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시위 示威


 힘의 시위를 보여 주어야 → 힘너울을 보여주어야 / 힘바다를 보여주어야

 시위를 벌이다 → 들고일어나다 / 일어서다

 시위에 가담하다 → 너울에 끼다 / 물결에 붙다

 시위하는 구호 소리로 → 들너올 외침 소리로


  ‘시위(示威)’는 “1. 위력이나 기세를 떨쳐 보임 2. 많은 사람이 공공연하게 의사를 표시하여 집회나 행진을 하며 위력을 나타내는 일 = 시위운동”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구름·구름떼·구름밭·구름무리’나 ‘구름물결·구름바다·구름같다·구름처럼’이나 ‘나라너울·나라물결·들불’로 손봅니다. ‘내달리다·내닫다·내뛰다·달려들다·덤비다’나 ‘너울·너울거리다·너울길·너울판·너울바람·너울결’이나 ‘놀·바다·바닷결’로 손보고, ‘물결·물꽃·물발·물살·몰개·물결치다·물줄기’나 ‘들고일어나다·들고일어서다·떨치다’로 손봐요. ‘들물결·들너울·들꽃물결·들꽃너울’이나 ‘들빛물결·들빛너울·들풀물결·들풀너울’이나 ‘살림너울·살림물결·살림바다’나 ‘삶너울·삶물결·삶바다·삶꽃너울·삶꽃물결’로 손볼 수 있어요. ‘삶꽃바다·삶빛너울·삶빛물결·삶빛바다’나 ‘-랑·-이랑·-과·-와·-뿐·-하고’나 ‘모이다·모여들다·모임·몰려들다·몰려가다’로 손보고, ‘부릅뜨다·붉눈·붉은눈·씨름·씨름하다’나 ‘아침맞이·어깨동무·해돋이·해뜸’으로 손봅니다. ‘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나 ‘치닫다·팔짝’이나 ‘초·촛불’이나 ‘촛불물결·촛불너울·촛불모임·촛불바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시위’를 넷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ㅅㄴㄹ



시위(尸位) : 1. 예전에, 제사 지낼 때에 신주(神主) 대신 시동(尸童)을 앉히던 자리 2. 재능도 인덕도 없으면서 함부로 관위(官位)에 오르는 일. 옛 중국에서, 선조의 제사 때에 그 혈통자를 신의 대리로서 신위(神位)에 앉혔던 데서 유래한다

시위(侍衛) : 임금이나 어떤 모임의 우두머리를 모시어 호위함. 또는 그런 사람

시위(施威) : 위엄을 떨침

시위(施爲) : 어떤 일을 베풀어 이룸



무언의 시위를 하는 거야

→ 조용히 일어선단 말이야

→ 말없이 달려들겠어

→ 차근차근 내닫겠어

《4번 타자 왕종훈 36》(산바치 카와/정선희 옮김, 서울문화사, 1998) 54쪽


열심히 시위 대열을 따라다녔다

→ 신나게 물결을 따라다녔다

→ 힘껏 머리띠 두르고 따라다녔다

《당당한 아름다움》(심상정, 레디앙, 2008) 29쪽


시위를 하기에는 악조건이다

→ 물결을 치기에는 안 좋다

→ 일어나기에는 나쁘다

→ 촛불물결을 하기에는 어렵다

《그녀들에 대한 오래된 농담 혹은 거짓말》(김현아, 호미, 2009) 233쪽


부산에서 발생한 시위는 주변의 마산지역까지 확산되었지만

→ 부산에서 일어난 물결은 둘레 마산까지 퍼졌지만

→ 부산에서 터진 들너울은 둘레 마산까지 번졌지만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정해구, 역사비평사, 2011) 25쪽


민주화 항쟁이란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민주화 압력이 더 이상 억제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일련의 계기를 통해 그 압력이 폭발함으로써 야기되는 대규모 대중 시위라 할 수 있다

→ 들꽃너울이란 힘으로 억누른 틀에 맞선 사람들이 더는 짓밟히지 않으려고 한꺼번에 일어나는 너른바다라 할 수 있다

→ 촛불바다란 모질게 짓이기는 나라에서 사람들이 더는 밟히지 않으려고 다함께 일으키는 들불이라 할 수 있다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정해구, 역사비평사, 2011) 134쪽


