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6 : 그걸 것 같다


그걸 모르는 삶은 너무 슬픈 것 같다

→ 이를 모르는 삶은 너무 슬프다

→ 이를 모른다면 삶이 참 슬프다

《두 번째 지구는 없다》(타일러 라쉬, 알에이치코리아, 2020) 6쪽


영어라면 ‘it’이나 ‘that’으로 앞말을 받습니다. 우리말은 ‘이’로 앞말을 받습니다. “-ㄴ 것 같다”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슬픈 것 같다”는 “슬프다”로 고쳐씁니다. 모르는 삶은 너무 슬프고, 모른다면 삶이 참 슬픕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8 : 좋은 -의 차이


좋은 흙과 안 좋은 흙의 차이를 냄새로 안다

→ 기름진 흙과 죽은 흙을 냄새로 가린다

《두 번째 지구는 없다》(타일러 라쉬, 알에이치코리아, 2020) 6쪽


우리말 ‘좋다’는 쓰임새가 좁았습니다. “마음에 들다”를 나타내던 낱말인데, 어느새 여러 곳에서 널리 쓰는 듯합니다. 새롭게 쓰임새를 찾았다고 여길 수 있으나, 일본말씨하고 옮김말씨 탓이면서, 우리말결을 살피는 마음을 잊거나 잃은 탓이기도 합니다. 흙은 ‘좋다·나쁘다’로 안 가릅니다. 흙은 ‘기름지다·푸석하다’로 가릅니다. 기름진 흙이기에 뭇숨결을 살립니다. 푸석한 흙이기에 죽었다고 여겨요. 기름진 흙은 냄새하고 빛깔부터 달라요. 코로도 눈으로도 손으로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ㅅㄴㄹ


좋다 : 1. 대상의 성질이나 내용 따위가 보통 이상의 수준이어서 만족할 만하다 2. 성품이나 인격 따위가 원만하거나 선하다 3. 말씨나 태도 따위가 상대의 기분을 언짢게 하지 아니할 만큼 부드럽다 4. 신체적 조건이나 건강 상태가 보통 이상의 수준이다 5. 사람이 체면을 가리지 않거나 염치가 없다 6. 날씨가 맑거나 고르다 7. 넉넉하고 푸지다 8. 머리카락이 많이 자라서 길다 9. 날짜나 기회 따위가 상서롭다 10. 어떤 일이나 대상이 마음에 들 만큼 흡족하다 11. 감정 따위가 기쁘고 만족스럽다 12. 어떤 행동이나 일 따위가 문제 될 것이 없다 13. 어떤 일을 하기가 쉽거나 편하다 14. 어떤 물질이 몸이나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성질이 있다 15. 어떤 것이 다른 것보다 질이나 수준 따위가 더 높거나 가치가 있다 16. 서로 잘 어울리어 친하다 17. 상대편이나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해석하는 데가 있다. 18. 앞의 말을 부정하며 핀잔을 주는 데가 있다 19. 재료의 용도나 어떤 일을 하는 데 적합하다

차이(差異) :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7 : 시절 인생의 절정 것 같다


그 시절이 인생의 절정이었던 것 같다

→ 그무렵이 가장 빛났지 싶다

→ 그때가 봄날이었구나 싶다

→ 그즈음이 무지개철이었네 싶다

→ 그날이 꽃나래였다고 느낀다

《와비사비》(히라오 아우리/김정규 옮김, 길찾기, 2018) 44쪽


그무렵에 빛났으나 그때에는 모르기 일쑤입니다. 그때에 봄날이었는데 미처 못 느끼기도 합니다. 그즈음 무지개가 떴고, 그날 꽃나래요 꽃길에 꽃잔치였지만, 막상 심드렁이 지나칠 수 있어요. 뒤늦게 돌아보니 반짝이던 지난날입니다. 이제 되새기니 물결치거나 너울거리면서 높게 솟던 지난때예요. ㅅㄴㄹ


시절(時節) : 1. 일정한 시기나 때 2. = 계절(季節) 3. 철에 따르는 날씨 4. 세상의 형편

인생(人生) : 1.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일 2. 어떤 사람과 그의 삶 모두를 낮잡아 이르는 말 3. 사람이 살아 있는 기간

절정(絶頂) : 1. 산의 맨 꼭대기 ≒ 극정 2. 사물의 진행이나 발전이 최고의 경지에 달한 상태 ≒ 정점 3. [문학] 극(劇)이나 소설의 전개 과정에서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는 단계 ≒ 클라이맥스 4. [문학] 이육사가 1940년 《문장》에 발표한 시. 민족 현실의 암담함을 노래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절정


