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쓰기 위하여 문학과지성 시인선 177
김연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4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노래책시렁 428


《詩를 쓰기 위하여》

 김연신

 문학과지성사

 1996.4.25.



  우리가 서로 들려주고 듣는 모든 말은 노래이고 가락입니다. ‘말’이란 마음을 담아낸 소리인데, 다 다른 마음을 다 다르게 느끼거나 알도록 다 다른 결로 가다듬은 터라, 높고낮은 소리에 밀고당기는 소리는 모두 새롭게 노래요 가락이에요. 나한테 들려주는 말을 가만히 들을 수 있다면, “나는 늘 노래를 듣는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내가 들려주는 말을 곰곰이 새길 수 있다면, “나는 언제나 노랫가락을 펴는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詩를 쓰기 위하여》를 읽으며 꽤 싱거웠습니다. 1996년이 어떤 해였나 하고 돌아봅니다. 아직 차갑고 메마른 나라였고, 배움터에서는 길잡이가 대놓고 아이들을 두들겨패던 무렵이었어요. 쇠(토큰)나 종이(표)를 내고서 버스를 타던 무렵이요, 웬만하면 누구나 걸어다니던 즈음입니다. 요즈음도 집안일을 안 하는 사내가 꽤 있는데, 지난날에는 손에 물 한 방울 안 묻히는 사내가 흔했습니다. 붓만 쥘 적에는 글을 쥐어짜게 마련입니다. 밥을 짓고 빨래를 하고 아기를 돌보고 집살림을 건사한다면, 이 삶에서 늘 새롭게 글이 쏟아집니다. 억지로 ‘詩’를 쓰려 하니, 노래나 가락하고 멀어요. 예나 이제나 글바치는 그닥 집안일을 안 하는 듯싶습니다. 삶이 바로 말이면서 노래인 줄 배운 적이 없구나 싶습니다.


ㅅㄴㄹ


연필을 깎는다. / 詩를 쓰기 위하여 / 연필이 뾰족하게 깎인다. / 연필은 뾰족한 끝으로 내 배를 지그시 찌른다. / 연필만 갂아서 詩가 써지느냐고. / 손가락을 깎으면 詩가 써지느냐고 내가 묻는다. (詩를 쓰기 위하여-연필/11쪽)


연필 끝에 분홍 실을 매어보기로 했어 / 연필은 다른 연필이 갖지 못한 장식으로 기뻐할 것 같아서 / 시인의 연필 말고 또 무엇이 자기 목에 그런 좋은 표지를 가지고 있을 수 있겠어 (詩를 쓰기 위하여-연필 2/16쪽)


詩를 써보기 위하여 저녁나절 들길을 걸어나갔지. / 바람이 지나가면서 상쾌한 마음이 차올라왔었지 / 지나간 날들이 다시 한번 뒷걸음치면서 멀어지고 (詩를 쓰기 위하여-산책/3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눈물은 눈물로 (2024.5.11.)

― 부산 〈카프카의 밤〉



  지난달에 이은 ‘이응모임, 이오덕 읽기 모임’ 두걸음을 폅니다.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이오덕을 읽는 눈으로 우리 마음과 살림을 읽자’는 줄거리를 들려주고 나누다가 쪽글을 슥 씁니다. 무슨 글을 써야 할는지 지난달에도 이달에도 모르겠다는 이웃님 말씀을 가만히 듣다가, “눈물이 나올 듯하다 / 오늘은 / 여기까지만 적어 본다.” 이렇게 석 줄을 그대로 옮겨도 글이자 노래(시)이고, “뭘 써야 할는지 몰라서 / ‘뭘 써야 할는지 모르겠다’ 하고 / 적었다”처럼 우리 오늘 이곳 마음을 고스란히 옮겨도 넉넉히 글이자 노래라고 보탭니다.


  글은 잘 써야 하지 않고, 말은 잘 해야 하지 않습니다. 저는 오래도록 말더듬이로 살지만, 둘레에 나누고 싶은 마음이 무엇인지 헤아려서 소리를 옮기는 말을 폅니다. 제가 쓰는 글이 얼마나 읽히는지 알 턱이 없지만, 이웃하고 나누려는 생각을 곰곰이 가다듬어서 그림으로 담는 글을 여밉니다.


  살림을 잘 해야 하지 않습니다. 살림을 하면 됩니다. 사랑을 잘 해야 하거나, 첫사랑을 이루어야 하지 않습니다. 사랑을 알아보고 맞아들이고 품어서 씨앗으로 돌보면 됩니다. 좋은 살림과 나쁜 살림이 없고, 좋은 말과 나쁜 말이 없습니다. 좋은 사랑과 나쁜 사랑이 없고, 좋은 글과 나쁜 글이 없습니다.


