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쇄를 찍자 2
마츠다 나오코 지음, 주원일 옮김 / 애니북스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686



책숲과 책나무

― 중쇄를 찍자! 2

 마츠다 나오코 글·그림

 주원일 옮김

 애니북스 펴냄, 2015.8.19. 8500원



  흔히 하는 말 가운데 ‘숲을 못 보고 나무만 본다’라든지 ‘나무를 못 보고 숲만 본다’라는 말이 있어요. 큰 틀을 못 보고 작은 구석만 본다거나, 작은 구석을 업신여긴 채 큰 틀만 보는 몸짓은 둘 모두 안 좋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숲은 나무가 모여서 이루어요. 나무는 하나둘 모여서 숲을 이루지요. 숲하고 나무는 동떨어지지 않아요. 나무하고 숲은 언제나 하나예요. 이 대목을 헤아릴 수 있는 마음일 적에 비로소 ‘큰 것도 작은 것도 없이 하나’인 삶을 맞이할 만해요.



“잡지 색깔이 고정되어 신규 독자를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어요. 우리한테는 신인 작가의 신작이 적습니다. 빨리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엠퍼러》 혼자 독식하게 되는…….” “그건 안 돼! 새 연재! 새 연재! 이 자식들아, 골든위크까지 신인의 새 연재작 만들어 와!” (11∼12쪽)


“쿠로사와, 넌 누구한테 월급 받고 있다고 생각하냐?” “예, 그야 회사 아닌가요?” “틀렸어! 독자야!” (21쪽)



  큰 만화책·만화잡지 출판사에 새내기 영업사원으로 들어간 아가씨가 나오는 만화책 《중쇄를 찍자!》(애니북스,2015) 둘째 권을 읽으며 이래저래 생각에 잠겨 보았습니다. 이 만화책은 숲이나 나무 둘 가운데 어느 하나도 제대로 붙안지 못한다고 느낍니다. 팔림새를 따지는 대목에서는 너무 팔림새에 치우치지 싶습니다. 작가하고 독자를 바라볼 적에는 작가하고 독자란 누구인가 하는 대목에서 겉돌지 싶습니다.



“미움 받아도 원망하셔도 할 말은 해야겠어요! 작품을 지키는 게 선생님을 지키는 거니까요. 제가 담당인 만큼, 선생님의 신뢰에 절대로 흠이 가게 놔두진 않겠어요!” (27쪽)


“말릴 수 없는 일이라고 와다 편집장님은 말씀하셨지만, 전 슬퍼요. 선생님께서 그려 주시지 않으면, 저희는 이제 두 번 다시 츠노히메랑 만날 수 없으니까요.” (59∼60쪽)



  《중쇄를 찍자!》 둘째 권을 읽으면서 군데군데 ‘고개를 끄덕일’ 만한 대목을 엿보기는 하지만, 나머지 아주 긴 흐름에서는 ‘고개를 갸우뚱할’ 일이 넘친다고 느낍니다.


  작가란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요? 작가는 성공만 할까요 실패만 거듭할까요? 작가한테 성공이나 실패가 따로 있을까요? 출판사로서는 작가 한 사람이 늘 ‘대작’을 내놓아서 장사가 잘되면 좋을 수 있습니다. 이는 팔림새만 바라보는 큰 출판사 ‘매출 실적 따지기’ 틀에서는 맞는 대목입니다.


  그렇다고 작가 한 사람이 스스로 새롭게 발돋움하지 않고서 ‘한 캐릭터’에만 매달려도 좋을까요? 어쩐지 《중쇄를 찍자!》는 언뜻 숲을 보고 나무를 보는 듯한 몸짓을 보이려 하지만, 막상 숲도 나무도 제대로 보지 못하면서 얼렁뚱땅 슬그머니 간보기를 하듯이 건드리는 데에서만 그치지 싶어요.



“얘야, 아버님을 그런 식으로 말하면 안 된다. 우시로다 바쿠는 엄청나게 재미있는 만화를 그리던 사람이었다고.” “예전에 어쨌든, 지금은 쓰레기예요.” (161쪽)


“아유, 아버님 만화 읽어 본 적 있어?” “집에는 아마 단행본 없을 거예요. 어린 시절에는 봤을지도 모르지만.” “그렇구나. 가능하면 가져다주고 싶었지만, 단행본은 사외 반출 금지거든. 아유도 읽고 나면 아버님을 존경하게 될 거라고 믿어. 다음에 헌책방에서 찾아서 가지고 올게!” (182∼183쪽)



  책숲이란 책으로 이룬 숲이고, 책나무란 책으로 이룬 나무입니다. 나무 한 그루만으로도 마당이나 집이나 마을은 숲이 될 수 있습니다. 숲에는 나무뿐 아니라 풀벌레랑 새랑 숲짐승에다가 사람까지 고루 어우러질 뿐 아니라 냇물이 흐르고 바다로 이어지면서 온누리를 잇는 숨결이 깃듭니다.


