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으로 들어오는 책

 


  헌책방으로 온갖 책이 들어온다. 헌책방을 찾아오는 온갖 사람들이 이 온갖 책을 살펴보다가는 온갖 책을 저마다 즐겁게 장만한다. 누군가 즐겁게 읽은 책을 즐겁게 헌책방에 내놓아 주머니 가벼운 이가 즐겁게 장만하도록 할 때가 있고, 출판사나 작가가 신문·잡지·방송사 기자한테 보낸 책을 이들 매체에서 다 껴안을 수 없어 폐휴지로 내놓았다가 고물상을 거쳐 헌책방 일꾼이 거두어들일 때가 있다. 정치꾼이나 지자체 우두머리나 대학 교수한테 보낸 책을 비서가 틈틈이 폐휴지로 모아서 내놓을 적에 고물상을 거쳐 헌책방 일꾼이 거두어들이기도 한다.


  이름난 작가가 이름난 누군가한테 선물한 책이 헌책방으로 들어오는 일은 흔하다. 책을 버렸기 때문일까? 어떤 사람은 ‘책을 버렸’기에 헌책방에 이 책이 있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돌고 도는 책’이 되도록 내놓아서 ‘책을 나눈다’고 해야 옳은 말이리라 느낀다. ‘책을 버린다’고 할 적에는 책을 북북 찢어서 아무도 못 보게 불쑤시개로 했다는 뜻쯤 되어야지 싶다. 헌책방에 책이 들어갈 때에는 ‘다시 읽히도록’ 하는 일이다.


  어떤 사람은 ‘선물받은 책’을 헌책방에 내놓을 적에 이녁 이름 적힌 자리를 찢거나 칼로 오리곤 한다. 그런데, 이렇게 찢거나 칼로 오린 종이는 어떻게 될까. 잘 건사할까. 이 또한 찢어서 버릴까. 돌고 도는 책이기에, 어느 책을 건사하는 사람이 숨을 거두면, 이 책은 으레 돌고 돌면서 헌책방으로도 들어오기 마련이다. 굳이 이름 적힌 자리를 찢거나 오리지 않아도 된다. 누가 누구한테 선물한 자국도 ‘책이 살아온 발자국’이다. 헌책방 나들이를 즐기는 이들은 이런 발자국을 보는 즐거움을 곧잘 누리곤 한다.


  나는 헌책방을 다니면서 그야말로 온갖 사람들 온갖 ‘이름 적기’를 보았다. 번거로운 듯이 흘려서 쓴 사람이 있고, 도장까지 찍으며 정갈하게 쓴 사람이 있다. 소설쓰는 박완서 님이 내놓은 책을 헌책방에서 만나기도 했는데, 박완서 님이 ‘나쁜 뜻으로 책을 버렸다’고 느끼지 않았다. 이녁이 집에 건사할 수 없는 책을 틈틈이 내놓아 헌책방에서 새로운 사람들한테 새롭게 읽히도록 했다고 느꼈다. 이오덕 님이 선물한 책도 헌책방에서 만났는데, 이오덕 님 제자라는 분이 ‘책을 안 읽고 버렸다’고 느끼지 않았다. 즐겁게 읽은 뒤 ‘누군지 모르지만 이 책을 아낄 젊은 넋’한테 즐겁게 물려주려는 뜻이리라 느꼈다. 요즈음은 손택수 님이 다른 시인한테서 받은 시집을 헌책방에서 퍽 자주 만나는데, 좋은 시집을 가난한 문학청년이 적은 돈으로 장만해서 읽을 수 있도록 고맙게 내놓았으리라 느낀다.


  얼마나 재미있을까. 누군가 누구한테 선물한 책이 헌책방에 들어와서, 이 책을 살살 어루만질 적에 얼마나 재미있을까. 돌고 도는 삶에 돌고 도는 책, 돌고 도는 이야기에 돌고 도는 사랑, 이 얼마나 재미있을까.


  요 며칠 사이, 김용옥 님이 홍준표 경남도지사한테 선물한 책이 헌책방에 나왔다고, 이 책을 헌책방에서 샀다는 사람이 트위터에 사진을 올렸다고 하는데, 그럴 만하지 않을까? 더 넓게 읽힐 수 있는 뜻인데, 왜 이런 일을 놓고 비아냥거리거나 손가락질하는 말이 나와야 할까? 언론사에서 보도자료를 폐휴지로 내버릴 적에 고물상 거쳐서 헌책방으로 들어오는 책이 무척 많다. 정치꾼이나 지자체 우두머리가 선물받은 뒤 비서가 알뜰히 내버려 주어 헌책방이 즐겁게 받아안는 책이 꽤 많다. 다만, 이런 책 모두 새로운 손길을 받을 만한지 어떤지는 모르지만, 누군가 즐겁게 마주하며 즐겁게 읽을 사람이 있다. 스스로 즐겁게 읽으려는 책이 아니라면 다시 내려놓고 조용히 지나가면 좋으리라. 서로 예쁜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 예쁜 생각 주고받을 수 있기를 빈다.


