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듣는 스승 2024.5.13.달.



흔히들 “이 삶이 가장 대수롭다·크다·뜻있다” 하고 말하더구나. 그래, 무엇을 하든 ‘삶’이 대수롭거나 크거나 뜻있어. 그런데 ‘삶 = 살다 = 사람으로서 하다’야. 네가 날마다 ‘하는’ 무엇이건 어느 하나 안 대수롭거나 안 크거나 안 뜻있을 수 없어. 똥을 누거나 자더라도 대수로워. 말을 하거나 말을 들어도 커. 멍하니 있거나 잘못을 저질러도 뜻있어. “삶이란 네가 하며 보내어 흐르는 모든 하루”이기에, 이 짓을 하면 삶을 모르거나 저 짓을 하니 삶하고 동떨어지지 않아. 너는 갓난아기가 왜 바로 일어서지 않느냐고 나무랄 셈이니? 너는 아이가 왜 한달음에 수저질을 못한다고 타박할 셈이니? 너는 어린이가 왜 어른처럼 짐도 잘 나르고 돈도 벌 만한 나날을 안 보낸다고 꾸중하겠니? 다만, 15살이나 25살이나 45살이나 65살인데, 철들지 않은 채 또 허둥대거나 헤맨다고 나무라고 싶을 수 있어. 그러나 “네가 나무라는 사람”은 늘 너한테 스승이고 거울이야. 너는 왜 ‘거울’을 보면서 네가 못생겼다고 여기면서 거울을 나무랄 뿐 아니라, 거울을 깨니? 너한테서 꾸중이며 꾸지람이며 나무람을 듣는 사람은, 그이가 아이나 어른 누구라 하더라도 네 길잡이요 스승이야. 너는 늘 ‘스승’과 ‘길잡이’를 나무라는 셈이란다. 살다 보면 말이야, 스승이나 길잡이를 나무라거나 다그칠 때가 있고, 자꾸자꾸 꾸짖을 수 있어. 그러니까 네가 누구를 나무라려고 하는 마음이 불쑥 솟을 적마다 생각하렴. 네 거울이요 스승이라서, 네 나무람말을 고스란히 듣는 거울과 스승한테 어떤 ‘말씨앗’을 심을 셈인지 곰곰이 생각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숨쉬는 2024.5.12.해.



숨쉬는 나비를 늘 보는 사람이랑, 나비 그림·사진·영상을 보는 사람은 다를 테지. 숨쉬는 사람을 늘 이웃에서 볼 적하고, 그림·사진·영상으로 다른 사람을 지켜보거나 구경할 적이 다르지. 늘 나무 곁에 있지 않다면, “숨쉬는 나무”인 줄 느끼지 않아. 모기랑 파리를 얼른 때려잡거나 죽음물을 뿌릴 적에도 ‘모기·파리’가 “숨쉬는 이웃”인 줄 하나도 안 느낀단다. 네 피를 쪽쪽 빠는 모기조차 “숨쉬는 이웃”이야. 보렴! 이 별은 네가 밥을 먹겠다면서 땅에 삽질·호미질을 해대더라도 가만히 본단다. 네가 땅에 똥오줌을 누건 쓰레기를 묻건 그저 지켜보지. “숨쉬는 사람”을 느끼면서, 이 사람들이 무엇을 보고 배우고 느껴서 살아가는가 하고 돌아본단다. 사람을 바라보면서 사람한테서 배우고, 풀벌레를 바라보면서 풀벌레한테서 배우고, 새를 바라보면서 새한테서 배우는 별이야. 너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배우는지 돌아보렴. 너는 누구를 보고 누구한테서 배우는지 되새기렴. 너는 늘 어떤 숨결로 살면서 “숨쉬는 이웃”을 얼마나 어떻게 마주하고 맞아들이는지 헤아리렴. 너한테 길잡이가 아닌 숨결이란 없어. 들풀도 헤엄이도 먼지도 모래도 이슬도 길잡이야. 너한테 이웃이 아닌 숨결이란 없지. 개미도 거미도 비도 별도 이웃이야. 늑대도 쥐도 이웃이고, 뱀도 덩굴도 길잡이란다. 너는 ‘너를(나를)’ 바라볼 노릇이야. ‘너만(나만)’ 쳐다보는 눈이나 길이 아닌 ‘너를(나를)’ 바라보면서 받아들일 적에 빛난단다. 빛나지 않는 까닭을 알겠니? ‘너만(나만)’ 보는데 사슬에 갇히는걸.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든 것이 없어 2024.5.9.나무.