  ‘큰 매출을 바라는 대형출판사 눈높이와 눈길’로 그려내는 만화로 다룰 만한 이야기는 어느 벽을 넘지 못할 수 있겠지요. 그러나 이러한 벽을 미처 살피지 않거나 제대로 파고들지 않는다면 이도저도 아닌 꼴이 되어요. ‘대형출판사 논리’로 가려 한다면 아예 대형출판사 논리로 제대로 가든지, 작은출판사 이야기로 가려 한다면 이 이야기를 제대로 짚든지 할 노릇입니다. 2017.5.22.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하지 않는 두사람 5
요시다 사토루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702



아끼면서 곁에 있는 마음

― 일하지 않는 두 사람 5

 요시다 사토루 글·그림

 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 2016.5.31. 5000원



  아이들한테 돈을 버는 일을 시키는 어버이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비록 나라도 사회도 메말라 그만 아이들이 돈벌이에 나서야 하는 때가 있겠지만, 어버이로서는 아이들한테 돈벌이를 시킬 마음이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어버이라면 아이들한테 무엇을 시킬까요? 바로 튼튼히 자라도록 즐겁게 뛰놀라고 시키겠지요. 살림을 즐겁게 배우고 삶을 기쁘게 바라보면서 언제나 신나게 노래하는 하루가 되기를 바랄 테고요.



“발렌타인 초콜릿을 만들어 보렴.” “초, 초콜릿을 만들어? 카카오로?” “허튼소리 하지 말고. 만ㄷ들어서 아빠랑 마루야마한테 줘. 항상 신세를 지고 있잖아.” “흐엥.” “초콜릿이라. 마루야마 거에 딱 하나만 카레 가루를 섞으면 재미있을 것 같은데?” “우히히, 오빠는 정말 심술궂다니까.” (16∼17쪽)



  만화책 《일하지 않는 두 사람》(대원씨아이,2016) 다섯째 권을 읽으면서 어버이하고 아이 사이를 헤아려 봅니다. 아이들이 자라서 열 살을 지나고 스무 살이 되면 꼭 ‘양복을 차려입고서 회사로 가서 돈을 벌어’야 할까요? 어떤 일자리이든 다 좋으니 그저 돈을 벌 줄 알면 될까요?


  아이들은 이름난 대학교에 척척 붙어야 할까요? 이름이 안 난 곳이라도 좋으니 대학생이 되어야 할까요?


  아이들은 입시공부 빼고는 살림공부나 삶공부는 안 해도 좋을까요? 아이들은 마음공부를 안 하고 지내도 될까요? 어버이도 아이 곁에서 살림공부나 삶공부나 마음공부를 안 해도 될까요?



“이거 봐, 이거. 딸이 준 생일 선물이야.” “어깨 안마권이라니. 자네 딸 대체 몇 살이야?” “우리 애는 애초에 돈이 없으니 선물은 대체로 항상 어깨 안마권이지. 어제도 어깨를 주물러 줬어.” (39쪽)


“꽃무늬는 좀 그런데. 여자나 애들이 입는 옷이라.” “너도 여자잖아.” (55쪽)



  만화책 《일하지 않는 두 사람》은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진 어떤 틀을 살살 깨뜨리고 싶은 마음을 보여줍니다. 일과 돈이 무엇인가를 넌지시 묻습니다. 아이들하고 오붓하게 누리는 삶이란 무엇인가를 조용히 묻습니다. 어버이하고 아이가 서로 아낄 줄 아는 마음이란 무엇인가를 가만히 묻습니다.



“둘 다 오늘 정말 고마워.” “이런 걸 가지고 뭘. 이제 1년 간은 효도 안 해도 되겠다.” “그러게.” “엄마, 지금은 웃어야 할 장면이야.” “너희들이 그런 말을 하니 농담으로 안 들려서 그래.” (92쪽)



  돈을 많이 벌면 많이 쓸 수 있어서 좋은지, 아니면 이 돈으로 아름다운 일을 하거나 즐거운 살림을 지을 수 있어서 좋은지 생각해 보아야지 싶어요. 일자리가 있으면 이 일자리가 ‘사는 보람’을 느끼게 하는지 북돋우는지 곰곰이 따져 보아야지 싶어요.


