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중국 전국시대() 초기의 사상가 묵자()를 계승하는 학파.
  
본문

그 사상과 학설은 《묵자》 53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현() ·상동() ·겸애() ·비공() ·절용() ·절장() ·천지() ·비락() ·명귀() ·비명()등 10론()의 주장은 그 하나하나가 매우 이색적이고, 전국시대의 세상에서 중앙집권적 체제지향과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주장하여 유가()와 대립한 유력 학파였다.

이 집단은 거자()를 지도자로 하여 강력한 단결을 자랑하였으며, 그 기반은 지연공동체적인 농촌에 있었다. 묵가의 사적()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나 역대의 거자로서 금활리() ·맹승() ·전양자() 등의 이름이 전한다. 《한비자()》의 현학편()에 의하면 묵가는 전국 말기에 3파로 분립되었다고 하는데, 《묵자》 10론 하나하나에 내용이 대동소이한 상 ·중 ·하편()이 있는 것은 그 흔적이 아닌가 생각된다. 진() 시황제()의 탄압을 받은 이후 쇠미해지다가 전한() 무제()에 의한 유교일존() 정책으로 완전히 소멸하였다.

출처-네이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사랑일까 - 개정판
알랭 드 보통 지음, 공경희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랭 드 보통의 사랑에 관한 3부작 중 한 권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너무 재밌게 봐서 사실 기대가 컸다.

공감하는 내용이 너무 많아서 책이 온통 밑줄로 도배를 했던 그 책에 비하면

'우리는 사랑일까'는 약간 공감도가 떨어졌다.

아마 주인공이 남자에서 여자에서 바뀐 탓이 아닐까 싶다.

 

열정적으로 빠져들 사랑을 꿈꾸던 앨리스는

완소남(?) 에릭을 만난 이후 사랑의 열병에 빠져 들게 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차츰 보이는 않았던 에릭과의 코드 불일치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이 에릭을 더 많이 사랑하고

에릭은 자신에게 헌신적이지 않다는 걸 깨닫자 그녀의 사랑도 서서히 식어 간다.

사랑의 무게 중심이 온통 에릭에게 쏠려 있었던 것이다.

그녀의 변화에 뒤늦게 에릭이 변화를 시도하지만 이미 식어버린 맘을 되돌릴 순 없는 일

그녀의 맘은 벌써 다른 사람을 향하고 있었다.

 

이 책에서 가장 크게 다가 온 건 사랑은 역시 두 사람 사이의

힘의 균형이 이루어져야 오래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딱 50 대 50으로 공평하게(?) 사랑할 순 없겠지만

한 쪽의 일방적인 희생과 헌신으로 이뤄진 관계는 결국 깨질 수밖에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사랑은 밀고 당기는 줄다리기(?)를 잘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 같다.

앨리스가 에릭에게 지쳐 맘이 변하는 것도 서로 코드가 안 맞고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도 원인이 있었지만

에릭은 그녀를 위해 거의 희생(?)을 안 하는데

그녀는 에릭을 위해 뭐든지 희생(?)하는 권력(?)의 불균형에 더욱 큰 원인이 있었다.

사랑뿐 아니라 모든 인간관계에 있어 중요한 것이

바로 두 사람 사이의 균형적인(?) 관계인 것 같다.

한 쪽의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서로 적절히 맘이 오고 가는 관계가

바로 가장 이상적인 관계인 것 같다.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읽을 때면 늘 느끼는 거지만 그의 해박한 지식에 감탄할 뿐이다.

풍부한 인용과 분석력은 그의 학문적 깊이를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양한 방면의 지식을 접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그의 작품의 매력이 아닌 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을 절대로 열지 마시오
미카엘라 먼틴 지음, 홍연미 옮김, 파스칼 르메트르 그림 / 토토북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알라딘 서평단에 당첨된 책

사실 유아용인지는 모르고 응모했었다. ㅋ

내가 애가 있으면 참 반가운 책이었을 것 같다.(빨리 애를 만들어야 하나...ㅋ)

이 책을 읽을 만한 대상은 막 한글을 익힌 어린이가 좋을 것 같다.

