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9.24.
숨은책 756
《中等學校 朝鮮語文法 全》
심의린 글
조선어연구회
1936.5.27.첫/1938.3.20.3벌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배움터에서 무슨 이야기와 삶길을 듣고 배울 적에 아름답고 슬기롭게 자랄까요? 예부터 시골에는 따로 배움터가 없습니다. 집이 삶터이자 배움터요, 숲과 바다와 들과 마을이 고스란히 삶터이자 배움터였어요. 배움터도 나라지기(정치 지도자)도 없던 무렵에는 싸움이나 다툼이 없지요. 오늘날 어린이는 여덟 살부터 열아홉 살까지 꼬박꼬박 배움터를 다닙니다만, 이 열두 해 동안 스스로 어떤 사람으로 크는 길을 듣거나 배울까요? 경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 길잡이로 일하던 심의린(1894~1951) 님이 쓴 《中等學校 朝鮮語文法 全》은 1936년에 “昭和十一年六月二日 朝鮮總督府檢定濟 高等學校朝鮮語及漢文科用”을 받아서 나옵니다. ‘조선총독부에서 조선말과 한문 길잡이책으로 써도 된다고 여겼’으며, ‘京城師範 金本忠郞’이란 분이 품던 책입니다. ‘김본충랑’은 ‘일본이름(창씨개명)’입니다. 심의린 님은 《보통학교 조선어사전》(1925)이란 ‘학습사전’하고 《조선동화대집》(1926)이란 ‘학습동화’를 엮었습니다. 배움길잡이로서 온힘을 다한 자취를 엿볼 만합니다. 그런데 ‘우리말·한글’보다 ‘중국 한자말·일본 한자말’을 무척 많이 썼고, 조선총독부 배움틀(교육과정)을 고스란히 따랐습니다.
ㅅㄴㄹ
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304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