  즐거움이 없는 집에는 웃음이 없습니다. 아끼는 마음이 없는 집에는 노래가 없습니다. 사랑이 없는 집에는 이야기가 없습니다. 우리가 저마다 살림을 짓거나 삶을 가꾸는 집에는 무엇이 있으면 좋을까요? 사내나 가시내는 어떤 몸짓과 마음으로 함께 어우러지는 하루를 지을 적에 기쁠 만할까요? 2017.5.22.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여우 13
오치아이 사요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700



어버이로서 아끼는 마음은 새롭게 이어지고

― 은여우 13

 오치아이 사요리 글·그림

 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 2017.4.30. 5000원



  어버이는 아이한테 무엇을 물려줄 만할까 하고 자주 생각해 봅니다. 예전에는 말이나 이야기를 물려준다는 생각을 해 보았고, 사랑을 물려준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숲으로 가꾼 보금자리를 물려준다는 생각을 해 보았으며, 스스로 꿈을 짓는 길을 물려준다는 생각을 해 보았어요. 여기에 한 가지를 더 생각해 본다면, 어버이는 아이한테 살림하는 기쁨하고 살아가는 즐거움을 물려주지 싶습니다.



“긴타로 님, 슬슬 유코에게 얘기할까 합니다. 긴타로 님에 대해서. 믿을지 어떨지는 모르지만.” “마음대로 해. 네 딸이니까.” (17쪽)


“뭐 거짓말 같은 얘기지만 어쩌면 너한테도 조만간.” “진짜예요? 아빠.” “뭐, 내가 죽고 난 뒤겠지만.” “아빠한테도 보여요?” “그래.” “그럼 이 아이한테도 보이게 될까요?” (21쪽)



  오치아이 사요리 님 만화책 《은여우》(대원씨아이,2017) 열셋째 권이 오랜만에 한국말로 나옵니다. 열셋째 권에 이른 《은여우》는 어버이로서 짓는 기쁜 살림하고 즐거운 삶을 다룹니다. ‘은여우’를 알아본 3대 이야기가 흐르는데, 오늘 이곳에 있는 마코토, 마코토네 엄마, 마코토네 할아버지, 이렇게 세 사람 사이를 흐르며 이를 지켜본 은여우 이야기가 흐르지요.



“아빠는 처음에 무서워하셨어요?” “아, 뻣뻣하게 굳었었지.” “후후후. 아빠도 참. 아|빠가 긴타로 님에 대해 얘기를 해 주셨으니까요.” “용케 그런 얘기를 믿었군.” “제게는 전혀 꿈같은 얘기가 아니라 그저, 평범한 일이었으니까.” (34쪽)


“아무튼 나는 엄마를 기억하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내 대신 우리 신사가 엄마를 기억하고 있을 테니까 괜찮아.” (52∼53쪽)



  마코토네 할아버지는 처음 은여우를 알아볼 무렵 무척 뻣뻣하면서 무서운 사람이었다면, 이녁 아이(마코토네 어머니)를 낳아 돌보는 동안 부드러우면서 따스한 사람으로 거듭났다고 해요. 마코토네 어머니는 이녁 아버지(마코토네 할아버지)한테서 이러한 기운을 물려받아서 새롭게 가꾸었겠지요. 따스하면서도 다부진 몸짓으로. 그리고 이 기운은 이녁 딸인 마코토한테 씩씩하면서 상냥한 마음으로 새롭게 이어가고요.



“엄마의 무녀 모습 진짜 예뻤겠지.” “네가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렇지 않을까?” (63쪽)


“나 행복해요. 제 마음도 함께, 모두에게 닿기를.” (82쪽)



  한국은 2017년 5월에 대통령을 새로 뽑았습니다. 새로 대통령 자리에 들어선 분은 이모저모 제자리를 찾도록 힘쓴다고 합니다. 아마 새로운 일을 하지는 못할 듯학고 ‘제자리 찾기’에만 힘을 쓸 수 있으리라 느낍니다. 이제껏 이 나라 정치나 행정은 새로운 일은커녕 제자리조차 제대로 못 잡으며 허우적거렸거든요. 오늘 한국 사회로서는 ‘제자리 찾기’가 바로 새로운 길일 수 있어요.


  그러니까 이런 한국 사회에서는 아이를 돌보며 가르치는 삶이나 살림을 ‘사랑’으로 바라보려면 한참 멉니다. 나라에서 내놓는 정책이라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이나 제도권 교육 테두리일 뿐입니다. 그나마 이런 정책이 나오려면 해를 넘길 만하지 싶어요.