이 책은 막 한글에 눈을 뜬 아이들이 글 읽기와 글 쓰기에 재미를 붙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을 절대로 열지 마시오'라는 반어적인 표현으로 더욱 호기심을 자극하고

어지럽게 나열된 단어들 속에서 문장을 만들어 나가는 방법을

귀엽지만 까칠한(?) 돼지와 함께 배워나갈 수 있어 유익할 것 같다.

논술 광풍(?)이 불고 있는 지금 글쓰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글 쓰는 습관과 재미를 붙일 수 있는 괜찮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육에 이르는 병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아비코 다케마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시공사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충격적인 결말을 확인한 순간, 다시 첫 페이지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추리소설 매니아라면 이 솔깃한 문구에 낚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아무런 사전 정보도 없이 저 문구 하나에 지르고 만 책

한 번도 본 적 없는(?) 19세 미만 구독 불가라는 딱지가 붙어

더욱 더 호기심을 자극하는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 있는

진실과 마주하게 되면 정말 첫 페이지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그야말로 완전히 속았다고 두 손, 두 발 다 들 수밖에 없었다.

'벚꽃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에서도 된통 당해서

이번엔 절대 속지 말아야지 하고 두 눈 부릅뜨고

결말에 도달하기 전 읽었던 페이지들을 다시 복기까지 했음에도

속을 수밖에 없었던 것은 역시 작가의 능력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의 첫 페이지는 바로 마지막 페이지와 연결된다.

즉 범인이 체포되는 현장이 처음에 등장하며 범인을 소개해 준다.

시작하자 말자 범인이 공개되니 김이 좀 새면서

이책도 '용의자 X의 헌신'과 같은 구조인가 싶었다.

하지만 전혀 다른 곳에 진실이 숨겨져 있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범인은 그야말로 '살육에 이르는 병'에 걸렸다.

엽기적이고 변태(?)적인 연쇄 살인마

추리소설 속에 등장하는 사건 중 단연 최악(?)이라 할 수 있다.

19세 미만 구독 불가라는 딱지가 괜히 붙은 게 아니었다. ㅋ

 

이 책은 세 명의 시선을 따라 이야기가 진행된다.

범인과 아들이 범인이라 의심하는 어머니,

그리고 사건 피해자와 가까웠던 은퇴한 경찰

이들 세 명이 시간차(?) 공격을 해 와서

시간에 트릭이 숨겨져 있는 건 아닐까 하고

열심히 세 명의 시선이 교차하는 지점을 확인했다.

하지만 완전히 헛다리를 짚은 꼴이 되고 말았다. ㅜ.ㅜ

역시 추리소설에서 작가가 파 놓은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어느 하나도 당연하다고 여겨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 책은 또 한 번 가르쳐 주었다.

 

자극적이고 충격적인 사건과 그 속에 숨겨진 작가의 기발한 트릭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던 추리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키르케고르 [1813.5.5~1855.11.11]

 

요약
덴마크의 철학자. 그는 대중의 비자주성과 위선적 신앙을 엄하게 비판하였다. 다른 한편에서는 절망의 구렁텅이에서 단독자()로서의 신()을 탐구하는 종교적 실존의 존재방식을 《죽음에 이르는 병》등의 저작을 통해 추구하였다.
원어명 Søren Aabye Kierkegaard
국적 덴마크
활동분야 철학
출생지 덴마크 코펜하겐
주요저서 《죽음에 이르는 병》(1849)

본문

코펜하겐 출생. 아버지는 비천한 신분에서 입신한 모직물 상인으로 경건한 그리스도교인이었고, 어머니는 그의 하녀에서 후처가 된 여인이었다. 7형제의 막내로, 태어날 때부터 허약한 체질이었으나, 비범한 정신적 재능은 특출하였으며 이것이 특이한 교육으로 배양되어 풍부한 상상력과 날카로운 변증()의 재능이 되었다. 소년시절부터 아버지에게 그리스도교의 엄한 수련을 받았고, 청년시절에는 코펜하겐대학에서 신학과 철학을 연구하여 1841년에 논문 《이로니의 개념에 대하여》로 학위를 받았다.

