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9월에 아기를 돌보면서 쪽틈을 내어

겨우 남겨 놓은 글을

2024년 6월에 새삼스레 돌아본다.

이렇게 재미난 글을 써놓은 적이 있네.

혼자 웃으면서 되읽었다.


..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08.9.11. 신변잡기



  틈틈이 써 놓은 글을 띄우는 누리새뜸 〈오마이뉴스〉 편집부에서 일하는 아무개 씨가 무어라 무어라 한다. 내가 쓴 글에 ‘기저귀 빨래’ 이야기가 자꾸 나오는데, 기저귀를 빨래하는 이야기를 담는 글은 ‘독자를 배려하는 글쓰기가 아니라’고 톡톡 자른다. 그래서 앞으로는 ‘아버지 육아일기’를 안 받겠다고 확확 자른다.


  가만히 이 말을 듣는다. 대꾸할 값어치를 못 느껴서 대꾸를 안 하기로 했다. 야구 경기를 쓰는 사람이라면 늘 야구 이야기를 쓰겠지. 정치꾼을 취재하는 사람이라면 늘 똑같은 정치꾼 말과 몸짓을 쓰겠지. 아기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라면 늘 손빨래에 밥살림에 집살림 이야기를 쓰겠지. 책숲(도서관) 일꾼이라면 책숲살림을 꾸리는 하루를 늘 똑같이 쓰겠지.


  글감은 누구나 똑같게 마련이다. 똑같은 글감을 풀어내는 하루가 다르고, 똑같은 글감마다 다 다르게 흐르고 서리고 감도는 삶과 하루가 다 다르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에서는 “최종규 씨가 쓰는 글은 ‘신변잡기’입니다.” 하고 덧붙인다. 그래서 “네, 저는 늘 ‘신변잡기’만 쓸 텐데, 이제는 글을 띄우지 말라는 말씀이지요?” 하고 여쭌다. 〈오마이뉴스〉 편집부는 “아니요, 글을 쓰지 말라는 뜻은 아닙니다.” 하고 도리도리한다.


  한자말 ‘신변잡기’란 무엇이겠는가? 온누리 어느 글이든 신변잡기이다. 왜냐하면, 스포츠이든 정치이든 경제이든 문화이든, 모두 ‘우리 둘레(신변)에서 일어나는 자질구레한 일(잡기)’이다. 더 커다란 일이 없고, 더 작은 일이 없다. 그저 우리 둘레에서 겪고 스치고 마주하는 일을 적을 뿐이다.


  그러면 나는 왜 굳이 ‘기저귀 빨래’를 글로 옮기는지 돌아볼 노릇이다. ‘기저귀 빨래’를 글로 옮기더라도 몇 해 못 쓴다. 아기가 똥오줌을 가리는 나이부터는 ‘기저귀 빨래’ 이야기를 더 쓰고 싶어도 못 쓴다. ‘기저귀 빨래’ 이야기는 아기를 돌보면서 날마다 끝없이 ‘기저귀 빨래’를 하는 사람이 바로 아주 짧은 한때에만 쓸 수 있다.


  나는 빨래틀(세탁기)을 안 쓴다. 1995년에 우리 어버이가 살던 집을 박차고 나온 날부터 2008년 여름까지 늘 손으로 빨래를 한다. 앞으로도 손빨래를 할 생각이고, 빨래틀을 들일 마음조차 없다. 나처럼 빨래틀을 안 들이고서 손으로만 조물조물 주무르거나 삶아서 햇볕에 말리는 이웃이 더러 있다. 다만 요새는 아주 드물다. 나는 쇳덩이(자가용)를 몰지 않는다. 종이(운전면허증)조차 안 땄다. 걸어다니거나 두바퀴(자전거)를 달린다.


