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햇 - 육아는 대충, 출판은 엉성, 1인 명랑 출판기
공은혜 지음 / 마음모자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16.

만화책시렁 642


《출판햇, 1인 명랑 출판기》

 공은혜

 마음모자

 2023.11.27.



  모든 아이는 스스로 바라보고 느끼고 생각하면서 하루를 그립니다. 때로는 둘레 어른이나 어버이가 시키는 대로 하지만, “안 따라하기를 빈다”는 몸짓을 일부러 따라하기도 하지만, “왜 그러지?” 하고 궁금하기에 해보고 또 해보면서 배워요. 어른이나 어버이는 “이미 해보았”기 때문에 아이한테 굳이 해보지 말라고 속삭이곤 합니다. 그러나 아이는 아직 안 해보았는걸요. 아이도 겪어 보기를 바랍니다. 아이도 겪으면서 배우기를 바라요. 맛난 밥도 먹어 보아야 알고, 몸에 안 받는 밥도 먹어 보고서야 알아요. 《출판햇, 1인 명랑 출판기》는 엄마이기보다는 ‘나’이기를 바라지만, ‘엄마’일 수밖에 없는 하루를 살면서, 곁에 있는 두 사람을 마주하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따로 ‘명랑’이란 이름을 붙이는데 오히려 ‘안 밝’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을 붙이면서 기운을 내려고 한다고 느낍니다. 안 되거나 자꾸 막히기에 새삼스레 웃으면서 나아가려고 한달까요. 글은 쓰면 되고, 그림은 그리면 되고, 책은 내면 됩니다. 이미 있는 펴냄터에 글과 그림을 보내어서 내놓을 수 있어도 즐겁고, 스스로 펴냄터를 차려서 내놓아도 즐거워요. 다만, 스스로 펴냄터를 차릴 적에는 더 돌아보고 더 살필 일입니다. ‘나 + 엄마 + 곁짝’일 뿐 아니라, 다른 누구한테는 ‘아이’요, 이 별에서는 ‘숨결’인 줄 느끼면 이야기가 퍽 달랐을 텐데 싶어요.


ㅅㄴㄹ


디자인 말고, 그림을 그리자. (51쪽)


“엉덩이 젖었을 텐데.” “엉덩이?” “그네 탈 거 아냐? 아까 비 왔으니깐 젖어 있을 텐데.” “아아∼. 아냐아냐. 안 젖어 있어.” (83쪽)


“엄마! 엄마! 엄마는 육아는 대충, 출판은 엉성하잖아? 나는 수업은 대충, 필기는 엉성이야.” (148쪽)


+


《출판햇》(공은혜, 마음모자, 2023)


북마켓에 나갔다. Feat. 마포책소동

→ 책마당에 나갔다. 곁꽃. 마포책너울

→ 책잔치에 나갔다. 동무. 마포책판

→ 책누리에 나갔다. 마포책시끌이랑

8쪽


꿈꾸던 그림책 작가가 되었으니 괜찮은 건가

→ 꿈꾸던 그림책 지기로 일하니 즐거운가

→ 꿈꾸던 그림책 지음이로 사니 기쁜가

13쪽


노래부르는 나의 딸

→ 노래부르는 딸

→ 노래부르는 울 딸

41쪽


모조지는 비코팅이라 발색이 좋지 않다

→ 매끈종이는 안 씌워 빛이 좋지 않다

→ 미끈종이는 안 덮어 결이 좋지 않다

43쪽


의도대로 인쇄 색이 나오는지 확인하는 것을 ‘감리 본다’라고 한다

→ 뜻대로 빛이 찍히는지 볼 적에 ‘살펴본다’고 한다

→ 바라는 대로 찍히는지 볼 적에 ‘지켜본다’고 한다

52쪽


아아∼. 아냐아냐. 안 젖어 있어

→ 아아!. 아냐아냐. 안 젖었어

83쪽


요즘 제 최애 책입니다

→ 요즘 제 꽃책입니다

→ 요즘 제 사랑책입니다

88쪽


한글 흘림체를 못 익혀서

→ 흘림한글을 못 익혀서

→ 한글 손글씨를 목 익혀서

95쪽


더미북도 만들었으니 투고해야지

→ 보는책도 꾸렸으니 보내야지

→ 미리꽃도 지었으니 보여야지

→ 맛보기도 냈으니 띄워야지

110쪽


나는 수업은 대충, 필기는 엉성이야

→ 나는 배움은 날림, 글씨는 엉성이야

→ 나는 눙쳐 배우고, 엉성한 글씨야

14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50 : -에서의 생활 통해 것 그것 행위 관념 구체적 것들 물질성 육체성 가진 것들 이루어졌다 사실



이곳에서의 생활을 통해 내가 배운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산다는 행위가 관념이 아니라 좀더 구체적인 것들, 물질성이랄지 육체성을 가진 것들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 이곳에서 살며 우리 하루란 몸을 써서 하나씩 해야 한다고 배웠다

→ 이곳에서 사는 동안 늘 온몸으로 다 해야 하는 줄 배웠다

《아주 오랜만에 행복하다는 느낌》(백수린, 창비, 2022) 13쪽



보기글을 쓴 분은 ‘살며’ 무언가 배웠다고 하는데, “흐릿하거나 붕 뜨는구나 싶은 마음”이 아닌 “몸으로 움직이는 일”을 해야 하는 줄 배웠다지요. 그러나 정작 글은 몸을 쓰는 글이 아닌, 머리로 꾸민 겉치레입니다. 골목에 쌓인 눈을 비질을 하고 나서 이 보기글을 썼다는군요. 이곳에서 사는 동안 어떤 하루였는지 뼛속 깊이 다시 살피기를 바라요. 늘 무엇을 하는지 돌아보고서 꾸밈없이 쓰면 됩니다. 하루를 어떻게 몸을 쓰면서 누리는지 헤아리고서 그대로 쓰면 되어요. ㅅㄴㄹ



