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15.

오늘말. -랑


어린 날을 떠올리면, 여리고 골골대는 몸이지만, 어떤 일을 맡으면 온힘을 다하였습니다. 힘이 모자라니, 작건 큰건 용을 써야만 할 수 있습니다. 누가 거짓말을 시키면 거짓말을 도리도리했습니다. 거짓말을 입밖으로 뱉으면 속이 확 타들어가더군요. 하늘은 늘 우리가 착한지 안 착한지 지켜본다고 느꼈어요. 주먹으로 윽박지르거나 두들겨패더라도 꼬박꼬박 참다운 말을 읊으며 살았습니다. 거짓을 일삼는 무리가 주먹을 휘두를 적에는 얼핏 무서워 보일 수 있습니다만, 사랑이 한 톨도 없는 마구잡이는 무서울 일이 없습니다. 어깨동무도 이웃빛도 없는 무리는 늘 끼리끼리 갇혀서 스스로 무너져요. 팔짱은 두 가지입니다. 불구경을 하는 팔짱이 있고, 서로돕기를 하려고 다가와서 끼는 팔짱이 있습니다. 짝을 맞추어 너랑 나랑 아름답게 웃는 살내음을 나누려는 손길이기에 따뜻합니다. 걸음을 맞추어 나하고 네가 곱게 노래하는 꽃빛을 나누려는 하루이기에 포근합니다. 코앞에서 으르렁거리는 놈을 봐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속으로 환하게 피어날 꿈을 넉넉히 바라볼 노릇입니다. 어느 자리에서건 매한가지예요. 첫째도 막째도 사랑이 사람꽃입니다.


ㅅㄴㄹ


곱다·너그럽다·따뜻하다·따사롭다·따스하다·다솜·다솜빛·다솜꽃·포근하다·폭신하다·푸근하다·푹신하다·후덥다·도와주다·돕다·-랑·-과·-하고·부축·서로돕다·사람·사람결·사람됨·사람길·사람빛·사람꽃·사람답다·사랑·살내음·살내·아름답다·아름길·아름꽃·아름빛·어깨동무·이바지·이웃사랑·이웃빛·팔짱·착하다·참되다·참답다·참하다 ← 휴머니즘, 박애(博愛), 박애주의, 사해동포(四海同胞), 사해동포주의


-째·-째판·탕·바탕·바퀴·돌림·땀·판·마당·때·대·날·곳·군데·꼭지·자락·자리·짝·걸음·발·발자국·벌·섶·줌 ← 회전(回戰), 라운드(round)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