  어버이하고 아이가 서로 사랑하는 손길, 어버이가 아이한테 기쁘게 살림을 짓는 사랑을 밝히는 목소리, 어버이랑 아이가 보금자리를 숲으로 가꾸는 즐거움을 나누는 걸음, 이를 이야기하면서 펼 만한 정책이 나오려면 먼저 우리가 여느 우리 자리에서 거듭나야지 싶습니다. 2017.5.18.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계의 린네 25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7년 4월
평점 :
품절


만화책 즐겨읽기 699



한 걸음 나아가려는 길

― 경계의 린네 25

 타카하시 루미코 글·그림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 2017.4.25. 4500원



  여러 가지 길이 있습니다. 앞으로 한 걸음 나아가는 길이 있고, 제자리에서 맴도는 길이 있어요. 뒷걸음을 치는 길이 있고, 옆으로 새는 길이 있습니다. 어디로 가든 모두 길이지만,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는다면 스스로 거듭나지 못합니다. 어디론가 가고 싶다면, 무엇인가 이루고 싶다면, 더디더라도 앞으로 한 걸음씩 내딛을 수 있어야 해요.



‘죽은 날에서 기억이 멈췄구나.’ (31쪽)


“아시겠어요? 10년이 지난 겁니다. 그리고 모두 어른이 됐습니다. 아무도 당신을 비웃지 않아요.” (41∼42쪽)



  타카하시 루미코 님 만화책 《경계의 린네》(학산문화사,2017) 스물다섯째 권을 읽습니다. 이른바 ‘성불’하지 못한 이들은 한 걸음을 미처 내딛지 못하고 떠돈다고 할 만합니다. 뜻하지 않게 숨을 거두면서 제자리걸음을 해요. 때로는 샛길로 빠지고, 때로는 뒷걸음을 치지요.


  이 만화를 이끄는 로쿠도 린네는 이들을 살펴서 저승으로 보내는 일을 합니다. 부디 느긋하면서 차분하게, 또 너그러우면서 따스하게 모든 아쉬움을 내려놓고서 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기를 바라요.



“이 원본, 진짜 골드 면허증이 있는 한, 모조품은 얼마든지 만들 수 있지!” “이봐, 아버지! 그게 정말로 진짜야?” “어떻게 당신 같은 쓰레기가 골드 면허를 딸 수 있지?” (77쪽)


“마미야 사쿠라, 지금까지 여러모로 신세를 졌는데, 한꺼번에 갚을 수 있을 것 같아.” “어?” (102쪽)



  한 걸음을 내딛지 못하는 이는 죽은 이만이 아닙니다. 산 자리에서도 한 걸음을 못 내딛는 이가 있어요. 이를테면 린네네 아버지가 있어요. 사신 세계에서 공무원 노릇을 하는 이도 있어요. 어느 모로 본다면 늘 가난뱅이 살림에 허우적거리는 린네 스스로도 한 걸음을 못 내딛는다고 할 만해요.


  한쪽에서는 한 걸음을 내딛는다고 할 만하면서, 다른 쪽에서는 한 걸음을 못 내딛거나 옆걸음이나 뒷걸음을 친다고 할 만합니다. 스스로 아름다움을 바라보지 못하기에 옆걸음이나 뒷걸음이요, 스스로 사랑하려는 마음에서 멀어지기에 옆걸음이나 뒷걸음이라고 할 만해요.



“그럴 시간에 통지표에 성적을 적을 생각은 안 들었어요?” “그건 미처 생각 못했어.” (120쪽)


“그런 것보다 문제는 당신입니다! 염원이 이루어져 저주라는 글자를 완성한다는 것은 즉, 완전한 악령으로 전락한다는 뜻이에요!” “후, 이미 늦었어. 설령 지옥에 떨어진다 해도, 더 바랄 것이.” (184∼185쪽)



  꿈을 그리려는 마음일 적에 한 걸음을 내딛습니다. 꿈이 사라진 마음에서는 제자리걸음이거나 옆걸음이거나 뒷걸음입니다. 그리고 스스로 마음에 사랑을 지필 적에 한 걸음을 새롭게 내딛어요. 사랑을 잊거나 잃은 몸짓일 적에는 바보스럽거나 엉터리로 이리저리 헤매고요.


