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핸드메이드 2
소영 지음 / 비아북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5.21.

까칠읽기 7


《오늘도 핸드메이드! 2》

 소영

 비아북

 2017.11.1.



《오늘도 핸드메이드! 2》(소영, 비아북, 2017)을 되읽었다. 손으로 짓는 살림길을 보여주는구나 싶어서 아이들하고 함께 읽으려고 했다가 그만두었는데, 다시 읽어 보아도 여러모로 아쉽다. 요새는 나이가 어리건 젊건 많건 우리말을 쓸 줄 모르거나 생각조차 없기 일쑤이지만, 뭔가 ‘손짓기’를 하는 사람은 유난히 ‘아트’로 여기면서 ‘핸드메이드’라는 허울을 붙든다. ‘손’으로 ‘지으’면서 ‘핸드’로 ‘메이드’한다고 쓰는 두동진 말씨를 너무나 못 느낀다. 손살림에는 손길이 닿아서 솜씨가 퍼지고 손빛이 반짝인다. 우리가 쓰는 수수한 낱말에도 말씨가 깃들어 말빛이 반짝이게 마련이다. 아무렇게나 손을 대면 망가지듯, 아무 낱말이나 닥치는 대로 쓸 적에는 말도 마음도 어긋난다. 마음하고 마음이 만나기를 바라는 손길이라면, 마음하고 마음을 잇는 말씨를 눈여겨볼 수 있기를 빈다.


ㅅㄴㄹ


+


동이가 옆에 있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생활이 됐는데

→ 동이가 옆에 있는 삶은 아주 마땅한데

→ 동이는 늘 옆에 있는데

7


개와 사람의 시간이 다름을 요즘 참 자주 느끼고 있습니다

→ 개와 사람이 다르게 살아가는 줄 요즘 참 자주 느낍니다

→ 개와 사람이 다른 줄 요즘 참 자주 느낍니다

7


내 동생의 노년이 조금 더 다채롭길 바라는 마음으로

→ 동생이 늘그막에 조금 더 넉넉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9


시작과 끝이 자연스럽게 만나야 되니

→ 처음과 끝이 부드럽게 만나야 하니

20


보다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한 입체 자수를 놓으려고 합니다

→ 더 또렷하게 담아낼 볼록 바늘땀을 놓으려고 합니다

45


‘헤데보’라고 불리는 이 자수법은 덴마크어로 ‘들판’이라는 뜻입니다

→ 이 바늘땀은 덴마크말로 ‘헤데보’이고 우리말로는 ‘들판’입니다

→ 이 ‘들판’ 무늬넣기를 덴마크에서 ‘헤데보’라 합니다

57


식탁 위에 헤데보 매트를 깔고 따뜻한 수프를 만듭니다

→ 밥자리에 들판깔개를 놓고서 국을 끓입니다

→ 자리에 들빛판을 깔고서 국물을 입니다

59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평의 언어 - 《런던 리뷰 오브 북스》 편집장 메리케이 윌머스의 읽고 쓰는 삶
메리케이 윌머스 지음, 송섬별 옮김 / 돌베개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5.21.

까칠읽기 8


《서평의 언어》

 메리케이 윌머스

 송섬별 옮김

 돌베개

 2022.6.30.



《서평의 언어》(메리케이 윌머스/송섬별 옮김, 돌베개, 2022)를 읽었다. “○○의 언어”는 무늬만 한글인 일본말씨이다. 우리는 니콘·캐논 같은 데에서 내놓는 찰칵이를 쓸 뿐, 우리 손으로 찰칵이를 내놓지는 못 하지만, “서평의 언어”라는 일본말이 아닌 “서평하는 말”이나 “책을 말하다”나 “책말”이나 “책을 읽는 말”이나 “책읽는 낱말”처럼 우리말을 쓸 수 있다. 애써 한글로 옮긴 글자락이되, 옮김말씨하고 일본말씨가 너무 춤춘다. 우리는 왜 우리말을 안 쓸까? 우리는 왜 우리말씨를 안 살필까? 일본이 바다에 더럼물(오염수)을 버리는 바보짓이 얼마나 사나운 줄 안다면, 미처 가다듬지 못 한 글결로 꾸러미를 여밀 적에 ‘생각을 짓는 길’하고 동떨어진 줄 느낄 만하지 않은가. 요새 다들 이런 일본말씨에 옮김말씨를 쓴다고도 여기는데, 이런 마음이라면 일본이나 중국이나 우리나라가 바다에 더럼물을 함부로 버리는 짓도 매한가지이다.


22쪽에 나오는 “내가 화가 나면 아이는 식량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으며, 위기에 처한 아이는 화가 났다”를 돌아본다. 어떤 엄마아빠가 이런 말을 쓰겠는가? “내가 성을 내면 아이는 굶고, 굶는 아이도 성이 난다”처럼 우리말을 헤아릴 수 있기를 빌 뿐이다.


