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 - 어느 날 내가 주운 것은 곤충학자의 수첩이었다
마루야마 무네토시 지음, 주에키 타로 그림, 김항율 옮김, 에그박사 감수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6.8.

까칠읽기 13


《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

 마루야마 무네토시 글

 주에키 타로 그림

 김항율 옮김

 동양북스

 2020.7.15.



《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마루야마 무네토시·주에키 타로/김항율 옮김, 동양북스, 2020)을 읽으면서 고개를 갸우뚱한다. “언제나 벌레 곁에서” 보내는 살림을 들려주는 꾸러미이다. ‘벌레 한살이’를 지켜보기는 하되, 오롯이 ‘생물학자 자리’에 머무른다. 이 꾸러미는 아이가 어른을 고스란히 따라가는 얼거리로 담았다. 앞서 다른 어른이 갈무리한 글을 읽으면서 “이렇게 해야 하는구나” 하고 배우기만 한다.


흔히 “어른이 아이를 가르치고 이끈다”고 여기지만, “아이가 어른을 가르치고 이끈다”고 해야 올바르다고 느낀다. 온누리 모든 아이는 어른을 가르치면서 이끌려고 태어난다. 어른을 가르치면서 이끌던 아이가 무럭무럭 자라서 새롭게 어른 자리에 서면, 이제 “어른이 된 아이”는 “새로 태어난 아이”한테서 배운다.


아이는 다른 어른처럼 ‘학자·전문가’로 안 산다. 아이는 언제나 무당벌레말을 하고 하늘소말을 하고 매미말을 한다. 아이는 나비말을 하고 개미말을 하고 거미말을 한다. 이리하여 ‘학자·전문가’로서는 바라보지 못 하거나 느끼지 못 하는 대목을 아이한테서 배우게 마련이다.


나무도 말을 한다. 돌과 모래도 말을 한다. 잠자리와 새도 말을 한다. 그런데 《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에 나오는 아이는 어느 벌레하고도 말을 안 나눌 뿐 아니라, 말을 나누려는 마음부터 없다.


더 들여다본다면, “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 같은 이름이 썩 맞갖지 않다. 어린이한테 쓸 만한 말이 아니다. 무늬는 한글이어도 우리말이 아닌 일본말이다. 철마다 벌레를 지켜보는데, 벌레하고 한해살림을 그리는데, 어린이 눈높이에서 말과 숲과 들살림을 헤아려야 하지 않을까? ‘생물 + 학’이라는 틀에 갇히지 않기를 빈다. ‘숨결 + 곁’이라는 살림길을 바라볼 수 있기를 빈다.


ㅅㄴㄹ


#丸山宗利 #じゅえき太?

