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그늘 있는 곳



  나무그늘이 있는 곳에서 노는 아이들은 시원하다. 나무그늘이 없는 곳에서 노는 아이들은 덥다. 나무그늘이 있는 곳에서 일하는 어른들은 시원하다. 나무그늘이 없는 곳에서 일하는 어른들은 덥다. 나무그늘이 있어 쉬거나 놀거나 일하기에 좋다. 나무그늘을 누리며 낮잠을 즐겨도 좋다. 나무그늘이 있을 만한 데에서는 바람이 나뭇잎을 타고 짙푸르게 분다. 햇볕이 내리쬐는 들에서 일하더라도 그늘을 짙고 커다랗게 드리우는 나무가 둘레에 있으면 바람을 상큼하게 마시면서 땀을 가볍게 훔친다.


  나무그늘이 있기에 마을이 아름답다. 나무그늘이 있기에 보금자리가 포근하다. 나무그늘이 있기에 놀이터가 예쁘고, 나무그늘이 있기에 지구별이 푸르다. 4347.5.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꽃과 책읽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4-05-03 10:32   좋아요 0 | URL
정말 큰 나무가 참 좋네요~
그냥 바라만 보고 있어도, 아이들과 함께 저절로
마음이 푸르러집니다~*^^*

숲노래 2014-05-03 10:38   좋아요 0 | URL
사진을 찍을 적에도
속으로 '아 좋네' 하고 노래했어요.
요 며칠 이 사진을
제 컴퓨터 바탕화면에 넣었습니다 ^___^
 

이와사키 치히로



  이와사키 치히로 님 그림을 무척 어릴 적부터 보았습니다. 무척 어릴 적에는 이분 그림인 줄 몰랐습니다. 한국이라는 나라에 저작권이라는 이름조차 낯선 그무렵, 이와사키 치히로 님 그림을 수없이 복제하여 초·중·고등학교 앞 문방구에서 벽그림이나 책받침으로 팔았습니다. 나는 그때 이분 그림을 사지 않았습니다. 가시내들은 곧잘 사서 썼고, 책싸개로 삼기도 했어요. 국민학교에서는 교실 뒤쪽을 꾸미면서 이분 그림을 으레 붙이곤 했으나, 참말 어느 누구도 이 그림을 그린 이가 누구인지 알려주지 않았고, 아는 사람도 못 보았습니다.


  1918년에 태어나 1974년에 숨을 거둔 이와사키 치히로 님은 이녁 그림을 이웃나라에서 엄청나게 복제해서 엄청나게 판 줄 알까요. 이웃나라 아이들이 이녁 그림을 어릴 적부터 곳곳에서 보면서 자란 줄 알까요.


  나는 어른이 되어 두 아이를 낳고 돌보면서 비로소 이와사키 치히로 님 그림책을 하나둘 장만합니다. 우리 집 책꽂이에 이녁 그림책을 하나둘 꽂습니다. 이녁 그림책을 하나씩 장만해서 들추면 어릴 적에 보던 그 그림이었네 하고 새삼스레 떠오릅니다.


  마당에서 노는 아이들 소리를 들으며 생각합니다. 이와사키 치히로 님은 언제나 아이와 놀듯이 생각하고 사랑하는 결로 그림을 그리셨지 싶어요. 오직 이 하나로 그림을 그리면서 삶을 노래했지 싶어요. 4347.5.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람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리기놀이 9 - 같이 달리자



  아이들이 운동장을 가르며 달린다. 큰아이 둘이 앞서 달리고, 작은아이 둘이 뒤에서 달린다. 아이 몸피만큼, 또 아이 다리힘만큼, 달리는 빠르기가 다르다. 일곱 살 두 아이는 앞장서서 달리면서 서로서로 “너 잘 달린다.” “너 꽤 빠르네.” 하고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4347.5.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놀이하는 아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소놀이 1 - 다 함께 타는 시소



  두 아이를 자전거에 태우고 천천히 오십 분쯤 달려 초등학교 놀이터로 간다. 마침 유치원에서 낮밥을 먹이고 쉬는 때이다. 우리 집 두 아이를 본 유치원 아이들이 달려와서 이름이 뭐냐느니 어디 사느냐느니 묻다가 함께 시소놀이를 한다. 그저 아이들이니 서로 어울려서 함께 시소를 탄다. 깔깔 웃고 뛰고 넘어지면서 한참 논다. 4347.5.2.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놀이하는 아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자말 ‘존재’가 어지럽히는 말과 삶