ㅅㄴㄹ


내가 화가 나면 아이는 식량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으며, 위기에 처한 아이는 화가 났다. (22쪽)


이 책에는 “손이 깨끗하지 않을 때는 절대로 책을 만지지 마시오”, “책을 절대 바닥에 떨어뜨리지 마시오” 같은, 독학자를 위한 ‘책 사용 시 주의 사항’이 실려 있다. (한때 책이라는 것이 이렇게 존중받았단 사실을 상기할 수 있다는 면에서 좋다) (60쪽)


칭찬은 서평가들에게 무엇보다 어려운 과업이다. (100쪽)


#HumanRelationsandOtherDifficulties #Essays #MaryKayWilmers


+


원하는 만큼 모임을 갖지 못하다가

→ 바라는 만큼 모임을 못 하다가

→ 뜻하는 만큼 모이지 못 하다가

7쪽


지금보다 더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 요새보다 더 고갱이를 차지하였다

→ 요즘보다 더 큰몫을 차지하였다

→ 오늘날보다 더 기둥이었다

→ 오늘보다 더 알짬이었다

8쪽


그는 글쓰기에 지난한 노력과 에너지를 쏟았으며

→ 그는 글쓰기에 고되게 힘을 쏟았으며

→ 그는 고단할 만큼 글을 썼으며

→ 그는 고되도록 글을 썼으며

9쪽


단순히 책 한 권을 요약했다기보다 세상 전체를 통찰하는 것이리라

→ 그저 책 하나를 간추렸다기보다 온누리를 아울렀다

→ 그냥 책 한 자락을 추렸다기보다 온넋을 헤아렸다

11쪽


대상에 양가적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증거가 없었더라면

13


출산이란 이처럼 축하받고 싶은 소망이 상식을 압도해 버리는 함정으로 가득한 일이다

19


설상가상인 것은 좋은 어머니처럼 행동한다 해도 결코 충분치 않다는 점인데

20


발기부전에 대해 가진 공포에 그토록 공감했던 적이 없었다

21


내가 화가 나면 아이는 식량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으며, 위기에 처한 아이는 화가 났다

→ 내가 성을 내면 아이는 굶고, 굶는 아이도 성이 난다

→ 내가 이글거리면 아이는 쫄쫄 굶고, 아이도 이글거린다

→ 내가 짜증내면 아이는 굶어야 하고, 아이도 짜증난다

22쪽


여든넷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니

→ 여든넷에 떠났으니

→ 여든넷에 이 땅을 떠났으니

25쪽


과한 표현을 쓰면서도

→ 부풀리면서도

→ 추켜세우면서도

28


부고는 사람의 심장을 뛰게 하는 취미마저도 등한시해 온 듯한데, 이 또한 아비규환 때문일지 모르겠다

33


대체로 어떤 업이 가진 광휘를 한층 더 빛내주기 위해 쓰인다

38


배럿의 지휘 아래

→ 배럿이 이끌어

→ 배럿이 꾸려서

53


초판 복각본을 발행했다

59


사건은 특정 단어, 특히 도덕과 예의범절에 관한 단어의 의미가 세월이 흐르면서 꾸준한 사용을 통해 고착화된 과정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59


편찬자의 즐거움은 어디에나 묻어 있다

→ 엮은이는 어디서나 즐거웠다

→ 엮은 내내 즐거운 듯하다

67쪽


이런 의견들 가운데 딱히 시류에 맞는 것은 없었고

70


잠깐 부끄럽고 말 수준이 아니라 영원한 고갈을 불러일읔는 종류의 빈곤함을 지닌 졸작이다

86


위 인용문 속 괄호는

→ 이 글에서 묶음은

→ 여기에서 묶음칸은

90


혼란에 빠진 작가가 핍진성을 부정하는 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91


칭찬의 어휘는 한정되어 있기에 같은 표현이 주야장천 등장하지만

100

101


동료들이 큰 자각 없이 사용하는 클리셰를 피하고자 선택하는 표현들 역시 금세 또 하나의 클리셰가 된다

101


정부를 두는 것은 말을 소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유한 이들은 할 수 있으나

→ 딴님을 두려면 말을 두듯, 돈있는 이는 할 수 있으나

→ 뒷님을 두자면 말을 두듯, 돈이 있으면 할 수 있으나

203


그들이 원하는 사회적 성공이라면 물론 오로지 돈으로만 거머쥘 수 있는 종류의 성공이고

209


명성은 순식간에 쏟아지듯 밀려왔다

→ 이름값은 확 생겼다

→ 이름은 갑자기 치솟았다

38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영어] 안티anti



안티 : x

anti : 반대하는, 좋아하지 않는

アンチ-(anti-) : 안티, 반(反)



영어로는 ‘anti’라면, 한자말로는 ‘반대’요, 우리말로는 ‘맞서다·맞붙다·겨루다’나 ‘거꾸로·거스르다·저버리다·바뀌다’입니다. ‘도리질·얼굴돌리다·고개젓다·다르다’나 ‘뒤집다·뒤엎다·뒤틀다·돌아서다’나 ‘다투다·싸우다·대들다·붙다’라 할 만합니다. ‘등지다·등돌리다·눈돌리다·따지다’나 ‘막다·막아서다·말리다’로 손볼 만하고, ‘싫다·아니다·꺼리다’나 ‘되레·도리여·외려·오히려·차라리’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그러나·그렇지만·그런데’이나 ‘뜻밖·도로’로 풀어낼 수도 있어요. ㅅㄴㄹ



