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2.


《처음 만나는 물고기 사전》

 이상권 글·김미정 그림, 한권의책, 2015.6.17.



바람이 잔잔하다가 훅 불면서 빨랫대를 넘어뜨린다. 햇볕이 그득하지만 빨래가 바싹 마르지 않는다. 땅거미가 질 무렵에 빗방울이 듣는다. 비내음이 섞인 바람에 하루였구나. 어쩐지. 날씨는 여러모로 읽을 수 있다. 하늘빛과 땅빛으로도 읽고, 새가 어떤 날갯짓인지를 살펴서도 읽고, 꽃망울과 잎으로도 느낀다. 바람결과 바람내와 바람빛으로도 읽고, 개미가 어떻게 다니는지로도 읽으며, 나비하고 벌을 보아도 읽을 만하다. 눈을 감고서 둘레를 헤아려도 날씨를 읽을 만하다. 책읽기도 이와 같으니, 종이에 적힌 꾸러미로만 ‘읽기’일 수 없다. 《처음 만나는 물고기 사전》를 아홉 해쯤 앞서 읽었는데, 잘 나온 책이기는 하면서도 여러모로 아쉽기도 했다. ‘물고기’를 어떤 눈으로 보느냐에 따라 줄거리와 풀이와 글결이 확 다르게 마련이다. 헤엄이는 사람한테 이웃인가? 아니면 밥(식량자원)인가? 아니면 숲(생태계)인가? 헤엄이를 어떻게 만나서 한살림을 읽거나 느꼈는가? 헤엄이랑 동무하는 마음으로 만나서 얼거리를 풀어내는가? 어른뿐 아이한테 부스러기(전문지식)를 펴지 않기를 빈다. 살림과 사랑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눈길을 바탕으로 둘레를 읽도록 이끌어야지 싶다. 누구나 새로 디디는 걸음이 하루하루 빛날 수 있기를 바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1.


《록사벅슨》

 앨리스 맥레란 글·바바라 쿠니 그림/아기장수의 날개 옮김, 고슴도치, 2005.6.1.



오늘부터 민소매를 입는다. 어제는 깡똥소매로 책짐을 이고 지고 안고 나르며 땀을 좀 뺐고, 이 알뜰한 햇볕을 어깨까지 맞아들이고 싶다. 오늘도 책짐을 이고 안은 채 걷는다. 대전국악방송에 닿는다. 어림보다 더 걸린다. 지난달에 태어난 《우리말꽃》이 어떤 책인지 이야기하러 찾아왔다. ‘국어학개론’처럼 어렵게 책이름을 붙이면 어렵기만 할 뿐 아니라, 이웃이 못 읽는다. 우리말을 꽃씨를 심는 눈길로 살피면서, 꽃내를 맡는 마음으로 읽고서, 꽃빛을 펴는 말씨로 들려주는 길을 여미어 본다면, 누구나 꽃길을 걷는 꽃사람으로 피어날 만하다는 줄거리를 이야기한다. 일을 마치고서 집으로 돌아간다. 칙폭이에서 조금 눈을 붙이다가 《말밑 꾸러미》를 손질한다. 글쓰기 못잖게 글손질로 하루를 지샌다. 《록사벅슨》을 떠올린다. 자리맡에 놓고서 곧잘 들춘다. 아름책은 언제까지나 되읽는 아름빛이다. 이 그림책을 드문드문 펼쳐서 즈믄(1000) 벌쯤 읽을 무렵이면, 나도 곁님하고 우리 아이들하고 짓는 보금숲 이야기를 이렇게 그림책으로 풀어낼 만하리라 본다. 어른은 맨손으로 일하고, 아이는 맨발로 뛰놀 수 있는 데가, 집이자 마을이자 누리이다. 대전도 순천도 서울도, 또 전남 고흥도, 맨손에 맨발일 만한 데가 확 사라진다.


#Roxaboxen #AliceMcLerran #BarbaraCooney

1991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0.