  그러니 나는 손빨래를 하는 이야기를 쓰고, 걸어다니는 이야기를 쓰고, 두바퀴로 짐을 실어나르는 이야기를 쓴다. 손빨래를 하는 동안, 그리 멀잖은 지난날까지 온누리 모든 어머니가 모든 집안일을 도맡으면서 살림하던 일을 떠올린다. 그래서 내가 쓰는 ‘기저귀 빨래’ 이야기에는 숱한 어머니가 겪고 마주해야 하던 ‘살림살이’ 이야기가 저절로 깃든다. 기저귀 한 자락을 삶고 헹구고 말리고 다림질까지 하면서 여러 집안일을 도맡는 하루에서 무엇을 배우고 아이한테 무엇을 물려주는 살림을 짓는가 하는 줄거리를 늘 다르게 풀어낸다. 기저귀가 마르는 마당에서 하늘을 바라보고 바람을 살피면서, 저절로 하늘 이야기하고 바람 이야기를 쓴다. 비가 오는 날이면 기저귀가 잘 안 마르니, 비내음 이야기를 쓴다. 얼핏 보면 늘 똑같이 ‘기저귀 빨래’라는 글감이되, 모든 줄거리와 이야기는 늘 다르다.


  나는 예전에 신문배달을 하면서 살 적에는 늘 신문배달 이야기를 썼다. 군대에서 썩는 동안에는 몰래몰래 군대 이야기를 써서 모았다. 출판사에서 일할 적에는 책마을 뒷모습 이야기를 썼다. 두바퀴로 온나라를 굽이굽이 나들이를 할 적에는 자전거 이야기를 썼다. 책숲마실을 다닐 적에는 책숲마실 이야기를 꼬박꼬박 남긴다. 낱말책을 여미는 일을 하면서, 말과 삶과 넋이 얽힌 실타래와 수수께끼를 풀어내는 이야기를 적는다.


  기저귀 빨래는 날마다 하면서 즐겁다. 날마다 새롭게 하는 빨래요, 하루에도 끝없이 새삼스러이 맡는 빨래이다. 기저귀 빨래는 하늘이 내려준 빛이요, 보람이라고 느낀다. 온누리 모든 빨래 가운데 가장 아름다우면서 옹근 모습으로 마무리하는 기저귀 빨래이지 싶다.


  조금 앞서, 아기가 내 허벅지에 앉아서 놀다가 오줌을 누었다. 왕창 누었다. 바지가 옴팡 젖었다. 그런데 내 옷부터 갈아입지는 못 한다. 아기 옷부터 갈아입히고, 이불을 걷어내어 새로 깔고, 바닥을 훔치고, 이러는 동안 아기 옆에서 흥얼흥얼 노래를 부른다. 시원하게 쉬를 눈 아기한테 “잘 했구나, 잘 했어. 오줌 누니 시원하지? 시원하니까 또 웃고 놀면서 자라렴!” 하고 이야기한다. 오줌이 흥건한 기저귀와 이불을 빨래하는 곁에 아기를 누이고서 활짝 웃는 낯으로 손빨래를 새로 한다. 이러면서 노래를 끝없이 이어서 부른다.


  나는 우리 아이가 언젠가 기저귀를 뗄 날까지 기저귀 빨래 이야기를 쓰려고 한다. 몇 해 동안 바지런히 남길 이 이야기는 먼먼 뒷날, 우리 아이가 무럭무럭 커서 스무 살이 되고 마흔 살이 될 무렵, 아이한테 물려줄 즐거운 살림글로 피어나리라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08.8.29. 내 글쓰기



  마음에서 살아숨쉬는 이야기로 서지 않는다면 붓을 들거나 셈틀 글판을 두들길 수 없다. 머리에 환하게 그린 듯이 떠올릴 수 있는 이야기로 먼저 곰삭여 내지 않았다면 어떤 이야기도 써낼 수 없다. 찰칵찰칵 찍어 놓아야 쓰는 글이 아니다. 밑글로든 찰칵 담은 그림으로든, 아무것이 없더라도 가만히 헤아릴 수 있어야 비로소 쓰는 글이다. 종이보다는 마음에 담아야 쓰는 글이다. 두툼한 책뭉치를 잔뜩 쟁이지 않더라도, 온몸으로 살아낸 살림살이를 사랑으로 녹여내었으면 얼마든지 쓰는 글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3.5.25. 마늘밭



