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아이 95. 무화과를 따 볼까 (2014.9.30.)



  아이들 키높이에서 딸 만한 무화과가 한 알 보인다. 옳거니, 잘 되었네. 큰아이한테 따라고 시킬 수 있겠네. 손을 뻗어 무화과를 잡은 뒤 살며시 위로 꺾으라고 말한다. 큰아이는 한참 붙잡고 실랑이를 하다가 그만 무화과를 세게 누르고 만다. 이런, 그렇게 누르면 무화과는 터지지. 꼭지를 나뭇가지에서 떼어야 하는데, 잡아당긴다고 해서 떨어지지 않아. 꼭지 쪽을 손으로 잡아서 살며시 꺾으면 돼. 잘 익은 열매는 그리 힘을 주지 않고 꺾어도 톡 하고 떨어지지. 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아이 59. 2014.9.30. 모과순이



  모과를 한 알 주운 뒤 큰아이한테 건넨다. 큰아이가 커다란 모과를 받을 때에 작은아이가 소쿠리에 넣어 달라 말한다. 그러자 큰아이는 “안 돼. 모과는 너한테 너무 무거워서 거기 못 담아. 누나는 들 수 있어. 누나는 안 무거워.” 하고 말하는데, 아무래도 머리통만큼 큰 모과가 무거운지 “아버지 집에 갖다 놓고 올게요!” 하고 말하면서 부리나케 달려서 마루문을 열고 마루에 갖다 놓는다. 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4-10-02 00:27   좋아요 0 | URL
아유~ 모과가 참으로 탐스럽군요!^^
집안에, 저렇게 잘 익은 모과 하나 놔두면~가을에서 겨울까지
참 향기로울 듯 싶습니다~*^^*

숲노래 2014-10-02 06:53   좋아요 0 | URL
올해에 비로소
우리 집 뒤꼍 열매가 잘 영글었어요.
열매가 제대로 영글기까지는
서너 해가 걸리는 듯싶습니다~
크기도 크고 맛도 얼마나 좋은지(감이나 무화과)요~~^^
 

[말이랑 놀자 70] 푸름이



  ‘어린이’라는 낱말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났습니다. 어려운 때에는 아이들이 더 어려운 터라, 일제강점기에 아이들이 제대로 사랑받으면서 자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어린 사람”을 뜻하는 ‘어린이’라는 낱말을 방정환 님이 지었어요. 오늘날 사회에서는 어린이 나이를 지나 중·고등학교를 다니는 나이가 되면, 여러모로 고단하면서 힘겹습니다. 한창 자라면서 몸과 마음을 살찌우는 무렵에 입시지옥에 시달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회 흐름을 살피던 사람들이 ‘청소년’ 나이에 이른 푸른 숨결을 나타낼 만한 ‘푸름이’라는 낱말을 지었어요. 어느 한 사람이 지은 낱말이라기보다 곳곳에서 한꺼번에 터져나온 낱말입니다. 푸르게 자라고, 푸르게 생각하며, 푸르게 꿈꾸고, 푸르게 사랑할 수 있기를 바라는 넋을 담았어요. 다만, ‘푸름이’라는 낱말은 아직 한국말사전에 안 실립니다. 이러한 낱말을 모르는 청소년이나 어른이나 교사가 많습니다. 꼭 어떤 낱말이나 이름을 잘 지어야 제대로 사랑받거나 자랄 수 있으리라고는 느끼지 않습니다만, 열네 살부터 열아홉 살 사이를 살아가는 고운 넋이 맑으면서 푸르게, 풀과 나무처럼 푸르며 넉넉하게 사랑과 꿈을 키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4347.10.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360) 후의 1


8·15 후의 춘원은 온데간데 존재도 없었다. 8·15 전까지만 해도 민족의 우상처럼 존경받던 춘원이

《송건호-한국현대인물사론》(한길사,1984) 348쪽


 8·15 후의 춘원은

→ 8·15 뒤 춘원은

→ 8·15 뒤로 춘원은

→ 8·15가 되고부터 춘원은

→ 8·15가 되자 춘원은

 …



  한국말사전 말풀이에서 볼 수 있듯이, ‘後’라는 한자말이 아닌 ‘뒤’나 ‘다음’이라는 한국말을 쓰면 됩니다. “며칠 뒤에 다시 만납시다”나 “십 분 뒤에도”로 적으면 돼요. “며칠 지나고 다시 만납시다”나 “십 분 지나도”로 적어도 괜찮습니다. 때로는, “며칠 있다가 다시 만납시다”나 “십 분 있다가”로 적어 볼 수 있어요.