  헌책방이 없으면, 애꿎은 책들 모두 종이쓰레기 되지 않았겠는가. 헌책방이 없다면, 누가 누구한테 선물한 책이 오래도록 돌고 돌며 새로운 이야기 길어올릴 일조차 없이 몽땅 사라지지 않았겠는가. 4346.12.12.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골학교 책읽기

 


  시골 읍내와 면소재지 중·고등학교에 기숙사 짓는다. 읍과 면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지내는 아이들은 가까운 학교가 차츰 문을 닫으면서 면소재지까지 가거나 읍내까지 가야 한다. 학교 기숙사에 들어 아침 낮 저녁 똑같은 교실에서 똑같은 형광등 불빛 받으면서 시험공부만 한다. 군청에서는 목돈을 들여 서울 강아랫마을 입시 강사를 불러 주말마다 시험성적 잘 나오는 아이를 위부터 줄을 세워 듣도록 한다. 시골 학교마다 체육관하고 강당이 들어서고 학교급식을 한다. 그렇지만 시골 학교 아이들 먹을 푸성귀나 곡식을 학교 운동장 한쪽에서 손수 일구어 거두지는 않는다. 학교 건물 둘레에는 주차장만 늘어난다. 시골학교 아이는 어떤 쌀을 먹을까. 유기농 쌀을 먹을까, 아니면 농약 많이 뿌리는 여느 쌀을 먹을까, 아니면 친환경농약 뿌리는 쌀을 먹을까. 시골학교 마치는 아이들은 모두 시골을 떠나 도시에 있는 대학교나 공장이나 회사에 들어가도록 교사와 어버이가 등을 민다. 시골에서 나고 자란 아이가 시골에 깃들어 예쁜 시골사람 되도록 이끄는 교육제도나 교육과정이란 없고, 교과서나 교육이론도 없다. 태어나고 자란 곳이 시골일 뿐, 시골 중·고등학교 다니는 동안 모내기를 하거나 가을걷이를 하거나 낫질을 하거나 호미질을 하는 일조차 드물다. 도시로 가서 대학생이 되거나 노동자가 되거나 회사원·공무원 될 아이들한테 시골일 시키거나 맡기는 어버이나 교사는 안 보인다. 이러는 동안 시골마을에 아이들 숫자 줄고, 시골마을에 뿌리를 내려 살아가려는 젊은이 사라진다. 도시를 떠나 흙내음 찾아 시골로 오는 사람이 아니고서는 시골에 머릿수 늘어날 일이 없다. 가난하다는 동남아시아 나라에서 시집온 사람들이 아이를 낳더라도, 이 아이는 도시로 보낼 아이가 되지, 시골에 남을 아이가 되지 않는다.


  시골학교를 보면 시골이 보인다. 시골학교를 보면 나라가 보인다. 시골학교를 보면 지구별이 보인다. 시골학교를 보면, 아무런 빛이 없는 새까만 무덤이 보인다. 4346.12.11.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삶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윽하다'와 '아늑하다'가 서로 비슷한 얼거리 되고,

'고요하다'와 '조용하다'가 서로 어깨동무하는 얼개 됩니다.

그렇지만, 네 낱말은 한 가지 느낌을 밑바탕으로

쓰임새와 느낌과 뜻이 조금씩 달라요. 

 

..

 

그윽하다·아늑하다·고요하다·조용하다
→ ‘그윽하다’와 ‘아늑하다’는 모두 시끄러운 소리가 없을 때를 가리키는데, ‘그윽하다’는 “깊은 곳에서 소리가 없이 따스하다”는 느낌을 나타내고, ‘아늑하다’는 “포근하면서 보드랍다”는 느낌을 나타냅니다. ‘고요하다’는 “움직임과 소리가 아주 없이 차분하다”는 느낌을 나타내고, ‘조용하다’는 “움직임과 소리가 없이 차분하다”는 느낌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고요하다’는 소리뿐 아니라 움직임조차 아주 없는 느낌이고, ‘조용하다’는 시끄럽거나 어지럽게 하는 소리나 움직임이 없는 느낌입니다.