무언의 시위, 잘 통한다

→ 말없는 물결, 잘 듣는다

→ 조용한 모임, 잘 먹힌다

《탐묘인간》(soon, 애니북스, 2012) 163쪽


민주주의를 위한 성공적 봉기에서 두 차례 대규모 시위를 벌이고

→ 아름길을 이루려고 일어나서 두 판 크게 물결을 치고

→ 바른길을 이루려고 일어서서 두 판 크게 너울치고

《아시아의 민중봉기》(조지 카치아피카스/원영수 옮김, 오월의봄, 2015) 444쪽


시위 준비에 필요한 많은 역할을 맡았던 주모자였다

→ 너울을 꾀하며 여러 몫을 맡고 이끌던 사람이다

→ 물결을 앞두고 온갖 일을 맡아서 끌던 사람이다

《우리는 현재다》(공현·전누리, 빨간소금, 2016) 22쪽


보도블록 틈새에 꽃 한 송이 피워 놓고 시위를 하고 섰다

→ 길바닥 틈새에 꽃 한 송이 피워 놓고 너울거린다

→ 바닥돌 틈새에 꽃 한 송이 피워 놓고 물결친다

《무릎 의자》(김동억, 아침마중, 2017) 22쪽


시위의 첫 장소로 선택한 데는 이유가 있었다

→ 너울판 첫터로 고른 까닭이 있다

→ 들물결 첫자리로 삼은 뜻이 있다

《공격 사회》(정주진, 철수와영희, 2024) 1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금융위기



 금융위기가 초래한 부도였다 → 살림벼락 탓에 고꾸라졌다

 금융위기 이후를 논하다 → 벼랑길 다음을 말하다

 금융위기에 대처하는 자세 → 빚잔치에 맞서는 매무새


금융위기 : x

금융(金融) : [경제] 금전을 융통하는 일. 특히 이자를 붙여서 자금을 대차하는 일과 그 수급 관계를 이른다

위기(危機) : 위험한 고비나 시기



  돈을 다루기 어렵거나 돈이 돌지 않아서 힘들 때가 있다지요. 일본말씨로 ‘금융위기’라고도 합니다만, 우리말씨로 ‘돈고비·돈고개·돈늪·돈벼랑·돈수렁·돈앓이’나 ‘살림고비·살림늪·살림벼락·살림벼랑·살림수렁’이라 할 만합니다. 수수하게 ‘가난·가난살림·가난살이·가난나라·가난누리’라 할 수 있고, ‘가파르다·강파르다·깎아지르다’나 ‘굶다·굶주리다·주리다·쪼들리다·배고프다·찌들다’라 해도 어울려요. ‘나가떨어지다·나뒹굴다·낮다’나 ‘늪·벼랑·벼랑끝·벼랑길·수렁’이라 할 만합니다. ‘떨려나가다·떨어져나가다·떨어지다·떨구다·떨어뜨리다’나 ‘밑지다·바닥나다·허우적·허겁지겁·허둥지둥’이라 할 수 있어요. ‘바닥나라·바닥누리·바닥판·바닥살림·바닥살이’나 ‘발가벗다·발가숭이·벌거벗다·벌거숭이·벗다·벗기다·헐벗다’나 ‘빚·빚길·빚살림·빚잔치·빚지다’라 해도 되고요. ㅅㄴㄹ



금융위기로 서울의 아파트가 팔리지 않아 돈줄이 막혔는데

→ 돈늪으로 서울 잿집이 팔리지 않아 돈줄이 막히는데

→ 살림늪으로 서울 잿집이 팔리지 않아 돈줄이 막히는데

《씨앗은 힘이 세다》(강분석, 푸르메, 2006) 28쪽


금융 위기가 야기한 2000만 명의 실업 사태는

→ 돈고비 탓에 노는 2000만은

→ 벼랑끝에서 일거리를 잃은 2000만은

→ 빚잔치라서 일자리를 잃은 2000만은

《탈향과 귀향 사이에서》(허쉐펑/김도경 옮김, 돌베개, 2017) 1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9.25.

사진책시렁 97


《reminiscence》

 Jung A Kim(김정아)

 KEHER

 2015.



  우리는 딱히 ‘사진’을 해야 사진을 알지 않습니다. 우리는 굳이 ‘농업’을 해야 농업을 알지 않습니다. 아이를 낳기에 아이를 알까요? 시골에 살기에 시골을 알까요? 그럼, 나이를 먹으면 어른을 알거나 서울에 살면 서울을 알까요? 《reminiscence》를 펴면 하나부터 열까지 어렴풋합니다. ‘reminiscence’라는 낱말이 바로 ‘어렴풋’이나 ‘아련’을 뜻하기도 합니다. “지나감·돌아봄·떠올림(추억)”이란, 오늘 여기에 있는 나를 내려놓고서 우리가 살아가는 이곳을 어렴풋하고 아련하고 어슴프레하고 뿌옇고 흐리고 매캐하게 느끼는 길입니다. 무엇이 뚜렷한가요? 겉모습이 순이나 돌이라서? 나이가 열이나 스물이나 서른이나 마흔이나 예순이나 여든이라서? 서울이나 큰고장에서 살아서? 시골이나 섬에 살아서? 우리가 걷는 발자취는 길마다 남을 테지만, 언뜻 보기에는 하나도 안 남는 듯합니다. 숱한 사람들이 우리 발자국을 새로 밟고 지나가기도 하고, 우리가 디디던 골목이나 길이나 마을이 통째로 사라지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걸었던 삶”은 늘 마음에 남아요. 보이지 않아도 보고, 안 보인다고 할 적에는 눈을 감고서 봅니다. 살아가기에 ‘삶’을 알지 않아요. 사랑을 할 적에 삶도 사진도 흙짓기도 이웃도 또렷이 봅니다.


