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현장조사·현지조사



 현장조사가 부족했다 → 둘레찾기가 엉성했다

 현장조사만의 장점이 있다 → 마을보기를 하면 낫다

 세심한 현지조사에서 불구하고 → 낱낱이 돌아보았는데도

 기본은 현지조사에 성패가 걸려 있다 → 마을부터 찾아야 판가름난다


현장조사 : x

현장(現場) : 1. 사물이 현재 있는 곳 ≒ 실지·현지 2. 일이 생긴 그 자리 3. 일을 실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그곳

현지(現地) : 1. 사물이 현재 있는 곳 = 현장 2. 일이 생긴 그 자리 3. 일을 실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그곳

조사하다(調査-) : 사물의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살펴보거나 찾아보다 ≒ 취감하다



  어느 곳에 가서 차근차근 보는 일을 일본말씨로 ‘현장조사·현지조사’라 하는데, 우리말로는 ‘살피다·살펴보다’나 ‘알아보다·찾아보다’라 하면 됩니다. ‘돌아보다·둘러보다’나 ‘둘레보기·둘레찾기’라 할 만하고, ‘짚다·톺다·헤아리다’로 나타내지요. ‘살핌길·살핌꽃·알음길·알음꽃’처럼 새말을 여미어도 어울립니다. ‘마을보기·마을찾기’나 ‘고을보기·고을찾기·고장보기·고장찾기’처럼 새말을 지을 수 있어요. ㅅㄴㄹ



채집을 가거나 현장조사를 나가서 식물에 대한 설명을 들어도

→ 캐러 가거나 둘러보러 나가서 풀 이야기를 들어도

→ 담으러 가거나 짚으러 나가서 푸나무 얘기를 들어도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제비꽃》(유기억·장수길, 지성사, 2013) 137쪽


계단을 2칸씩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말자라는 주제로 현장조사를 하였다

→ 디딤돌을 2칸씩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말자는 얘기로 살펴보았다

→ 디딤칸을 둘씩 올라가거나 내려가지 말자는 이야기로 돌아보았다

《솔직해서 안 좋을 거 없다》(시흥 어린이, 삶말, 2019) 66쪽


현지 조사의 또 다른 이유는

→ 마을을 살피는 다른 까닭은

→ 이곳을 왜 따로 살피느냐면

《전염병 전쟁》(이임하, 철수와영희, 2020) 228쪽


베트남으로 현지조사를 하기로 했다

→ 베트남으로 살펴보러 가기로 했다

→ 베트남으로 알아보러 가기로 했다

→ 베트남으로 살핌길을 나선다

→ 베트남으로 헤아리러 간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커피》(김다영, 스토리닷, 2021) 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