그윽하다
1. 깊숙해서 느긋하고, 시끄러운 소리가 없다
 - 숲속에서 그윽한 밤을 맞이한다
2. 뜻이나 생각이 깊다
 - 어머니는 그윽한 마음씨로 우리를 보살핀다
3. 느낌이 들뜨지 않으면서 따스하다
 -  할아버지가 그윽한 눈길로 바라본다


아늑하다
1. 포근하게 안기듯 좋으면서, 어지러운 소리가 없다
 - 마을 뒤쪽을 숲과 골짜기고 감싸서 아늑하다
 - 햇볕 잘 드는 아늑한 방에서 소꿉놀이를 한다
2. 포근하면서 보드랍다
 - 겨울이 지나니 이제 아늑한 봄날이로구나
 - 아기를 아늑하게 안는 손길


고요하다
1. 소리와 움직임이 함께 없다
 - 별빛 고우면서 고요한 시골에서 지내는 동무
2. 움직임이나 흔들림이 없다
 - 비바람이 멎은 바다는 아주 고요하다
3. 말이 없이 따뜻한 모습이나 느낌이다
 - 우리는 서로 고요하게 웃음을 주고받는다


조용하다
1. 소리가 없이 가만히 있다
 - 오늘은 안 떠들고 조용하네
 - 아직 조용한 아침이다
2. 말이나 몸짓이나 마음씨가 어지럽거나 들뜨지 않다
 - 조용히 책을 읽는 아이가 있다
 - 걸음걸이가 참 조용하다
3. 바쁘거나 어지럽게 하는 것이 없다
 - 조용하게 살아가는 큰아버지
 - 시골에서 조용히 흙을 일구는 할머니
4. 큰일이나 골칫거리나 말썽이 없다
 - 개구쟁이가 있어 조용한 날이 없다
 - 아기한테 젖을 물리니 조용하다
5. 들뜨거나 움직이던 마음이 가라앉거나 멈추다
 - 이제는 조용히 이야기를 들어 보렴
 - 한창 울고 나니 조용하다
6. 다른 사람한테 알리지 않다
 - 조용히 교실을 빠져나갔다
 - 어머니 생일잔치를 우리끼리 조용히 마련해서 놀래켰다

 

(최종규 . 2013 - 새로 쓰는 우리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찬바람 맞자 (도서관일기 2013.12.10.)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겨울눈 아닌 겨울비 내리는 고흥집에서 아이들이 춥다고 집안에서만 꽁꽁거리며 논다. ‘벼리야, 보라야, 우리 고흥은 한국에서 아주 따스한 곳이야. 한겨울에 0도 밑으로 거의 안 떨어지는 날씨잖아. 다른 데에서 눈이 와도 이곳은 싸라기 한 번 휘 불다가 그치곤 하잖아. 바다와 가깝기에 바닷바람은 제법 세지만, 시골아이답게 시골바람 신나게 쐬며 놀아야지.’ 하고 이야기한다. 자, 겉옷 단단히 입고 바깥바람 쐬러 나가자, 하고는 서재도서관으로 간다. 도서관 가는 길에 아이들은 마을빨래터 언저리에서 논다. 마을빨래터를 며칠 사이에 누군가 치웠다. 우리가 치우려고 애를 쓰지만, 때를 놓치면 마을 다른 할매가 치우시곤 한다.


  겨울바람 차다 하는 아이들더러 아직 한겨울조차 아니고, 이런 바람은 시원하다 시원하다 말해야 시원하다고 이야기를 한다. 옷깃을 여미어 주고 모자를 씌워 준다. 씩씩하게 천천히 걷는다. 도서관 들어가는 길목은 풀밭길. 즐겁고 고맙게 풀과 흙을 밟는다. 찬비 내려 풀잎이 조금 미끄럽지만 아이들은 잘 걷는다. 도서관 문을 딴다. 집에서 다 읽은 책을 도서관으로 옮겨 내려놓는다. 두 아이는 도서관에 들어와 골마루를 달리면서 몸을 달군다.