  ‘뒤’와 ‘다음’ 말고 ‘나중’을 넣어도 어울립니다. ‘지나다’나 ‘지나가다’라는 움직씨를 넣어도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前’을 쓸 까닭이 없이 ‘앞’이나 ‘앞서’나 ‘먼저’를 쓰면 됩니다. “그때를 전후로”가 아닌 “그때를 앞뒤로”이며, “그 일이 있기 전에”가 아닌 “그 일이 있기 앞서”입니다.


 8·15부터 춘원은

 8·15 때부터 춘원은

 8·15를 맞이하고부터 춘원은

 8·15를 지나고부터 춘원은


  알맞게 쓸 낱말과 말투를 생각할 노릇입니다. 앞과 뒤를 살피고 이곳과 저곳을 돌아볼 노릇입니다. 지난날을 비롯해 앞날까지 즐거이 쓸 말을 어떻게 추슬러야 한결 나은가를 찾아볼 노릇입니다. 나와 이웃이 모두 넉넉하고 아름다이 가꿀 말과 글은 어떤 모습인가 하고 곰곰이 보듬을 노릇입니다.


  마음을 담는 말이니까요. 생각을 거두는 말이니까요. 뜻을 싣고 넋을 펼치는 말이니까요. 아끼고 좋아하는 사람하고 함께 쓸 말이며, 사랑하고 믿는 사람들과 같이 쓸 말이니까요. 아이한테 물려줄 말이요, 동무와 어깨를 겨눌 말이며, 한집 사람들이 즐거이 쓸 말이니까요.


 후에 연락하다 → 다음에 연락하다 / 나중에 연락하다

 후에 딴 말씀을 → 나중에 딴 말씀을 / 그때 가서 딴 말씀을


  그냥저냥 쓰는 말이 아닌 꼼꼼히 살피며 쓰는 말입니다. 얼렁뚱땅 쓰고 그치는 말이 아닌 차근차근 헤아리며 쓰는 말입니다. 아무렇게나 쓰는 말이 아닌 믿음과 사랑을 듬뿍 담아서 쓰는 말입니다. 4341.5.16.쇠/4342.5.10.해/4347.10.1.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8·15 뒤로 춘원은 온데간데 없었다. 8·15 앞서까지만 해도 겨레에 별처럼 섬겨지던 춘원이


“온데간데 존재(存在)도 없었다”는 “온데간데 보이지 않았다”나 “온데간데 없는 사람이었다”나 “온데간데 없었다”로 다듬습니다. “8·15 전까지만”은 “8·15가 되기 앞서까지만”이나 “8ㆍ15 앞서까지만”으로 손보고, “민족(民族)의 우상(偶像)처럼 존경(尊敬)받던”은 “우리 겨레 별처럼 받들리던”이나 “겨레한테 별처럼 섬겨지던”으로 손봅니다.



후(後)

 1. 뒤나 다음

   - 며칠 후에 다시 만납시다 / 십 분 후에도 돌아오지 않으면

 2. = 추후(追後)

   - 후에 연락하마 / 후에 딴 말씀 하지 마십시오

 3. ‘뒤나 다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후더침 / 후보름 / 후서방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756) 후의 2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동서 냉전 하에서 이 상자에 비쳐지는 세계도 전혀 다른 두 세계가 되었다

