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세계관 世界觀


 하나의 거대한 세계관을 형성했습니다 → 한 줄기 큰뜻을 이루었습니다

 결과적으론 세계관을 새로 만듭니다 → 이리하여 삶넋을 새로 엽니다

 세계관이 좀 더 확대된 느낌을 줍니다 → 눈길을 더 틔운 듯합니다

 그들의 세계관을 어느 정도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 그들이 어떻게 보는지 알아야 할 듯싶습니다


  ‘세계관(世界觀)’은 “[철학] 자연적 세계 및 인간 세계를 이루는 인생의 의의나 가치에 관한 통일적인 견해”를 나타낸다지요. ‘마음·생각·뜻’이나 ‘넋·얼·빛·길’로 고쳐씁니다. ‘삶넋·삶길·삶빛·삶’이나 ‘살림넋·살림길·살림빛·살림’로 고쳐쓰고, ‘숨·숨결·숨빛·숨꽃’이나 ‘눈·눈길·눈빛·눈망울·눈썰미’로 고쳐씁니다. ‘바라보다·보다·쳐다보다’나 ‘눈여겨보다·느끼다·읽는눈’으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혹은 그가 지향하는 세계관은 어떤 것인가

→ 또는 그가 바라는 삶길은 무엇인가

→ 또는 그가 나아가는 길은 어디이가

《홀로 서기》(서정윤, 청하, 1987) 머리말


우리의 세계관, 인생관은 객관적 사실과 진리에 맞는가 틀리는가에 따라 그 정당성 여부가 결정된다

→ 우리 눈길, 넋은 두루 맞는가 틀리는가에 따라 바름결을 판가름한다

→ 우리 생각, 삶길은 참다운가 아닌가에 따라 옳은지를 따진다

《참된 삶을 위하여》(채희석, 현장문학사, 1989) 18쪽


사물의 이치를 분별할 나이가 되면 학교교육을 통해서 그들의 세계관을 주입시킵니다

→ 둘레를 알아차릴 나이가 되면 배움터에서 그들 생각을 집어넣습니다

→ 삶을 헤아릴 나이가 되면 배움자리에서 그들 삶길을 들이붓습니다

《시와 혁명》(김남주, 나루, 1991) 29쪽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여성의 인권만을 쟁취하기 위한 세계관이 아니라

→ 사람들이 잘못 아는데 순이만 돌보자는 뜻이 아니라

→ 사람들이 엉뚱히 보는데 순이살림만 지키자는 길이 아니라

《카메라를 든 여전사》(김연호, 아이공, 2005) 6쪽


본질적으로 자연을 대하는 세계관의 차이다

→ 아무래도 숲을 보는 눈빛이 다르다

→ 처음부터 숲을 헤아리는 눈이 다르다

《자유인의 풍경》(김민웅, 한길사, 2007) 18쪽


난 이 세계관을 아직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단 말이죠

→ 난 이 눈길을 아직 하나도 모른단 말이죠

→ 난 이 눈빛을 아직 도무지 모른단 말이죠

《여름눈 랑데부 2》(카와치 하루카/김유리 옮김, 삼양출판사, 2012) 86쪽


냉전의 세계관은 서로 마주보고 귀를 막은 채 자기만 옳다 소리치는 것과 같습니다

→ 서로 귀를 막은 채 저만 옳다 소리치는 차가운 눈빛입니다

→ 서로 귀를 막은 채 저만 옳다 소리치는 겨울빛입니다

《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이임하, 철수와영희, 2013) 184쪽


세상의 점점 더 많은 모습을 이해하게 되자 새롭게 등장한 것이 바로 ‘동그라미의 세계관’이다

→ 온누리를 더 많이 읽자 새롭게 ‘동그라미 마음’이 나타났다

→ 둘레를 차츰 더 많이 알며 새롭게 ‘동그라미 넋’이 보였다

→ 이곳을 더 많이 헤아리면서 새롭게 ‘동그라미 살림’을 보았다

→ 이 별을 더 많이 느끼자 새롭게 ‘동그라미 눈망울’을 틔웠다

《우주 산책》(이정규, 이데아, 2015) 43쪽


과학적 세계관 속에 애니미즘의 기미가 스며들었다

→ 밝꽃에 숲빛이 스며들었다

→ 샅샅이 보는 눈에 들빛이 스며들었다

→ 꼬치꼬치 눈길에 바람빛이 스며들었다

《신을 찾아서》(바버라 에런라이크/전미영 옮김, 부키, 2015) 311쪽


저 시리어스한 세계관은 도저히 못 따라가겠어

→ 저 아슬아슬한 넋은 영 못 따라가겠어

→ 저 아찔한 생각은 도무지 못 따라가겠어

→ 저 만만찮은 삶은 좀처럼 못 따라가겠어

《드래곤볼 슈퍼 5》(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18) 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