그 동안에, 1837년경 그가 스스로 ‘대지진()’이라고 부른 심각한 체험을 하였다. 그 내용은 아버지가 소년시절에 유틀란트의 광야에서 너무나 허기지고 추운 나머지 하느님을 저주한 사실이 있었다는 것과, 바로 자기자신이 결혼 전에 아이를 밴 어머니의 아들이라는 것 등을 안 사실로 죄의식이 심화되었고, 인생을 보는 눈과 그리스도교를 보는 눈에 근본적인 변혁이 생겼다.

한편, 1837년 당시 14세의 소녀 레기네 올센을 알게 되자 곧 사랑의 포로가 되어 약혼까지 하였으나, 애정의 상극과 내면의 죄의식 때문에 1841년 가을에 약혼을 파기하였다. 이른바 레기네 사건이며, 이 때에 체험한 정신적인 갈등이 훗날 미적 저작의 주제가 되었다. 그 후 한때 베를린에 나가 당시 명성을 떨치던 철학자 F.W.셸링의 강의를 듣기도 하고, 《돈 죠반니》 《파우스트》 등 많은 오페라를 관람하기도 하다가 이듬해인 1842년에 귀국하여 저술을 시작하였다.

그의 활동은 활발하여 1843~1846년의 짧은 기간에 《이것이냐 저것이냐 Enten-Eller》(1843), 《반복 Gjentagelsen》(1843), 《공포와 전율 Frygt og Baeven》(1843), 《불안의 개념 Begrebet Angest》(1844), 《인생행로의 여러 단계 Stadier paa Livets vei》(1845) 등과 같은 이른바 미적 저작과 《철학적 단편 Philosophiske Smuler》(1844), 《철학적 단편을 위한 결말의 비학문적 후서() Afsulttende uvidenskabelig Efterskrift til de Philosophiske Smuler》(1846) 등의 철학적 저작을 모두 익명으로 출판하였고, 이 밖에도 그리스도교에 관한 많은 교화적인 강화()를 발표하였다.

그 후 저술에 싫증이 난 그는 시골의 목사가 되어 조용한 생활을 보내고 싶어하였다. 그러나 이 때에 풍자신문 《코르사르》에 그의 작품과 인물에 대하여 오해에 찬 비평이 실려, 그것을 둘러싸고 격렬하게 논쟁하는 사이에, 또 다시 그리스도교도로서의 새로운 정신활동과 저술을 향한 의욕이 용솟음쳤다. 그는 신문의 무책임한 비평과 세간의 비웃음에도 굴복하지 않고, 한편에서는 대중의 비자주성과 위선적 신앙을 엄하게 비판하였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절망의 구렁텅이에서 단독자()로서의 신()을 탐구하는 종교적 실존의 존재방식을 《죽음에 이르는 병 Sygdommen ti1 Dø den》(1849), 《그리스도교의 수련 Indoevelse i Christendom》(1850) 가운데에서 추구하였다.

그는 기성 그리스도교와 교회까지도 비판하였으며 《순간》 등의 팸플릿을 통한 공격은 매우 격렬하였다. 그런 와중인 1855년 10월 갑자기 노상에서 졸도한 후 다음달 병원에서 죽었다. G.W.F.헤겔의 범논리주의를 배제하여 불안과 절망 속에 개인의 주체적 진리를 탐구한 그의 사상은 20세기에 들어설 때까지 국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1909년부터 독일에서 C.슈램프가 키르케고르의 번역집을 내어 당시 신진이었던 P.바르트, J.H.하이데거, K.야스퍼스 등의 변증법 신학자와 실존주의자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그로부터 그의 명성은 현대 그리스도교 사상과 실존사상의 선구자로서 세계에 알려졌다. 1995년 기독교한국루터회가 뽑은 ‘세계를 빛낸 10인의 루터란’의 한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