  늦은 일이란 없어요. 늦는 일도 없어요. 한 걸음씩 나아가면 됩니다. 누구나 처음처럼 한 걸음을 디딜 수 있으면 되어요. 두 다리가 있고 두 손이 있어 걸을 뿐 아니라 지을 수 있기에 비로소 사람이라는 삶을 이룹니다. 2017.5.10.물.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누야샤 3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690



살리느냐 살리지 않느냐

― 이누야샤 3

 타카하시 루미코 글·그림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 2002.3.25. 4500원



  살릴 수 있다면 살리는 길이 사람이 사는 길인가 하고 생각해 봅니다. 살릴 수 있기에 살린다기보다, 함께 살아가려고 하는 마음이기에 사람으로서 사는 하루인가 하고 생각해 봅니다. 내가 이곳에서 살아가듯이 너도 이곳에서 살아가기를 바라는 뜻을 품고서 서로 손을 맞잡거나 어깨동무를 하는 삶인가 하고 생각해 봅니다.



“이봐. 그럼 비켜.” “그것도 안 돼. 살릴 수 있을지도 모를 영주님을 죽게 내버려둘 수는 없어. 아니, 이게 영주님이 아니라도, 나는 사람이 죽는 것은 싫어!” (68∼69쪽)


“이 사혼의 구슬 조각으로 요력을 키우려 했던 거냐?” “그런 것의 힘을 빌리지 않아도 나는 강해! 다만.” (181쪽)



  《이누야샤》에 나오는 이들은 사람이든 요괴이든 모두 ‘살아’갑니다. 살려고 하지요. 죽으려고 하는 이는 없어요. 사혼 구슬을 거머쥐려고 하는 이도 살아가려는 마음입니다. 사혼 구슬하고 동떨어진 자리에서도 그저 살아가려는 마음이에요. 사혼 구슬을 거머쥐어 매우 큰 힘을 쓰고 싶은 이도, 이 사혼 구슬을 지켜서 궂은 티끌을 씻어내려고 하는 이도, 모두 살아가려는 마음입니다.



“곧 돌아온다고 했잖아!” “사혼의 구슬은 어쩌려고!” “비켜. 내일부터 시험이란 말야. 난 중3이야. 고교 입시를 앞두고 있다고. 이대로 가면 출석일수도 모자라고.” (85쪽)


“이누야샤 님, 왠지 기운이 없으시군요.” “시끄러.” ‘카고메가 늦네. 괴롭힐 상대가 없으니 힘이 안 나.’ (106쪽)



  무엇을 손에 거머쥐기에 더 세지 않습니다. 무엇을 손에 못 거머쥐기에 덜 세지 않습니다. 사혼 구슬이든 칼이든 활이든, 손에 무엇이 있어야 더 센 사람이 되지 않습니다. 손에 아무것도 들지 않았기에 아무 힘이 없지 않아요.


  사람도 요괴도 마음에서 힘이 솟습니다. 사람이든 요괴이든, 또 풀이든 꽃이든 나무이든 언제나 마음에서 힘을 스스로 길어올립니다.


  스스로 따사로운 마음이 되기에 따사로이 힘을 씁니다. 스스로 차가운 마음이 되기에 차갑게 힘을 써요. 어느 쪽이든 힘입니다. 어느 힘이든 스스로 쓰려고 하는 마음이니 그와 같은 힘이 우리한테 찾아와요.


  이누야샤는 카고메하고 함께 지내면서 ‘힘’을 새롭게 바라보는 눈을 키웁니다. 그동안 주먹힘만 있으면 된다고 여겼으나, 주먹힘으로는 깰 수 없거나 지킬 수 없는 삶을 천천히 배웁니다. 스스로 따사롭지 못한 채 차가운 힘만 잔뜩 거머쥘 적에는 스스로 조금도 안 기쁜 줄 배우지요.



“고마워라. 어느 시대에나 사악한 혼은 있는 법이지.” (116쪽)


“수백 년 전, 사혼의 구슬 조각이 박힌 참나무로 만든 가면이지. 그 후 몸을 갖고 싶어서 사람을 계속 잡아먹어 왔지만, 사람의 몸은 쉽게 망가져 버리더군. 좋은 몸을 만들려면, 사혼의 구슬을 더 많이 모아야 해. 그러니까, 네가 가진 구슬을 내놔라.” (150쪽)



  배우면서 한 걸음을 걷습니다. 배우면서 하루를 새로 맞이합니다. 배우는 마음으로 따스한 사랑을 깨닫고, 오늘도 모레도 새롭게 배울 수 있는 나날이로구나 하고 느끼면서 비로소 즐거이 웃음을 짓는 길을 찾아냅니다.


  이 얼거리를 배우지 못한다면? 이 얼거리를 배우지 못한다면 사랑이 없는 채 차디차거나 메마른 모습으로 이곳저곳 떠돌지요. 사랑이 없으니 아무 마음이 없어요. 사랑을 배우지 못할 적에는 굶주린 배를 온갖 먹을거리로 채우고 또 채워도 그저 배고프다는 생각에서 헤어나지 못해요. 2017.5.7.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