《선생님, 난민은 왜 생기나요?》

 김미조 글·홍윤표 그림, 철수와영희, 2024.1.15.



추스를 글살림을 더 여미고서 아침에 길을 나선다. 순천을 거쳐 대전으로 간다. 〈중도서점〉에서 꾸러미 가득 책을 장만한다. 책집을 더 갈까 하다가 그만둔다. 길손집에 깃들어 책을 읽는다. 이 책에서 읽는 이 이야기는 앞으로 어떤 씨앗이 되려나 어림한다. 저 책에서 배우는 저 이야기는 머잖아 어떻게 움트면서 자라려나 헤아린다. 이제 곯아떨어진다. 《선생님, 난민은 왜 생기나요?》를 돌아본다. ‘난민 = 어려운 사람’이라는 뜻일 텐데, 집이나 나라나 터전을 잃고서 떠돌아야 하는 몸이다. ‘나그네’요 ‘떠돌이’요 ‘맴돌이’인 셈이다. 바람을 타고서 날아가는 풀씨는 나그네일까? 서울이 늘어나면서 짓밟혀서 죽는 나무는 떠돌이일까? 구경터를 세운다면서 무너지는 숲은 맴돌이일 수 있다. 멀쩡한 바다 한복판에 바람개비(풍력발전기)가 서고, 애먼 멧자락이 민둥갓으로 바뀌더니 햇볕판(태양광패널)이 박힌다. 들숲바다와 풀꽃나무를 괴롭히는 사람이기에, 사람 사이에서도 내쫓고 괴롭힌다. 눈길을 넓힌다면, 왜 여러 나라 사이에서 끝없이 총칼로 괴롭히는지 알 수 있다. 사람들은 더 배우고 더 똑똑하다지만, 정작 ‘쉬운말(생활용어)’을 버리고서 ‘어려운말(전문용어)’로 힘을 쥐고 이름을 날리고 돈을 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73 : -들 -의 채소들 무수


글들은 텃밭의 채소들처럼 무수히 열렸다

→ 글은 텃밭 남새처럼 숱하게 열린다

→ 글은 텃밭에서처럼 끝없이 열린다

《호두나무 작업실》(소윤경, 사계절, 2020) 6쪽


글이나 남새는 ‘-들’을 따로 안 붙입니다. “글을 쓴다”나 “글을 읽는다”라 할 뿐입니다. “오이를 딴다”나 “당근을 먹는다”라 할 뿐이에요. 셀 길이 없다고 할 적에는 ‘끝없다·가없다’나 ‘숱하다’라는 낱말로 나타냅니다. ㅅㄴㄹ


채소(菜蔬) :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

무수(無數) : 헤아릴 수 없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74 : 분노 레이저 그의 조준 발사


내 눈에서 이글거리는 분노 레이저가 그의 머리를 조준한다. 발사!

→ 내 눈은 이글거리며 그이 머리를 겨냥한다. 쏴!

→ 이글거리는 눈으로 그 사람 머리를 겨누고 쏜다!

《호두나무 작업실》(소윤경, 사계절, 2020) 25쪽


활활 타오르는 마음인 ‘부아’나 ‘성’은 ‘이글거리다’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글거리는 분노”는 겹말입니다. 이 글월을 보면 “내 눈에서 … 조준한다”인 얼거리예요. 여러모로 엉성합니다. “나는 눈으로 … 겨눈다”로 바로잡습니다. “이글거리는 눈으로 본다”로 손볼 수 있고, “이글거리며 노려본다”로 손볼 만합니다. 일본말씨인 “조준, 발사!”는 “겨냥. 쏴!”나 “겨누고 쏜다!”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분노(憤怒/忿怒) : 분개하여 몹시 성을 냄. 또는 그렇게 내는 성 ≒ 분에

조준(照準) : 1. 총이나 포 따위를 쏘거나 할 때 목표물을 향해 방향과 거리를 잡음 2. 둘 이상을 대조하여 보는 표준

발사(發射) : 활·총포·로켓이나 광선·음파 따위를 쏘는 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