사람들이 모를 수밖에 없는지 모르나, 시골이 오히려 서울보다 일자리가 많고, 일삯이 높다. 게다가 시골은 ‘일철·놀이철’이 뚜렷하고, 일철과 ‘일날(근무일)’은 제대로 몰아치면서 하되 놀이철과 ‘쉼날(휴무일)’을 칼같이 챙긴다. 왜 그러겠는가? 이른바 몸쓰기(노동강도)가 센 시골일인 터라, 함부로 덧일(추가근무)을 안 시킨다. 낟알이며 숨붙이(해산물·농산물)를 바로 다뤄서 건사해야 할 적에는 덧일을 해야 하는데, 시골에서는 ‘일을 시키는 사람’부터 앞장서서 덧일과 밤일을 할 뿐 아니라, 일을 시키는 사람이 가장 오래 길게 힘들게 덧일과 밤일을 한다. 또한, 시골일은 워낙 몸쓰기인 터라, 일을 시켰으면 제대로 쉬고 제대로 먹이고 제대로 일삯을 준다. 생각해 보라. 시골에서 일을 시키고서 일삯이나 쉼날을 제대로 챙기지 않으면 ‘낫’이 춤추지 않겠는가?


바닷가 ‘김 공장’은 여섯 달 일하고 여섯 달 쉬는 얼거리인데, 이웃일꾼(이주노동자)이 거의 다 차지하는 일자리로 바뀐 지 벌써 오래인데, ‘여섯 달 바짝’ 일하면 5000만 원 남짓 번다. 시골일과 서울일은 아주 다르다. 서울일은 ‘나흘일(주4일노동)’이 되겠으나, 시골일은 ‘이레일(주7일노동)’이다. 다만, 시골은 ‘일철은 늘 이레일’이되, 이 일철을 마치면 ‘이레쉼(주7일휴가)’이다. 봄가을에 허벌나게 바쁜 마늘밭을 본다면, ‘하루삯 20만 원’이다. 앞으로 더 오를 수 있으리라 본다. 다만 서울내기는 ‘시골에서 일하는 때’를 잘 알아야 하는데, 마늘밭 일손이란, 으레 새벽 서너 시부터 한다. 참으로 바쁜 일철에는 새벽 두 시부터 한다. 이렇게 일손을 부리기 때문에 시골에서 찾는 일자리는 일삯이 높고 쉼날을 넉넉히 베푼다.


서울일(도시 거주자 노동)을 생각해 본다. 짐짓 서울일은 ‘나흘일’이나 ‘닷새일’로 보이지만, ‘전기·물·통신·인터넷이 24시간 내내 안 끊기’도록 ‘이레일’을 돌아가면서 맡는 일꾼이 많다. 서울이라는 얼거리가 돌아가도록 참말로 ‘숨은일꾼’이 숨돌릴 짬조차 없이 돌아간다. 이와 달리 시골은 새벽 두 시부터 일을 해야 하더라도, 해가 떨어지면 다 일찍 잔다. 일철에는 토·일요일이나 공휴일조차 없되, 일철을 지나면 그저 이레쉼에 한달쉼이다.


이른바 참살림(웰빙)은 시골에서 누리고 짓기에 수월하다고 느낀다. 바싹 일하고 넉넉히 쉬는 길이 참살림이지 않을까? 석 달 일하고서 석 달 쉬는 얼거리야말로 참살림이지 않을까? 한 달 일하고 한 달 쉬는, 또 여섯 달 일하고서 여섯 달 쉬는, 한 해 일하고서 한 해 쉬는, 이렇게 일할 적에 일삯을 두둑히 받는 시골이야말로 ‘앞날을 그리고 꿈꾸는 젊은이한테 환한 빛줄기’이지 않을까? 이런 시골일이 몸에 익어야 ‘아기를 낳아 돌볼’ 수 있다. 아기돌봄은 ‘이레일 + 한해일(1년 365일 근무)’이다. 아기돌봄은 갓 태어난 아기가 열다섯 살 즈음 이르도록 그야말로 ‘이레일 + 한해일’이다. 간추린다면, ‘아기돌봄 = 열다섯해 날마다일’일 텐데, 어버이로서 열다섯 해를 ‘이레일 + 한해일’로 살아내고 보면, 이다음부터 아이들이 어버이한테 ‘치사랑’을 베풀더라. 아이들이 베푸는 ‘치사랑’을 하루만 누려도 지난 열다섯 해 ‘이레일 + 한해일’이 눈녹듯이 사라지면서 기쁨눈물이 샘솟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숲집놀이터 289. 경력단절