  살림과 사랑도, 말과 글도, 좋거나 나쁘다고 가르지 않아요. 살림을 하기에 살림이고, 사랑을 하기에 사랑입니다. 말을 하기에 말이고, 글을 쓰기에 글입니다.


  떠난 어른 이오덕 님은 우리한테 바로 이 대목 “어린이는 모두 시인이다” 같은 말을 남기면서, “어른도 아이로 태어나서 어린이로 자랐으니, 어린이하고 똑같이 시인이다” 같은 말씀을 남겼다고 느껴요.


  눈물이 나는 말은 눈물을 그대로 옮기니 노래입니다. 아이하고 함께 읽을 책을 먼저 즐겁게 읽는다면, 아이는 저절로 어버이랑 함께 즐겁게 책을 폅니다. 아이하고 함께 지을 살림을 즐겁게 가꾸면, 아이는 언제나 스스럼없이 어버이 곁에 나란히 살림짓는 손길을 펴면서 사랑으로 빛납니다.


  우리가 어른이나 어버이라고는 하더라도, 막상 스스로 먼저 이슬받이라는 길을 안 간다면, 아이들이 책을 싫어하거나 살림하고 등져요. 들에서는 들풀이고, 숲에서는 숲풀이에요. 우리 보금자리에서는 보금빛이요 보금사랑이면서 보금글과 보금책입니다. 꾸미지 않으려 하면, 꾸리고 가꾸고 일굽니다.


  어미새는 새끼새한테 사랑·살림。숲을 삶으로 물려주려고 온마음을 기울입니다. 낳은 아이랑 이웃집 아이를 모두 사랑으로 마주한다면, 누구나 늘 아름답습니다.


ㅅㄴㄹ


《노랑의 미로》(이문영, 오월의봄, 2020.5.18.)

《실험이 땡긴다》(이나무, 그린유니버시티, 2024.3.15.)

《산복도로 골목을 품다》(수정4동 르네상스 주민협의회, 갤러리수정, 2018.11.15.)

《연산동 300-17》(은성군, 은성군, 2023.11.)

《안녕 주정뱅이》(권여선, 창비, 2016.5.16.)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이오덕 엮음, 양철북, 2018.2.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나무가 자랄 틈 (2024.5.11.)

― 부산 〈책방 감〉



  나무가 없으면 새가 없습니다. 매캐하고 시끄러운 큰고장이어도 잿빛(시멘트)하고 까망(아스팔트)으로만 덮으면 모든 사람이 숨막힙니다. 아무리 들숲과 논밭을 밀어내어 잿더미(아파트)를 죽죽 올리더라도 시늉으로 나무를 심습니다. 새마을(신도시)이 열 해나 스무 해를 지나면, ‘시늉박이 나무’도 어느 만큼 줄기가 굵어요. 서른 해나 마흔 해를 넘기면, 바야흐로 ‘마을나무’로 거듭납니다.


  책집을 들르려고 ‘부산교대나루’로 곧잘 오갔으나, 이 둘레에 열린배움터가 있다고는 느끼지 않았어요. 오직 책집만 바라보았거든요. 〈책방 감〉을 찾아가면서 둘러보니 부산교대를 가로지르기도 하고, 책집 바로 건너가 부산교대로군요.


  배움터를 드나드는 사람은 책집이 곁에 있는 줄 알까요, 모를까요? 모든 책은 나무가 우거진 숲에서 오고, 우리가 마시는 물도 멧숲에서 샘솟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집도, 우리가 입는 옷도, 멧숲이 있기에 비로소 누립니다.


  종이꾸러미만 펼 적에는 배움길하고 멉니다. 종이를 마련하기까지 어떤 길을 거치는지 헤아리고 살피고 가눌 적에 배움길이지 싶습니다. 종이에 적힌 글씨만 읽거나 외운들 배움길하고 멀지요. 붓 한 자루를 묶기까지 어떤 살림을 짓는지 돌아보고 짚고 가꿀 적에 배움길이라고 느낍니다.


  수박 이야기를 그리고 싶으면, 가게 시렁에 놓인 수박만 쳐다보지 말고, 수박이 자라나면서 맞이하는 해바람비를 들판에서 함께 품을 노릇입니다. 어린이 이야기를 쓰고 싶다면, 어린배움터 둘레에서 그치지 말고, 어린이가 신나게 누리면서 일굴 아름누리와 들숲바다를 같이 품을 노릇입니다.