생활(生活) : 1. 사람이나 동물이 일정한 환경에서 활동하며 살아감 2. 생계나 살림을 꾸려 나감 3. 조직체에서 그 구성원으로 활동함 4. 어떤 행위를 하며 살아감. 또는 그런 상태

통하다(通-) : 13. 일정한 공간이나 기간에 걸치다 14. 어떤 과정이나 경험을 거치다 15. 어떤 관계를 맺다

행위(行爲) : 1. 사람이 의지를 가지고 하는 짓

관념(觀念) : 1. 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2. 현실에 의하지 않는 추상적이고 공상적인 생각

구체적(具體的) : 1. 사물이 직접 경험하거나 지각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태와 성질을 갖추고 있는 2. 실제적이고 세밀한 부분까지 담고 있는

물질(物質) : 1. 물체의 본바탕 2. ‘재물’을 달리 이르는 말 3. [물리] 자연계의 구성 요소의 하나 4. [철학] 감각의 원천이 되는 것

육체(肉體) : 구체적인 물체로서 사람의 몸 ≒ 육·육신

-성(性) : ‘성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52 : 존재 것 이유



존재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 있는 까닭이 있다

→ 살아가는 뜻이 있다

《유기농을 누가 망치는가》(백승우와 네 사람, 시금치, 2013) 165쪽



여기에 있는 까닭이 있어요. 누구나 살아가는 뜻이 있습니다. 살아숨쉬는 빛을 봐요. 흐르고 만나고 어울리는 곳을 돌아봅니다. 목숨이 있는 까닭을 읽고, 숨결이 감도는 뜻을 헤아립니다. ㅅㄴㄹ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이유(理由) : 1. 어떠한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까닭이나 근거 2. 구실이나 변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53 : 원래 농업 광합성 작용 가능



원래 농업은 광합성 작용만으로도 가능했다

→ 워낙 논밭은 햇볕만으로도 지었다

→ 모름지기 해바라기로 짓는 논밭이다

《유기농을 누가 망치는가》(백승우와 네 사람, 시금치, 2013) 185쪽



요사이는 해도 바람도 비도 없이 푸성귀나 열매를 기르기 일쑤입니다만, 모름지기 해바라기에 바람맞이에 빗물로 자라는 푸성귀에 열매입니다. 논밭도 워낙 햇볕을 쬐면서 낟알에 남새를 길러요. 해님으로 지은 흙살림을 돌아보기를 바라요. 해와 별과 숲을 품은 말을 돌아보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원래(元來/原來) : = 본디

농업(農業) :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식물을 가꾸거나, 유용한 동물을 기르거나 하는 산업. 또는 그런 직업. 특히 농경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넓은 뜻으로는 낙농업과 임업 따위도 포함한다 ≒ 경업·농산업·전업

합성(光合成) : 1. [화학] 광화학 반응에 의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작용 2. [식물] 녹색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와 수분으로 유기물을 합성하는 과정. 명반응과 암반응으로 구분된다

작용(作用) : 1. 어떠한 현상을 일으키거나 영향을 미침 2. [물리] 어떠한 물리적 원인이나 대상이 다른 대상이나 원인에 기여함

가능(可能) : 할 수 있거나 될 수 있음”을 가리킨다고 해요. 말뜻대로 “할 수 있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54 : 로드킬 인간 존재 -게 하다



로드킬은 인간이라는 존재를 뒤돌아보게 한다

→ 길죽음 탓에 사람을 뒤돌아본다

→ 치여죽는 짐승이 있어 사람을 뒤돌아본다

→ 길눈물과 얽힌 사람살이를 뒤돌아본다

《도로 위의 야생동물》(최태영, 국립생태원, 2016) 7쪽



사람도 짐승도 새도 길죽음으로 스러집니다. 부릉부릉 내달리는 길이 너무 넓게 뻗었습니다. 우리는 사람이 무엇인지 돌아볼 일이에요. 사람 혼자 살려고 한다면 오히려 사람부터 망가지거나 무너지게 마련이에요. 들숲바다가 푸르고, 뭇숨결이 어우러질 적에, 비로소 사람도 아름답게 사랑길을 펼 테지요. 길눈물이 아닌, 길꽃과 길나눔을 열 수 있기를 바라요. 스스로 뒤돌아봐요. ㅅㄴㄹ



roadkill : 1. (도로에서) 자동차에 치여 죽은 동물 2. (도로에서) 자동차로 동물을 치어 죽임

인간(人間) : 1. 언어를 가지고 사고할 줄 알고 사회를 이루며 사는 지구 상의 고등 동물 2. 사람이 사는 세상 3. 사람의 됨됨이 4. 마음에 달갑지 않거나 마땅치 않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존재(存在) : 1. 현실에 실제로 있음 2. 다른 사람의 주목을 끌 만한 두드러진 품위나 처지 3. [철학]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外界)에 객관적으로 실재함 ≒ 자인 4. [철학] 형이상학적 의미로, 현상 변화의 기반이 되는 근원적인 실재 5. [철학]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객관적인 물질의 세계. 실재보다 추상적이고 넓은 개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