바람에 날리는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 씨앗이라면 뿌리를 내려서 무럭무럭 자라날 새터로 가겠지. “든 것이 없는” 쓰레기는 이리 휩쓸리고 저리 휘날리면서 뒹굴기만 해. ‘씨앗’은 “알이 찬 작은 숨결”이야. ‘쓰레기’는 “알이 없이 빈 껍데기”야. 네가 ‘말씨앗’을 심을 줄 알면, 네 말씨로 스스로 빛나. 네가 ‘말씨앗’이 아닌, ‘쓰레말’을 자꾸 혀에 얹으면, 너는 네 말씨에 따라서 스스로 갉다가 사라져. ‘든 것’이란, “들인 것”일 텐데, 씨앗을 심어서 가꾸고 거든 알을 들이면 ‘알맹이’이지만, 아무것이나 그저 들여놓으면 “바람든 빈것”이야. 몸을 살리려면 ‘들숨’과 ‘날숨’이 있어야 할 테지. 살림숨을 들이고서, 네 몸빛을 담아서 내놓으니, 풀꽃나무하고 흙이 반겨. 풀꽃나무하고 흙은 너희 날숨을 들숨으로 삼고서, 기쁘게 ‘풀꽃나무·흙빛’을 날숨으로 내놓는단다. 같이 있으면서 같이 알알이 영글어서 알맹이가 그득그득 드는 결이야. 빈 껍데기라서 아무렇게나 날리는 쓰레기는 아무것도 살리지 않는 채 헤매고 떠돌다가, 쓰레기 스스로 낡삭으면서 둘레를 더럽혀. 그런데 해바람비와 바다와 흙과 풀벌레는 이런 쓰레기조차 천천히 두고두고 받아들여서 녹이고 풀어낸단다. 곰곰이 본다면, 사람도 무엇이든 녹이고 풀어내. 사람은 살림을 짓는 사랑으로 모든 앙금·미움·싫음·짜증·부아·시샘·아픔·수렁·싸움을 사르르 녹이고 풀어서, 다시 처음부터 새롭게 첫발을 내딛는 삶으로 나아가라고 할 수 있어. “살림을 짓는 사랑”을 마음에 말씨앗 한 톨로 심는단다. 너는 늘 맨 먼저 네 마음에 ‘꿈그림’이라는 밭을 일굴 말씨앗 한 톨부터 심고서, 이 말씨앗이 자라는 하루를 둘레에 이야기해 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덫 2024.5.8.물.



‘길든 사람’한테 왜 길들었느냐 따진들 부질없어. ‘물든 사람’한테 왜 물들었느냐 나무란들 덧없어. ‘잘못하는 사람’한테 왜 잘못하느냐 다그친들 쓸데없어. 그러면 무엇을 해야 할까? ‘길든 사람’한테는 ‘길’을 알려주면 돼. ‘물든 사람’한테는 ‘빛’을 얘기하면 돼. ‘잘못하는 사람’한테는 ‘일’을 맡기면 돼. 길을 모르기에 길든 채 쳇바퀴야. 물든 줄 모르거나 잊었으니, 어떻게 빛나야 하는가 못 찾아. 일을 하거나 짓는 마음을 안 세웠으니 늘 뒤죽박죽이면서 오락가락하지. 누구나 언제나 움직이는 삶이야. 움직이니까 어디로든 가면서 닿는데, 길을 안 그리고서 집밖으로 나서니까 아무 데나 닿겠지. 길을 안 그릴 적에는 집에서도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몰라. 누가 빠지기를 바라며 덫을 놓는다고 하는데, 누가 덫에 빠지겠니? 길을 그리는 사람은 “덫이 있는 줄 몰라”도 안 빠져. 길을 안 그리는 사람은 “덫이 있는 줄 알아”도 빠져. 빛을 품으면서 밝히는 사람은 “덫이 있는 줄 몰라”도 덫을 녹여서 없애지. 빛을 잊다가 잃고서 물든 사람은 “덫이 있는 줄 알아”서, 덫을 더 늘려서 남들도 빠지기를 바라지. 일을 하거나 짓는 사람은 “덫이 있거나 말거나” 아랑곳하지 않아. 일을 안 하면서 잘못을 일삼는 사람은 “덫을 탓하면서 사로잡힌 채 고여서 썩어가”지. ‘길·빛·일’을 찾아나서면서 하루를 돌보기에 사람이야. “길들고 물들고 잘못하는” 고리에 스스로 묶여서 꼼짝을 안 하니 죽음이야. 목숨만 붙을 적에는 삶하고 멀어. 길을 찾고 빛을 틔우고 일을 지어야 삶이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평소 2024.5.7.불.



누구나 뭐 새롭구나 싶은 이야기를 먼곳에서 찾고 싶어한다고 여기는데, 집에서 즐겁게 지내지 못 하는 마음이라서 ‘밖’으로 눈을 돌리면서 “더 멀고 크고 붐비는” 곳에 가 보려고 한단다. 밖에서 이야기를 찾으려는 사람들은 으레 “밖에서도 마음에 차는 이야기를 못 느끼고 못 찾”아. 자꾸자꾸 떠돌고 맴돌지. 그야말로 아주 멀리까지 와서도 헤매다가 지친 나머지 집으로 돌아오는데, 허름하고 작고 수수해 보이는 자리에서 뒤늦게 ‘이야기’를 깨닫고 ‘새빛’을 알아본단다. 다만, 밖이나 길에서 떠돌다가 죽는 사람은 ‘이야기’와 ‘새빛’을 못 보고 못 찾은 채 죽고 말기에, 이다음에 이 쳇바퀴를 되풀이한단다. 집으로 돌아왔는데 ‘집이야기’‘집살림·집빛’을 못 느끼고 못 알아볼 적에도 슬픈 굴레에 갇혀서 늙어죽어. 모름지기 이야기도 새빛도 사랑도 살림도 꿈도 바로 네가 태어난 자리에서 아주 눈부시단다. 또한 네가 옮겨가서 ‘다시 연’ 집도 아주 눈부셔. 너는 “태어나서 자란 곳”이건 “떠나서 자리잡은 곳”이건 스스로 마음을 붙일 적에 반짝거려. “어느 엄청난 곳”이란 따로 없어. 네가 ‘마음씨’를 가꾸는 곳이 네가 살아갈 집이고 이야기이고 빛이란다. ‘마음’은 누구나 몸을 입고서 태어날 적에 생기는데, ‘마음씨’로 가꾸겠는지 ‘마음밭’으로 일구겠는지 ‘마음밥’으로 삼겠는지 ‘마음꽃’을 피우겠는지, 네가 스스로 고른단다. 늘(평소) 너한테서 솟아나는 말이고 마음이고 이야기에 빛인걸. 네가 스스로 바라보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서면 돼. 날마다 새로 사랑하고, 어느 곳에서나 다시 사랑하고, 아침저녁으로 즐겁게 사랑하면 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