  늦봄 한낮을 〈책방 감〉에서 보냅니다. 다 다른 목소리가 다다를 곳이 가만가만 고즈넉이 숲빛이기를 바라면서 여러 책을 읽습니다. 이렁저렁 한 꾸러미를 살피고서 다시 부산교대로 들어갑니다. 커다란 나무 곁에 걸상이 있습니다. 걸상에 앉아서 눈을 감습니다. 돈(경제적 이익)보다는 마음(문화적 이익)을 헤아리고 싶기에, 품과 길삯(차비)을 들여서 마을책집으로 사뿐히 찾아가서 깃듭니다. 누구나 돈보다 살림을 그리면서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할 뜻이라면 살림책을 손에 쥐겠지요.


  배우는 사람은 나이가 안 듭니다. 배우기에 철이 듭니다. 안 배우기에 나이가 듭니다. 안 배우니 철이 안 듭니다. 나이듦이란 늙음이요, 늙음이란 죽음길이요, 죽음길이란 스스로 판 수렁입니다. 철듦이란 어짊이요, 어짊이란 어른길이요, 어른길이란 얼이 차오르면서 스스로 빛나는 사랑입니다.


  나무가 자랄 틈이 있어야 숲입니다. 아이가 자랄 틈을 열어야 마을입니다.


ㅅㄴㄹ


《국민을 위한 선거는 없다》(다비트 판 레이브라우크/양영란 옮김, 갈라파고스, 2016.1.18.)

《자연에 이름 붙이기》(캐럴 계속 윤/정지인 옮김, 윌북, 2023.10.11.첫/2023.11.20.3벌)

《정조와 홍대용, 생각을 겨루다》(김도환, 책세상, 2012.3.25.첫/2013.6.30.))

《사랑을 찾기 위하여》(박주관, 학민사, 1989.8.30.)

《김종란의 시와 산문》(김종란, 드림, 2009.12.15.)

《익살꾼 성자 나스룻딘》(이드리스 샤아 엮음/이아무개 옮김, 드림, 2010.10.1.)

《북아뜨리에 20 알베르 까뮈》(쟝 그르니에/이재형 옮김, 고려원, 1987.12.15.)

《형자와 그 옆사람》(김채원, 창, 1993.12.17.)

《오늘도 핸드메이드! 2》(소영, 비아북, 2017.11.1.)

《天皇과 免罪符》(김문숙, 지평, 1994.11.20.)

《사지를 넘어 귀향까지》(이상업, 소명출판, 2016.11.20.)

《왕자와 거지》(마크 트웨인/이희재 옮김, 시공주니어, 2002.4.15.첫/2014.4.5.40벌)

《그 책은》(요시타케 신스케·마타요시 나오키/양지연 옮김, 김영사, 2023.6.2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바다빗질 (2024.3.29.)

― 서울 〈씨도씨〉



  14:40 시외버스로 고흥으로 돌아가기 앞서 어느 마을책집을 들를까 하고 어림하다가 ‘바다빗질’ 보임꽃(전시회)을 펴는 〈갤러리 사진적〉과 〈문화온도 씨도씨〉가 나란히 있는 서울 광진으로 갑니다. ‘바다빗질’은 2020∼21년 무렵에 여러모로 헤아리면서 지은 낱말입니다. 영어 ‘비치코밍’이나 한자말 ‘해변청소(해변정화)’보다는,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할 만한 우리말이 있어야겠다고 여겼어요.


  우리말은 여러모로 즐겁고 재미나면서 새롭게 쓸 수 있습니다. 바다를 빗으로 살살 쓸기에 ‘바다빗질’이요, ‘바다쓸기’입니다. 바다에 밀려드는 쓰레기를 치울 적에는 ‘바다치움’입니다. ‘바닷가빗질·바닷가쓸기·바닷가치움’처럼 쓸 수 있고, ‘바다빛질’처럼 살짝 달리 써도 어울립니다. 바다를 빗질을 하면 어느새 반짝반짝 빛날 테니, “빛이 나도록 손길을 보낸다”는 뜻으로 ‘바다빛질·바다빛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서울어린이쉼터가 곁에 있는 ‘능동’ 안골목에 〈갤러리 사진적 + 식당 사사로운〉이 함께 있고, 디딤돌을 따라 윗칸으로 가면 〈문화온도 씨도씨〉가 있습니다. 서울이기에 이렇게 아기자기하게 일구는구나 싶습니다. 고흥처럼 작은 시골에서도 이렇게 여러 살림터가 오순도순 이웃하는 터전이 자라난다면 아름답겠지요.


  시골이 시골인 까닭은, 싱그럽게 흐르는 냇물이 있는 곁으로, 멧골이 숲을 품으면서 아늑하기 때문입니다. 서울이 서울인 뜻은, 서로 손을 맞잡거나 어깨동무하면서, 너른 벌판에 새길을 벌이면서 즐겁기 때문입니다.