충북 옥천에서 안티조선운동으로 유명한 인사가

→ 충북 옥천에서 조선도리질로 이름난 분이

→ 충북 옥천에서 조선꺼져물결로 이름난 어른이

→ 충북 옥천에서 싫은조선물결로 이름난 분이

《힘내라 진달래》(노회찬, 사회평론, 2004) 16쪽


나는 안티미스코리아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엄청 잔인하게 느껴진다

→ 나는 얼굴순이가 싫다고 외치는 사람이 엄청 무섭다고 느낀다

→ 나는 안예쁜이를 외치는 사람이 엄청 무시무시하다고 여긴다

《생각, 장정일 단상》(장정일, 행복한책읽기, 2005) 39쪽


무작정 시비 거는 안티들이 많으니까

→ 무턱대고 따지는 놈이 많으니까

→ 마냥 도리질인 놈이 많으니까

→ 그저 뒤트는 놈이 많으니까

→ 대뜸 대드는 놈이 많으니까

《오! 취준의 여신님 2》(아오키 유헤이·요시즈키 쿠미치/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21) 9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안티에이징anti-aging



안티에이징 : x

anti-aging : Related to the lessening or halting of the aging process

アンチ エ-ジング(antiageing) : 안티에이징, 노화 방지, 노화에 따른 증상의 예방과 치유. (= 抗加齡, 抗老化)



일본을 거쳐 들어왔을 영어 ‘안티에이징’일 텐데, 일본에서는 ‘노화방지’나 ‘항노화(抗老化)’ 같은 한자말도 나란히 씁니다. 우리로서는 ‘안늙’처럼 단출히 새말을 여밀 만하고, “안 늙다·늙지 않다”라 하면 됩니다. ‘젊다·젊은길·젊은피’로 나타낼 수 있고, ‘새봄·짙푸르다·푸르다’로 나타냅니다. ‘탄탄하다·튼튼하다’로 나타낼 수도 있어요.



안티에이징은 여러 코스가 있네

→ 안늙기는 여러 길이 있네

→ 젊음길은 여러 갈래가 있네

→ 푸른길은 여럿이 있네

《구룡 제네릭 로맨스 2》(마유즈키 준/김현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1) 14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현장조사·현지조사



 현장조사가 부족했다 → 둘레찾기가 엉성했다

 현장조사만의 장점이 있다 → 마을보기를 하면 낫다

 세심한 현지조사에서 불구하고 → 낱낱이 돌아보았는데도

 기본은 현지조사에 성패가 걸려 있다 → 마을부터 찾아야 판가름난다


현장조사 : x

현장(現場) : 1. 사물이 현재 있는 곳 ≒ 실지·현지 2. 일이 생긴 그 자리 3. 일을 실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그곳

현지(現地) : 1. 사물이 현재 있는 곳 = 현장 2. 일이 생긴 그 자리 3. 일을 실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그곳

조사하다(調査-) : 사물의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살펴보거나 찾아보다 ≒ 취감하다



  어느 곳에 가서 차근차근 보는 일을 일본말씨로 ‘현장조사·현지조사’라 하는데, 우리말로는 ‘살피다·살펴보다’나 ‘알아보다·찾아보다’라 하면 됩니다. ‘돌아보다·둘러보다’나 ‘둘레보기·둘레찾기’라 할 만하고, ‘짚다·톺다·헤아리다’로 나타내지요. ‘살핌길·살핌꽃·알음길·알음꽃’처럼 새말을 여미어도 어울립니다. ‘마을보기·마을찾기’나 ‘고을보기·고을찾기·고장보기·고장찾기’처럼 새말을 지을 수 있어요. ㅅㄴㄹ



채집을 가거나 현장조사를 나가서 식물에 대한 설명을 들어도

→ 캐러 가거나 둘러보러 나가서 풀 이야기를 들어도

→ 담으러 가거나 짚으러 나가서 푸나무 얘기를 들어도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제비꽃》(유기억·장수길, 지성사, 2013) 137쪽


계단을 2칸씩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말자라는 주제로 현장조사를 하였다

→ 디딤돌을 2칸씩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말자는 얘기로 살펴보았다

→ 디딤칸을 둘씩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말자는 이야기로 돌아보았다

《솔직해서 안 좋을 거 없다》(시흥 어린이, 삶말, 2019) 66쪽


현지 조사의 또 다른 이유는

→ 마을을 살피는 다른 까닭은

→ 이곳을 왜 따로 살피느냐면

《전염병 전쟁》(이임하, 철수와영희, 2020) 228쪽


베트남으로 현지조사를 하기로 했다

→ 베트남으로 살펴보러 가기로 했다

→ 베트남으로 알아보러 가기로 했다

→ 베트남으로 살핌길을 나선다

→ 베트남으로 헤아리러 간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커피》(김다영, 스토리닷, 2021) 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