#丸山宗利じゅえき太?の秘昆?手帳


+


야행성이라서 밤에 가로등 주변을 찾아보면 되는 거였구나

→ 낮눈이라서 밤에 거리불 둘레를 찾아보면 되는구나

→ 낮길이라서 밤에 길불 언저리를 찾아보면 되는구나

6


진한 청색이 더욱 화려해 보인다

→ 짙파랑이 더욱 눈부시다

→ 파랑이 짙어 더욱 빛난다

19


길가의 꽃에 붙어 있던 벌레

→ 길꽃에 붙은 벌레

21


나무쑥갓 위에 앉아 있던 녀석은

→ 나무쑥갓에 앉은 녀석은

21


이제 완연한 봄날이다

→ 이제 봄날이다

→ 바야흐로 봄날이다

24쪽


양배추 같은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식물의 잎과

→ 애벌레 먹이가 되는 동글배추 같은 풀잎과

25


산호랑나비가 옆집 정원에 심겨 있는 파슬리 주변을 날고 있었다

→ 멧범나비가 옆집 뜰에 심은 파슬리 둘레를 난다

28


어미의 사체를 먹으면서 성충으로 자라겠지

→ 어미 주검을 먹으면서 어른벌레로 자라겠지

33


나중에 괭이밥을 보게 되면

→ 나중에 괭이밥을 보면

39


이런 환경이라면 풍뎅이를 볼 수 있을 것 같아 기대감이 커졌다

→ 이런 곳이라면 풍뎅이를 볼 수 있을 듯하여 설렌다

→ 이런 데라면 풍뎅이를 볼 수 있을 듯하여 두근거린다

50


1주일가량 지나서 처음으로 탈피를 하면 2령 애벌레가 된다

→ 이레쯤 지나서 처음으로 허물벗기를 하면 2곬 애벌레이다

→ 이레쯤 지나서 처음으로 허물을 벗으면 2살 애벌레이다

→ 이레쯤 지나서 첫 허물벗기를 하면 2길 애벌레이다

→ 이레쯤 지나서 첫 허물을 벗으면 2벌 애벌레이다

54


몇 그루에서 나무진(수액)이 흐르고 있는 것을 확인

→ 몇 그루에서 나무물이 흐르는 모습을 보다

59


나방을 잡는 데 사용할 라이트 트랩(light trap)을 만들어 주었다

→ 나방을 잡을 때 쓸 빛덫을 꾸려 주었다

→ 나방을 잡는 빛살덫을 엮어 주었다

60

등화채집


물방개도 보고 싶어졌다

→ 물방개도 보고 싶다

69


사육상자 안에 넣어 두면 날개를 다치게 되거든

→ 키움집에 넣어 두면 날개를 다치거든

→ 돌봄집에 넣어 두면 날개를 다치거든

8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6.


《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

 마루야마 무네토시 글·주에키 타로 그림/김항율 옮김, 동양북스, 2020.7.15.



비가 그치고 해가 나지만 구름도 잔뜩 덮는다. 우리 책숲에 고인 빗물을 걷는다. 문득 돌아보니, 2007년에 인천에서 처음 책숲을 열던 때에도, 2011년에 고흥으로 옮긴 뒤로도, 으레 책숲에 흐르는 빗물을 걷는다. 머잖아 비 안 새는 곳에 책숲을 두고서 이웃을 만날 수 있기를 빈다. 돌나물을 훑는다. 작은아이가 “아들은 밥지기(요리사)”로 나아갈 수 있기를 빌어 본다. 개구리노래가 한껏 늘었다. 바람은 부드럽다. 슬슬 봄이 저물려는 바람에 해에 구름이라고 느낀다. 《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을 몇 해 앞서 장만하고서 한동안 잊다가 후다닥 읽었다. 처음 장만할 적에 살짝 아쉽다고 느낀 대목은 몇 해 지난 오늘에도 고스란히 아쉽다. 잘 보면 ‘사계절 곤충 탐구 수업’이라는 네 낱말은 한글로 적되 우리말은 아니다. 어린이도 읽기를 바라는 책일 텐데, 꽤 어렵구나 싶은 일본 ‘생물학 전문용어’가 잔뜩 나오고, 일본말씨가 너무 춤춘다. 벌레를 ‘벌레’라 하지 않아야 생물학자나 곤충학자인 듯싶다. ‘딱정벌레·사슴벌레·무당벌레·잎벌레’라고 버젓이 말하지만, ‘노린재·하늘소·거미’라는 이름이 있지만, 이런 이름을 누가 어떤 마음과 숲살림으로 붙이면서 오늘에 이르렀는지 눈여겨보는 사람이 너무 드물다.


#丸山宗利 #じゅえき太?

#丸山宗利じゅえき太?の秘昆?手帳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5.


《잊혀진 미래》

 팔리 모왓 글·그림/장석봉 옮김, 달팽이, 2009.11.12.



간밤부터 비가 퍼붓는다. 아침에 빗물을 뜨기로 한다. 비날에는 빗물이 가장 맑고 싱그러우면서 맛나다. 서울이라면 빗물을 어떻게 마시느냐고 할는지 모르나, 비가 한참 내렸다면, 서울에서도 빗물을 받아서 마실 만하다. 더구나 서울에서도 풀꽃나무는 빗물로 자란다, 서울에서 텃밭을 하는 분도 “빗물 머금은 푸성귀”를 누린다. 이 빗물이야말로 푸른별을 살찌우고 파란바다를 북돋운다. 《잊혀진 미래》는 1952년에 처음 나온 “People of the Deer(사슴겨레)”를 옮겼다. 그즈음에 벌써 사라지려고 하는 살림터 한 곳에 오래 깃들면서 이야기를 갈무리한 꾸러미이다. 여러모로 보면, 우리나라에도 잊히면서 사라지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수두룩하다. 나라가 등졌기에 잊히지 않는다. 나·너·우리가 함께 등지기에 잊힌다. 배움터에서 안 다루기에 잊히지 않는다. 우리·나·너가 스스로 안 쳐다보기에 잊힌다. 풀꽃을 안 보면 풀꽃에 붙인 이름을 잊고, 풀꽃살림을 잃는다. 새를 안 보면 새가 왜 새인지 잊다가, 새한테서 배우던 살림과 보금자리를 잃는다. 바다를 잊으니 바닥난 마음이다. 바람을 잊으니 바람을 피운다. 오늘 바라보는 대로 마음이 자란다. 오늘 생각하는 길대로 저마다 삶을 이룬다.