  더 많이 모이거나 모으는 자리는 이제 걷어낼 때라고 느낍니다. 더 작게 조용히 모이고 만나는 자리로 바꿀 때라고 느낍니다. 이를테면, 뽑기(선거)를 앞두고서 목소리를 내려는 이들은 ‘쉰 사람 넘게 모이는 자리’를 열지 않도록 틀을 잡을 노릇입니다. ‘구름떼(대중 동원)’는 사라져야 합니다. 우두머리 혼자 떠드는 구름떼가 아니라, ‘사람들 목소리를 하나하나 듣고 나누는’ 자리로 바꿔야지요.


  지킴이(경호원)는 한 사람만 두면 됩니다. 일할 사람이 일터에서 비질과 걸레질도 하고, 밥도 차리고 설거지도 하고, 몸소 걸어다니며 마을이웃을 마주하는 나라로 바꾸어야, 어느 쪽(정당)이 일꾼으로 서도 제자리를 잡으리라 봅니다.


  〈씨도씨〉 지기님이 읽고 나누는 그림책을 돌아보다가, 〈씨도씨〉 지기님이 여민 그림책을 살피다가, 시외버스를 타야 할 때에 맞추어 일어납니다. 쓰거나 그리거나 짓거나 엮거나 나누는 사람은 언제나 온힘을 다합니다. 다 꺼내어 빈털터리가 되도록 땀흘립니다. 모두 쏟아내면 새롭게 채울 이야기가 신나게 샘솟습니다.


ㅅㄴㄹ


《할머니 체조대회》(이제경, 문화온도 씨도씨, 2023.8.12.첫/2023.12.22.2벌)

《장거리전화》(셰리 도밍고/추영롱 옮김, 문화온도 씨도씨, 2023.11.22.)

#Ferngesprach #ShereeDomingo

《함마드와 올리브 할아버지》(한지혜·정이채, 문화온도 씨도씨, 2022.12.2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화학비료



 화학비료를 저감하는 대책을 수립하고자 → 죽음거름을 줄이는 길을 세우고자

 화학비료의 사용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으로 → 죽음재를 줄이려고

 무분별한 화학비료의 사용에 제동을 건다 → 마구 쓰던 죽음거름을 멈춘다


화학비료(化學肥料) : [농업]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만든 인공 비료. 질소질 비료, 인산 비료, 칼륨 비료, 복합 비료 따위가 있다 ≒ 인조비료



  논밭에 뿌리는 거름은 두 갈래입니다. 하나는 똥오줌을 삭여서 내는 ‘살림거름’이요, 다른 하나는 따로 찍어내는 ‘죽음거름’입니다. 이른바 한자말로 ‘화학비료’라는 이름을 붙이기는 하지만, 곰곰이 보면 땅도 푸성귀도 낟알도 ‘죽이는’ 길로 간다고 여길 만합니다. 그래서 ‘죽음재’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근대농법은 숲을 베어없애고 대지의 생명력을 끊고 대신 화학비료를 주어 작물을 기르고 있습니다

→ 오늘날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심을 끊고는 죽음재를 부어서 남새를 기릅니다

→ 요즘은 숲을 베어없애고 땅숨을 끊고는 죽음거름을 부어서 푸성귀를 기릅니다

《흙 1》(혼죠 케이/성지영 옮김, 또래문화, 1997) 133쪽


품종개량한 씨는 원칙적으로 농약과 화학비료를 써야만 잘 자라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 씨를 바꾸면 워낙 풀잡이물과 죽음거름을 써야만 잘 자라기 때문에

→ 씨손질을 하면 으레 풀죽음물과 죽음재를 써야만 잘 자라기 때문에

《맛의 달인 101》(테츠 카리야·하나사키 아키라/김미정 옮김, 대원씨아이, 2008) 188쪽


화학비료나 농약을 대량으로 살포해 효율을 중시하고, 규모를 확대하는 논리로 수확량을 늘리는 공업화된 농업

→ 죽음거름이나 죽임물을 잔뜩 뿌려 일손을 줄이고 땅을 넓혀서 많이 거두려는 논밭살림

《음식 좌파 음식 우파》(하야미즈 켄로/이수형 옮김, 오월의봄, 2015) 95쪽


이해타산으로 화학비료와 농약을 함부로 뿌려 땅을 혹사하고 오염시키고

→ 돈셈으로 죽음거름과 죽음물을 함부로 뿌려 땅을 괴롭히고 더럽히고

→ 돈만 밝혀 죽음재와 죽음가루를 함부로 뿌려 땅을 들볶고 망가뜨리고

《글쓰기, 이 좋은 공부》(이오덕, 양철북, 2017) 4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