숱한 엄마는 ‘경력단절’을 걱정한다. 애써 오래도록 배움터랑 일터를 다녔으나, 아기를 낳느라 그만 일터를 쉬면서 ‘예전 배움터에서 익힌 길’을 써먹지 못 하고 잊어버린다며 걱정을 한다. 그러나 아기를 낳아서 하루하루 무엇을 배우고 익히면서 새롭게 피어나고 거듭나고 깨어나는지 으레 놓치는 듯싶다. 아기는 엄마아빠한테 따로 나뉜 씨앗으로 흐르다가 엄마몸에서 열 달을 고이 자면서 자란다. 아기라는 몸을 입으려고 ‘두 씨앗’에서 ‘한 씨앗’으로 바뀌고, ‘한 씨앗’이던 몸을 내려놓고서 ‘아기’로 나아간다. 열 달이 지난 뒤에는 ‘아늑한 엄마몸’을 떠나서 밖으로 나온다. 갓 태어난 뒤로는 젖을 빨다가 젖떼기밥으로 건너가고, 이내 목을 가누고 뒤집고 기고 선 끝에 걸음마를 뗀다. 바야흐로 모든 나날이 ‘옛길을 끊고서 새로 나아가는 하루’이다. 온누리 어느 곳에서도 “사랑으로 아기를 품어서 돌보는 살림”을 못 가르친다. 엄마하고 아빠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받는 두 사람은 저마다 보금자리에서 “눈부시게 아름다운 사랑으로 짓는 숲빛살림”을 깨달을 수 있다. 이 살림을 깨닫고 익히려면 ‘옛길은 다 내려놓아’야 한다. 이제 ‘아줌마·아저씨’라는 이름으로 바뀐 ‘엄마·아빠’는 아주 마땅히 옛날하고 다르다. 이제 두 사람은 서로 다르게 ‘일멎이(경력단절)’에서 ‘일꾼·살림꾼’으로 피어났다. 그래서 ‘아줌마·아저씨’는 일터도 마을도 나라도 아름답게 사랑으로 가꿀 줄 아는 눈길과 손길과 발걸음으로 자라난 ‘어른’으로 선다. ‘아줌마·아저씨’는 아주 빠르게 새일과 새길을 익힐 줄 안다. ‘아줌마·아저씨’는 낯선 일도 스스럼없이 받아들이면서 웃고 노래하며 일할 줄 안다. 왜 이럴 수 있겠는가? 바로 아기를 맞이하는 ‘일멎이(경력단절)’를 열 해나 스무 해나 서른 해를 겪었거든. ‘아줌마·아저씨’는 “아기를 낳아서 돌본 눈부신 새일·새길(경력)을 갈고닦은” 터라, 오히려 누구보다도 일을 훨씬 잘 하거나 한결 알뜰살뜰 여미곤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세계관 世界觀


 하나의 거대한 세계관을 형성했습니다 → 한 줄기 큰뜻을 이루었습니다

 결과적으론 세계관을 새로 만듭니다 → 이리하여 삶넋을 새로 엽니다

 세계관이 좀 더 확대된 느낌을 줍니다 → 눈길을 더 틔운 듯합니다

 그들의 세계관을 어느 정도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 그들이 어떻게 보는지 알아야 할 듯싶습니다