#People of the Deer #사슴겨레

#FarleyMowat (1952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4.


《チリとチリリよるのおはなし》

 どい かや 글·그림, アリス館, 2021.9.16.



이튿날은 어린이날인데, 해날에 걸린대서 이다음 달날도 쉼날이라고 한다. 쉼날에는 시골버스가 제대로 안 다닌다. 오늘 저잣마실을 다녀오자고 생각한다. 노래를 쓰면서 다녀오는데, 읍내에 유난히 사람이 많고, 어린이와 젊은 엄마도 많다. 그래, 어린이날 앞뒤로 쉼날이 기니까 나들이하는 사람이 많구나. 서울에서 고흥으로 오는 시외버스가 일곱 시간 넘게 걸렸다는 말을 문득 듣는다. 대단하구나. 저녁에는 곁님하고 큰아이가 김치를 담그느라 부산하다. 숲노래 씨는 짐꾼으로 저잣마실을 다녀와서 일찍 누웠다. 부산소리를 듣다가 꿈밭으로 가고, 밤에는 빗소리를 듣는다. 《チリとチリリよるのおはなし》를 꽤 오래 곁에 둔다. 한글판이 나올는지 알 길이 없기에 일본판으로 장만했다. 두바퀴를 천천히 달리면서 하루를 부드러이 즐기는 두 아이가 나오는 줄거리이다. 하늘도 날고, 바다도 가르고, 눈밭도 누비고, 숲도 지나는 두 아이는 이 별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하고 새삼스레 돌아본다. 거닐면 둘레를 본다. 천천히 두바퀴를 구르면 이웃을 만난다. 햇볕을 머금으면 누구나 튼튼하다. 바람을 마시면 언제나 싱그럽다. 빗물을 반기면 새롭게 깨어난다. 모든 이야기는 우리 곁에 있다. 조촐한 보금자리를 노래하는 분이 늘어나기를 빈다.


#도이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3.


《機械仕掛けの愛 6》

 業田良家 글·그림, 小學館, 2019.10.5.



볕날을 누린다. 한낮에 볕을 쬐면서 풀을 베거나 빨래를 널면서 “살짝 덥구나” 하고 느낀다. 그러나 어스름이 끼는 저녁이면 어느새 서늘하고, 밤에는 “살짝 춥네” 하고 느낄 만하다. 마을논 한 배미가 사라지고 잿더미(시멘트)로 뒤덮였다. 살림을 잊어가는 시골이다. 두고두고 짓던 논밭에 잿더미를 부으면, 그 땅은 죽음자리로 뒤바뀐다. 서울을 줄여서 숲으로 돌려야 하지 않을까. 새로 뭘 더 때려박거나 올리지 말고, 이제는 잿더미를 걷어내야 하지 않을까. 아이들한테 어떤 삶터를 물려줄 셈인지 생각해야 한다. 《機械仕掛けの愛 6》을 읽었다. 한글판은 2014년에 두걸음까지 나오고 더 안 나온다. 한글판을 기다리기보다는 일본판을 사읽는 쪽이 빠르겠지. 아니, 한글판은 더 안 나올 수 있다. 《토리빵》이나 《문조님과 나》나 《버섯 강아지》나 《내 마음속의 자전거》나 《천상의 현》을 보아도 어렵잖이 알 만하다. ‘마스다 미리’는 제발 그만 옮기고, 《기계장치의 사랑》이야말로 뒷자락과 새이야기를 옮기면서 이 나라에 ‘생각씨앗’을 심을 일이라고 본다. 사람은 자꾸 사람빛을 잃어가고, 사람꽃(로봇·AI)이 차츰 사람빛을 담고 나누는 길로 간다고 느낀다. 살림손을 잊고서 살림꾼하고 등지니, 사람다운 빛이 스러진다.


ㅅㄴㄹ


#고다요시이에 #기계장치의사랑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