 봄의 절정이다 → 봄날이다 / 한창 봄이다 / 눈부신 봄이다

 추위의 절정이다 → 몹시 춥다 / 대단히 춥다


  ‘절정(絶頂)’은 “1. 산의 맨 꼭대기 ≒ 극정 2. 사물의 진행이나 발전이 최고의 경지에 달한 상태 ≒ 정점 3. [문학] 극(劇)이나 소설의 전개 과정에서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는 단계 ≒ 클라이맥스 4. [문학] 이육사가 1940년 《문장》에 발표한 시. 민족 현실의 암담함을 노래하였다”를 가리킨다고 하는군요. ‘-의 + 절정’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고비·고빗사위’로 손질합니다. ‘꽃나이·꽃철·꽃날·꽃길’이나 ‘꽃나래·꽃물결·꽃너울·꽃바람·꽃보라·꽃잔치’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가득하다·흐드러지다·무지개·한철·한창·한가득’으로 손질할 만하고, ‘넘실거리다·너울거리다·물결치다·무르익다·물오르다’나 ‘꼭대기·꼭두·높다·으뜸·머드거리·마루·미르’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봄·봄꽃·봄나이·봄마당·봄마루’나 ‘봄날·봄나날·봄철’로 손질하고, ‘불꽃·빛·빛길·빛나다·빛날·빛철’로 손질하지요. ‘눈부시다·사랑잔치·아름날·아름잔치’나 ‘살판·판치다·빼곡하다·촘촘하다’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잔치·신바람길·우듬지’나 ‘잘나가다·잘나다·잘되다’나 ‘피다·피우다·피어나다’로도 손질하고요. ‘가장·매우·무척·몹시·아주·대단히’로 손질할 수도 있어요. ㅅㄴㄹ



5월 중순 경이 아마 개화의 절정일 것이다. 물론 6월에도 끝무리로 피고는 있다

→ 5월 복판이 아마 꽃피는 고비이리라. 다만 6월에도 끝무리로 피기는 한다

→ 5월 한복판이 꽃으로 가득하리라. 또 6월에도 끝무리로 핀다

→ 5월 가운데에 꽃이 활짝 피리라. 그리고 6월에도 끝무리로 핀다

→ 5월 한가운데에 꽃이 흐드러지리라. 6월에도 끝무리로 피기는 한다

《이영노문집》(이영노, 한국식물연구소, 1986) 27쪽


행복의 절정에서 바닥으로 곤두박질치게 만들기 위해서야

→ 가장 기쁠 때 바닥으로 곤두박질치게 하고 싶어서야

→ 매우 기쁠 때 바닥으로 곤두박질치게 하고 싶으니까

《에노시마 와이키키 식당 8》(오카이 하루코/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8) 45쪽


그 시절이 인생의 절정이었던 것 같다

→ 그무렵이 가장 빛났지 싶다

→ 그때가 봄날이었구나 싶다

→ 그즈음이 무지개철이었네 싶다

→ 그날이 꽃나래였다고 느낀다

《와비사비》(히라오 아우리/김정규 옮김, 길찾기, 2018) 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소수의견 2024.6.7.쇠.



꽃이면 꽃이야. 씨앗이면 씨앗이야. 사람이면 사람이야. 꿈이면 꿈이지. 넋이면 넋이고, 마음이면 마음이란다. 언제나 무엇이든 숨결 그대로야. 이 ‘그대로’를 바탕으로 담으면서, 때때로 작거나 크게 가르기도 하는구나. ‘소수의견’이 있으면 ‘다수의견’이 있을 텐데, 왜 ‘작은소리·큰소리’를 굳이 가를까? 이미 ‘소수’라고 앞에 붙일 적에는 “안 받아들이지만, 듣는 시늉은 하겠다”는 셈이야. 벌써 ‘다수’라고 앞에 붙일 적에는 “이대로 갈 테지만, 다른 소리도 듣는 시늉은 하겠다”는 셈이지. 누가 무슨 말·소리·뜻을 펴든 ‘작은(소수)·큰(다수)’으로 가르지 않기를 바라. 그저 말과 소리와 뜻을 듣거나 살피면서 길을 갈 노릇이란다. 지레 잘라 놓으면, 네가 스스로 눈을 감고 마음을 닫고 담을 쌓아서 팽개친다는 굴레로 빠져.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한테서나 ‘말’을 보고 ‘마음’을 담고 ‘소리’를 들으면서 ‘생각’을 하렴. 누가 “나는 소수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힌다면, 이이는 ‘존중하는 척’을 하는 셈이지. 참말로 귀여겨들으려는 사람이라면, “나는 모든 말·소리·뜻을 다 듣겠다”고 밝힌단다. “다수의견으로 결정한다”고 밝히는 사람이 있다면, 그이 스스로 일찌감치 잡아놓은 틀을 ‘다수(큰)’라는 값(숫자)으로 밀어붙이겠다는 속내란다. 너희는 ‘민주주의’라는 허울이야. ‘다수의견’으로 한 놈만 뽑잖니? 너희가 ‘참(민주)’이라면, ‘모든 뜻’에 따라서 “모두가 함께하는 길”을 연단다. 겉치레와 허울과 꾸밈질이 판치는 물결을 제대로 읽어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