  ‘세계관(世界觀)’은 “[철학] 자연적 세계 및 인간 세계를 이루는 인생의 의의나 가치에 관한 통일적인 견해”를 나타낸다지요. ‘마음·생각·뜻’이나 ‘넋·얼·빛·길’로 고쳐씁니다. ‘삶넋·삶길·삶빛·삶’이나 ‘살림넋·살림길·살림빛·살림’로 고쳐쓰고, ‘숨·숨결·숨빛·숨꽃’이나 ‘눈·눈길·눈빛·눈망울·눈썰미’로 고쳐씁니다. ‘바라보다·보다·쳐다보다’나 ‘눈여겨보다·느끼다·읽는눈’으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혹은 그가 지향하는 세계관은 어떤 것인가

→ 또는 그가 바라는 삶길은 무엇인가

→ 또는 그가 나아가는 길은 어디이가

《홀로 서기》(서정윤, 청하, 1987) 머리말


우리의 세계관, 인생관은 객관적 사실과 진리에 맞는가 틀리는가에 따라 그 정당성 여부가 결정된다

→ 우리 눈길, 넋은 두루 맞는가 틀리는가에 따라 바름결을 판가름한다

→ 우리 생각, 삶길은 참다운가 아닌가에 따라 옳은지를 따진다

《참된 삶을 위하여》(채희석, 현장문학사, 1989) 18쪽


사물의 이치를 분별할 나이가 되면 학교교육을 통해서 그들의 세계관을 주입시킵니다

→ 둘레를 알아차릴 나이가 되면 배움터에서 그들 생각을 집어넣습니다

→ 삶을 헤아릴 나이가 되면 배움자리에서 그들 삶길을 들이붓습니다

《시와 혁명》(김남주, 나루, 1991) 29쪽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여성의 인권만을 쟁취하기 위한 세계관이 아니라

→ 사람들이 잘못 아는데 순이만 돌보자는 뜻이 아니라

→ 사람들이 엉뚱히 보는데 순이살림만 지키자는 길이 아니라

《카메라를 든 여전사》(김연호, 아이공, 2005) 6쪽


본질적으로 자연을 대하는 세계관의 차이다

→ 아무래도 숲을 보는 눈빛이 다르다

→ 처음부터 숲을 헤아리는 눈이 다르다

《자유인의 풍경》(김민웅, 한길사, 2007) 18쪽


난 이 세계관을 아직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단 말이죠

→ 난 이 눈길을 아직 하나도 모른단 말이죠

→ 난 이 눈빛을 아직 도무지 모른단 말이죠

《여름눈 랑데부 2》(카와치 하루카/김유리 옮김, 삼양출판사, 2012) 86쪽


냉전의 세계관은 서로 마주보고 귀를 막은 채 자기만 옳다 소리치는 것과 같습니다

→ 서로 귀를 막은 채 저만 옳다 소리치는 차가운 눈빛입니다

→ 서로 귀를 막은 채 저만 옳다 소리치는 겨울빛입니다

《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이임하, 철수와영희, 2013) 184쪽


세상의 점점 더 많은 모습을 이해하게 되자 새롭게 등장한 것이 바로 ‘동그라미의 세계관’이다

→ 온누리를 더 많이 읽자 새롭게 ‘동그라미 마음’이 나타났다

→ 둘레를 차츰 더 많이 알며 새롭게 ‘동그라미 넋’이 보였다

→ 이곳을 더 많이 헤아리면서 새롭게 ‘동그라미 살림’을 보았다

→ 이 별을 더 많이 느끼자 새롭게 ‘동그라미 눈망울’을 틔웠다

《우주 산책》(이정규, 이데아, 2015) 43쪽


과학적 세계관 속에 애니미즘의 기미가 스며들었다

→ 밝꽃에 숲빛이 스며들었다

→ 샅샅이 보는 눈에 들빛이 스며들었다

→ 꼬치꼬치 눈길에 바람빛이 스며들었다

《신을 찾아서》(바버라 에런라이크/전미영 옮김, 부키, 2015) 311쪽


저 시리어스한 세계관은 도저히 못 따라가겠어

→ 저 아슬아슬한 넋은 영 못 따라가겠어

→ 저 아찔한 생각은 도무지 못 따라가겠어

→ 저 만만찮은 삶은 좀처럼 못 따라가겠어

《드래곤볼 슈퍼 5》(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18) 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