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21 : 한복 한식 한옥 -의 의복 음식 가옥 것 사실
한복과 한식 그리고 한옥이 다 백제의 의복와 음식 그리고 가옥이라는 뿌리에서 나온 것은 사실이지만
→ 한옷과 한밥과 한집이 다 백제 옷과 밥과 집이라는 뿌리이지만
→ 한옷과 한밥과 한집이 모두 백제라는 뿌리에서 나왔지만
→ 한옷과 한밥과 한집은 백제에서 비롯했지만
《百濟 百濟人 百濟文化》(박종숙, 지문사, 1988) 124쪽
한겨레가 입고 먹고 자는 살림길이라면, ‘한글’이라는 이름처럼 ‘한옷·한밥·한집’처럼 엮을 만합니다. 입기에 옷이요, 먹기에 밥이며, 살기에 집입니다. 이러한 대목을 헤아리면서 삶뿌리를 돌아봅니다. 이러한 길을 살피면서 삶빛을 익힙니다. ㅍㄹㄴ
한복(韓服) :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 특히 조선 시대에 입던 형태의 옷을 이르며, 현재는 평상복보다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명절, 경사, 상례, 제례 따위에서 주로 입는다. 남자는 통이 허리까지 오는 저고리에 넓은 바지를 입고 아래쪽을 대님으로 묶으며, 여자는 짧은 저고리에 여러 가지 치마를 입는다. 발에는 남녀 모두 버선을 신는다. 출입을 할 때나 예복으로 두루마기를 덧입는다
한식(韓食) :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나 식사
한옥(韓屋) : 우리나라 고유의 형식으로 지은 집을 양식 건물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조선집·한식집
의복(衣服) : 몸을 싸서 가리거나 보호하기 위하여 피륙 따위로 만들어 입는 물건 = 옷
음식(飮食) : 1.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만든, 밥이나 국 따위의 물건 ≒ 식선(食膳)·찬선(饌膳) 2. = 음식물
가옥(家屋) : 사람이 사는 집
사실(事實) : 1.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에 있는 일 2.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일을 솔직하게 말할 때 쓰는 말 3. 자신의 말이 옳다고 강조할 때 쓰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