  며칠 앞서 서울로 볼일 보러 다녀오는 길에 노순택 님 사진책 《망각기계》(청어람미디어,2012)와 박노해 님 《나 거기에 그들처럼》(느린걸음,2010)을 비롯해 사진책을 한 짐 장만했다. 오늘은 이 두 권을 도서관으로 옮기면서 문득 생각이 나서 박용수 님 사진책 《민중의 길》(분도출판사,1989)을 오랜만에 꺼내어 넘긴다. 한동안 이 사진책을 들추지 않은 탓인지 종이가 잘 안 떨어진다. 도서관에 둔 모든 책들을 한 해에 한두 차례쯤 모두 주루룩 훑어야겠다고 느낀다. 몇 해쯤 넘기지 않고 두기만 한 책은 종이가 달라붙기도 하는구나. 곧 《민중의 길》을 이야기하는 느낌글 하나 써야겠다고 생각한다.


  미국에서는 1946년에 처음 나왔고, 한국에서는 1982년에 처음 옮겨 나온 《나는 곰이란 말이에요》라는 그림책도 찾아본다. 이 그림책도 문득 떠올랐다. 새로운 판으로 두 군데 출판사에서 다시 나오기도 했는데, 오래된 이야기이지만 참 꾸준히 찬찬히 사랑받는다. 요즈음 경상도 밀양에서 벌어지는 일을 떠올리면, 꼭 이 작은 그림책 《나는 곰이란 말이에요》가 눈에 겹친다.


  그림책 《나는 곰이란 말이에요》는 겨울잠을 자고 일어난 곰이 깜짝 놀라는 이야기를 보여주는데, 곰이 살던 숲을 사람들이 어마어마하게 큰 공장으로 바꾸어 놓았다. 사람들은 곰한테 아무 말도 없이 숲을 밀어 없앴다. 아마, 사람들은 ‘숲 소유권’은 ‘사람한테 있다’고 여겼을 테지. 어느 누가 곰한테 ‘숲이 네 보금자리이니?’ 하고 묻겠는가. 범한테도 이리한테도 늑대한테도 토끼한테도, 아무도 ‘네 살 곳을 빼앗아 미안하구나.’ 하고 묻지 않는다. 고속도로를 내거나 발전소를 지을 적에 숲한테 묻는 일이 없다. 전쟁무기 만들어 탱크로 시골마을 가로지르고 폭탄과 총알을 숲에 쏘며 수류탄을 깊은 골짜기에 던지면서 어떤 숲짐승이 죽거나 풀하고 나무가 다치는가를 헤아리지 않는다.


  숲이 없으면 숨이 막혀 죽을 사람들이, 논밭이 없으면 굶어서 죽을 사람들이, 냇물이 더러워지면 목이 말라 죽을 사람들이, 정작 숲이나 들이나 흙이나 풀한테 아무것도 묻지 않는다. 가만히 따지면, 사람들은 이웃에 있는 사람한테도 묻지 않는다. 도시에서 재개발을 하거나 자동차로 시끄럽게 내달릴 적에 묻지 않는다. 도시 골목길과 시골 고샅길에서도 자동차는 빵빵거릴 뿐,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이런 땅 한국에 어떤 문화가 자랄 수 있을까. 이런 나라 한국에서 어떤 책이 제대로 읽힐 수 있을까.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0.5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112) -의 : 풀잎의 꽃

 

풀잎의 꽃이 가고 나무의 꽃도 가고 나면 세상엔 푸르름이 짙어져 간다
《유소림-퇴곡리 반딧불이》(녹색평론사,2008) 136쪽

 

  ‘푸르름’은 잘못 쓰는 말입니다. 옳게 적자면 ‘푸름’이에요. ‘푸르다’를 이름씨 꼴로 적으면 ‘푸르 + ㅁ’이니 ‘푸름’이거든요. ‘세상(世上)’은 그대로 둘 만한데, 한결 살가이 쓰고 싶으면 ‘온누리’나 ‘이 땅’으로 손볼 수 있어요.

 

 풀잎의 꽃이 가고 → 풀꽃이 가고
 나무의 꽃도 가고 → 나무꽃이 가고

 

  “풀잎의 꽃”이라는 글월이 얄궂습니다. 그러면 “나뭇잎의 꽃”이 될 텐데, 글 뒤쪽에서는 “나무의 꽃”이라고만 적습니다. 풀이 맺는 꽃은 ‘풀꽃’입니다. 나무가 맺는 꽃은 ‘나무꽃’입니다. 있는 그대로 적을 노릇입니다. 봄에는 ‘봄꽃’일 뿐, “봄의 꽃”이 아닙니다. 숲에는 ‘숲꽃’이 필 뿐, “숲의 꽃”이 피지 않습니다. 4346.12.11.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풀꽃이 가고 나무꽃도 가고 나면 온누리엔 풀빛이 짙다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