9.24.

숨은책 756


《中等學校 朝鮮語文法 全》

 심의린 글

 조선어연구회

 1936.5.27.첫/1938.3.20.3벌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배움터에서 무슨 이야기와 삶길을 듣고 배울 적에 아름답고 슬기롭게 자랄까요? 예부터 시골에는 따로 배움터가 없습니다. 집이 삶터이자 배움터요, 숲과 바다와 들과 마을이 고스란히 삶터이자 배움터였어요. 배움터도 나라지기(정치 지도자)도 없던 무렵에는 싸움이나 다툼이 없지요. 오늘날 어린이는 여덟 살부터 열아홉 살까지 꼬박꼬박 배움터를 다닙니다만, 이 열두 해 동안 스스로 어떤 사람으로 크는 길을 듣거나 배울까요? 경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 길잡이로 일하던 심의린(1894~1951) 님이 쓴 《中等學校 朝鮮語文法 全》은 1936년에 “昭和十一年六月二日 朝鮮總督府檢定濟 高等學校朝鮮語及漢文科用”을 받아서 나옵니다. ‘조선총독부에서 조선말과 한문 길잡이책으로 써도 된다고 여겼’으며, ‘京城師範 金本忠郞’이란 분이 품던 책입니다. ‘김본충랑’은 ‘일본이름(창씨개명)’입니다. 심의린 님은 《보통학교 조선어사전》(1925)이란 ‘학습사전’하고 《조선동화대집》(1926)이란 ‘학습동화’를 엮었습니다. 배움길잡이로서 온힘을 다한 자취를 엿볼 만합니다. 그런데 ‘우리말·한글’보다 ‘중국 한자말·일본 한자말’을 무척 많이 썼고, 조선총독부 배움틀(교육과정)을 고스란히 따랐습니다.


ㅅㄴㄹ


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304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