#시와예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みさおとふくまる (單行本)
伊原 美代子 / リトル·モア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9.25.

사진책시렁 154


《みさお と ふくまる》

 伊原美代子

 little more

 2011.10.28.



  해마다 짝짓기철이 찾아오면 마을고양이는 새끼를 낳는데, 우리 집 헛간에서도 낳고, 마을 다른 집에서도 낳습니다. 우리 집에서 태어나건 다른 집에서 자라나건, 마을고양이는 꼭 우리 집 마당이나 뒤꼍을 슬슬 가로지릅니다. 새끼 고양이도 어미 고양이도 마을을 휘휘 둘러보듯 거닐며 하루를 보냅니다. 고양이는 이래저래 마실을 다니면서도 사람한테 하악거리는 일이 없어요. 개는 목줄이 풀리거나 없는 채 다닐 적에 으레 컹컹거립니다. 두 모습을 지켜볼 때면, 고양이나 개가 아닌 범이나 늑대였으면 어떻게 마주했으려나 하고 곱씹습니다. 《みさお と ふくまる》를 지난 2018년에 일본마실을 다녀오는 길에 장만했습니다. 자그마치 일곱 해나 자리맡에 놓았더군요. 아주 잘 담은 빛꽃은 아니되, 즐겁고 재미나게 마주하는 하루를 차근차근 옮긴 빛꽃입니다. 할머니로서는 고양이가 동무이자 한집안입니다. ‘동무이자 한집안인 고양이’를 찰칵찰칵 담는 사람은 이웃이면서 동무일 테지요. 우리나라에도 서울이나 큰고장이 아닌 시골을 두 다리로 고즈넉이 걸어다니면서 마주하는 빛꽃님이 있을까요? 없지는 않을 테지만, 좀처럼 못 봅니다. 그저 이웃으로서, 스스럼없는 말동무로서, 이따금 찰칵 담아서 빛꽃을 나누는 일지기로서 살면 될 텐데.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7의 인간 - 유럽 이민노동자들의 경험에 대한 기록 존 버거 & 장 모르 도서
존 버거 지음, 장 모르 사진, 차미례 옮김 / 눈빛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9.25.

사진책시렁 158


《제7의 인간》

 존 버거 글

 장 모르 사진

 차미례 옮김

 눈빛

 1992.2.10.



  나라를 버틸 일꾼이 모자라다고 여겨서 이웃일꾼을 잔뜩 받아들입니다. “A Seventh Man”이 처음 나오던 1982년 무렵에는 이 나라 사람들이 여러 나라로 찾아가는 일꾼이었고, 한글판이 나온 1992년에도 그리 다르지 않았습니다만, 어느새 확 기울었어요. 이제 이웃일꾼이 우리나라 골골샅샅에서 땀흘리면서 밑자락을 버팁니다. 이웃일꾼이 숱한 일터와 살림터에서 떠나면 우리 스스로 밑자리를 알맞게 채울 수 있나요? 그야말로 우지끈 와르르 무너지지 않을까요? 《제7의 인간》은 ‘돈을 벌어서 집안과 마을을 살려야 하는 가난한 나라 사내’들이 ‘돈을 베풀 테니 들어오라고 손짓하는 잘사는 나라’로 건너가서 보내는 나날을 가만히 지켜보면서 줄거리를 풀어냅니다. 그런데 이웃일꾼을 바라보는 붓이나 눈은 ‘잘사는 나라 사내’입니다. ‘가난한 나라 사내’는 스스로 이녁 모습을 담거나 찍을 겨를이 없고, 붓도 찰칵이도 없습니다. ‘존 버거·장 모르’ 두 분은 ‘가난한 나라 눈이나 손’으로 바라볼 수도 담을 수도 그릴 수도 없습니다. ‘잘사는 나라 눈이나 손’으로 구경하고 둘러보면서 살며시 담습니다. 이 땅으로 온 이웃일꾼하고 말을 섞고 마음을 나눌 적에는 이야기가 사뭇 다르겠지요. 책을 옮기는 말씨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느 자리에 선 눈길로 옮긴 한글판일까요.


#ASeventhMan (1982)

#JohnBerger #JeanMohr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이 사진책을 벌써 몇 벌째 되읽었는지 모른다.

2024년에 새삼스레 되읽으면서

별꽃을 3/5로 매긴다.

2009년에 쓴 느낌글에는

별꽃을 5/5로 매겼구나.


인천을 떠나 시골에서 살아가며

늘 이웃일꾼을 마주하는 이곳에서는

이제 《제7의 인간》이 고리타분하고

여러모로 시답잖다고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