 (122) 존재 122 : 존재이유 1


그러나 그런 금기들은 존재이유가 없어요

《마르크 캉탱/신성림 옮김-왜 하지 말라는 거야?》(개마고원,2009) 144쪽


 존재이유가 없어요

→ 있어야 할 까닭이 없어요

→ 있을 까닭이 없어요

→ 있어야 하지 않아요

 …


  이 보기글에서는 ‘하지 말라’나 ‘꺼리는 무엇’이 “존재이유가 없”다고 말합니다. 짧은 글월이지만 곰곰이 되씹어 봅니다. ‘금기’라는 낱말이니까 ‘존재이유’하고 잘 어울리는구나 싶습니다. ‘금기’가 아닌 ‘하지 말라’였으면 “그런 하지 말라는 말은 할 까닭이 없어요”쯤 되지 않았으랴 싶고, ‘터부’가 아닌 ‘꺼리다’였으면 “그렇게 꺼려야 할 까닭이 없어요”쯤 적바림했으리라 싶습니다.


  한 가지 말마디를 알맞게 추스르며 잘 다독일 때에는 다른 말마디 또한 알맞게 추스르면서 잘 다독입니다. 한 가지 말마디를 얄궂게 내버리거나 아무렇게나 내팽개칠 때에는 다른 말마디 또한 얄궂게 내버리거나 아무렇게나 내팽개칠 뿐입니다.


  어떤 말은 쓰고 어떤 말은 안 써야 한다는 틀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과 삶을 슬기롭게 나타낼 말을 찾을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이런 말은 쓰고 저런 말은 꺼려야 한다는 짜임새가 아니라, 스스로 넋과 얼을 아름다이 드러낼 글을 찾아나설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없어야 해요

 없애야 해요

 …


  좋다고 느낄 말틀을 찾아야 합니다. 나쁘다고 느끼는 말틀은 손사래쳐야 합니다. 반갑다고 느낄 말투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케케묵거나 짓궂다고 느끼는 말투는 고개를 돌려야 합니다.


  우리 삶터 깊숙이 파고들었다 할지라도, 올바르지 못하다 하는 말투라 하면 기꺼이 없앨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 마음밭과 손길에 배어든 말버릇이요 글버릇이라 하더라도, 알차거나 알뜰하지 못하다 하는 글투라 하면 기꺼이 물리치거나 털어낼 수 있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삶을 사랑하니까요. 우리는 삶을 아끼니까요. 우리는 삶을 좋아하니까요.


  우리는 스스로 사랑할 만한 말을 써야 합니다. 우리는 다 같이 아낄 만한 말을 나누어야 합니다. 우리는 서로서로 좋아하는 말을 이웃하고 스스럼없이 주고받아야 합니다.


  엉뚱한 말을 쓸 까닭이 있겠습니까. 지저분한 말을 끝까지 붙잡을 까닭이 있겠습니까. 얄딱구리한 말로 생각을 어지럽힐 까닭이 있겠습니까.


  나를 살리고 이웃을 살리는 말을 써야 즐겁습니다. 몸과 마음을 아름다이 가꾸면서, 동무들 삶자락에 살포시 다가가며 따숩게 손길 내미는 말을 써야 흐뭇합니다.


 왜 있어야 할까요

 무엇 때문에 있을까요

 누구한테 도움이 될까요

 …


  한 마디 말이 한 가지 씨앗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한 줄 글이 싱그러운 물 한 방울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마음밭에 씨앗 하나 뿌리고, 마음줄기에 물방울 하나로 스며드는 참답고 빛나며 고운 말씨앗와 글방울이 되면서 스스로 삶을 사랑하는 매무새로 나아간다면 기쁘겠습니다.


  못된 말은 못된 법과 함께 쫓아낼 줄 알고, 어리석은 말은 어리석은 제도와 함께 몰아낼 줄 알며, 우리를 못살게 구는 말은 우리를 못살게 구는 몹쓸 편견과 함께 말끔히 씻어낼 줄 알면 더없이 고맙겠습니다. 4342.9.14.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러나 그런 금기는 있을 까닭이 없어요


‘금기(禁忌)’가 있고 ‘터부(taboo)’가 있습니다. 두 가지는 우리가 무엇을 꺼린다고 하는 자리에 으레 쓰는 말입니다. 가까이하지 않을 때, 또는 멀리할 때, 때로는 반기지 않을 때, 그리고 달갑잖이 여길 때 쓰는 말입니다. 이를테면 ‘하지 말라’나 ‘하지 말자’고 하는 무엇인가를 가리킵니다. 그런데, 우리는 언제부터 ‘터부’를 말하고 ‘금기’를 말했을까요. 이런 말마디는 누가 언제부터 썼을까요. 우리한테는 ‘터부’나 ‘금기’ 아니고는 우리 느낌이나 생각이나 삶을 담아낼 말마디가 없을까요. 우리는 있는 그대로 “그런 하지 말라는 말은”이나 “그렇게 꺼리는 여러 가지는”처럼 나타내거나 이야기를 하면 안 될 노릇인가 궁금합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