《이마무라 요이치/김이랑 옮김-영상 미디어와 보도》(눈빛,1998) 6쪽


 세계대전 후의 동서 냉전 하에서

→ 세계대전 뒤 동서 냉전에서

→ 세계대전을 치른 동서 냉전에서

→ 세계대전을 겪은 동서 냉전에서

→ 세계대전이 끝난 뒤 동서 냉전에서 

→ 세계대전이 지난 뒤 동서 냉전에서

 …



  ‘後 + 의’는 한국말 ‘뒤’를 밀어내며 쓰입니다. 보기글을 살펴봅니다. 말 그대로 “세계대전 뒤”를 이야기하는 자리인데, 세계대전 뒤라고 한다면, “세계대전을 치른 다음”이나 “세계대전이 끝난 다음”이나 “세계대전이 지난 다음”이라 할 수 있어요. “세계대전을 겪은 다음”이나 “세계대전이 몰아치고 난 뒤”라든지 “세계대전이 휩쓸고 지나간 뒤”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엇을 말하려 하는지 찬찬히 살펴서 또렷하게 적어야지 싶어요. 우리 마음 그대로 말을 하거나 글을 적으면 됩니다. 말치레가 아닌 속가꿈으로 나아가면 돼요.


 세계대전 뒤 이어진 동서 냉전에서

 세계대전 뒤 찾아온 동서 냉전에서

 세계대전 뒤 생겨난 동서 냉전에서

 세계대전 뒤 이루어진 동서 냉전에서


  내 몸을 살리듯 내 말을 살릴 길을 찾아야지 싶습니다. 내 마음을 살리듯 내 글을 살릴 길을 찾아야지 싶습니다. 내 넋을 살리듯 내 말투를 살리고, 내 얼을 살리듯 내 글투를 살려야지 싶습니다. 내 삶을 하나하나 살리면서 내 생각을 하나하나 살리고, 내 말과 글 또한 하나하나 살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4342.5.10.해/4347.10.1.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동서 냉전에서 이 상자에 비치는 세계도 아주 다른 두 세계가 되었다


“냉전(冷戰) 하(下)에서”는 “냉전에서”나 “찬바람에서”로 다듬어 봅니다. ‘비쳐지는’은 그대로 둘 수 있으나 ‘비치는’으로 손보면 한결 낫고, ‘전(全)혀’는 ‘아주’나 ‘사뭇’으로 손봅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169) 후의 3


사흘 후의 일이었다

《사노 미오코/정효진 옮김-귀수의 정원 1》(서울문화사,2011) 6쪽


 사흘 뒤 일이었다

→ 사흘이 지난 일이었다

→ 사흘 뒤였다

→ 사흘이 지났다

 …



  보기글을 살피니, 한국말 ‘뒤’를 넣더라도 자칫 “사흘 뒤의 일”처럼 적을 수 있겠구나 싶습니다. 그러나 단출하게 “사흘 뒤 일이었다”로 적으면 됩니다. 더 단출하게 다듬는다면 “사흘 뒤였다”나 “사흘이 지났다”로 적으면 돼요. 4347.10.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화과를 소쿠리에 담는 즐거움



  아이들이 며칠에 한 차례씩 “무화과 있어요? 무화과 없어요?” 하고 묻습니다. 이 소리를 들으면 “그래, 무화과를 딸까?” 하고 대꾸하며 무화과를 따러 뒤꼍으로 갑니다. 아이들이 묻지 않아도 조용히 무화과를 따서 물에 씻으면 어느새 아이들이 달라붙습니다. 아마 무화과알 냄새를 맡았겠지요.


  소쿠리에 하나 담고 둘 담고 셋 담습니다. 한 알 두 알 석 알 차츰 늘어납니다. 아직 우리 집 무화과나무는 그리 안 크고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하루에 먹을 수 있는 무화과는 몇 알 안 됩니다. 앞으로 무화과나무가 넓고 크게 퍼지면, 가을에 무화과 열매를 소쿠리 가득 따서 그야말로 밥처럼 배불리 먹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네 살 아이가 “무화과 많다!” 하고 외치면, 일곱 살 아이가 “자, 세 볼까!” 하면서 하나씩 셉니다. 조그마한 아이들한테는 오늘 딴 무화과 열 알만 하더라도 많을는지 모르는데, 이 아이들이 한 살 두 살 더 먹으면, 우리 집 무화과는 한결 크게 자라서 아이들 나이와 몸에 맞게 더 많이 열매를 나누어 줄 테지요. 4347.10.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삶과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