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소수의견 2024.6.7.쇠.



꽃이면 꽃이야. 씨앗이면 씨앗이야. 사람이면 사람이야. 꿈이면 꿈이지. 넋이면 넋이고, 마음이면 마음이란다. 언제나 무엇이든 숨결 그대로야. 이 ‘그대로’를 바탕으로 담으면서, 때때로 작거나 크게 가르기도 하는구나. ‘소수의견’이 있으면 ‘다수의견’이 있을 텐데, 왜 ‘작은소리·큰소리’를 굳이 가를까? 이미 ‘소수’라고 앞에 붙일 적에는 “안 받아들이지만, 듣는 시늉은 하겠다”는 셈이야. 벌써 ‘다수’라고 앞에 붙일 적에는 “이대로 갈 테지만, 다른 소리도 듣는 시늉은 하겠다”는 셈이지. 누가 무슨 말·소리·뜻을 펴든 ‘작은(소수)·큰(다수)’으로 가르지 않기를 바라. 그저 말과 소리와 뜻을 듣거나 살피면서 길을 갈 노릇이란다. 지레 잘라 놓으면, 네가 스스로 눈을 감고 마음을 닫고 담을 쌓아서 팽개친다는 굴레로 빠져.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한테서나 ‘말’을 보고 ‘마음’을 담고 ‘소리’를 들으면서 ‘생각’을 하렴. 누가 “나는 소수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힌다면, 이이는 ‘존중하는 척’을 하는 셈이지. 참말로 귀여겨들으려는 사람이라면, “나는 모든 말·소리·뜻을 다 듣겠다”고 밝힌단다. “다수의견으로 결정한다”고 밝히는 사람이 있다면, 그이 스스로 일찌감치 잡아놓은 틀을 ‘다수(큰)’라는 값(숫자)으로 밀어붙이겠다는 속내란다. 너희는 ‘민주주의’라는 허울이야. ‘다수의견’으로 한 놈만 뽑잖니? 너희가 ‘참(민주)’이라면, ‘모든 뜻’에 따라서 “모두가 함께하는 길”을 연단다. 겉치레와 허울과 꾸밈질이 판치는 물결을 제대로 읽어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뼛속 2024.6.9.해.



뼈가 단단하려면 무엇을 머금어야 할까? 쇠? 구리? 돌? 그런데 쇠나 구리나 돌은 무엇을 머금기에 단단하지? 가지를 뻗은 나무는 줄기가 굵고 단단하니? 나무줄기는 어떻게 단단할 수 있을까? 쇠는 왜 단단할까? 구리는? 돌과 바위는 무엇을 담은 몸이기에 단단할까? 몸이며 뼈가 단단하거나 든든하거나 탄탄하거나 튼튼하도록 속에 놓는 숨결이 무엇일는지 헤아리렴. 네가 쇠붙이나 나무토막을 씹거나 삼키면 튼튼할까? 쇠나 나무가 튼튼하도록 속을 이루는 밑숨결을 ‘든든’하면서 ‘반갑’게 맞아들이면, 너는 바람을 마시거나 물을 머금으면서도 넉넉히 튼튼할 만해. 벌컥벌컥 마시거나 잔뜩 먹지 마. 느긋이 마시면서 하나씩 먹어. 서둘러서 네 몸에 넣으면 얼른 빠져나간단다. 갑자기 쑥 밀어넣으면 어느새 쏙 새어나가지. 느릿느릿 담으면 그만 굳어버려. 그러니까 ‘빠르게’도 ‘느리게’도 아닌, “너(나) 스스로 무엇을 바라보고 느껴서, 이제부터 어떤 몸을 이루려는 숨결로 빛나려고 하는가” 하는 생각을 마음에 씨앗으로 심고서 가만히 마시거나 머금을 노릇이야. 이를테면 “내 사랑으로 나아가자”나 “내 노래로 피어나자” 같은 꿈씨앗을 말씨로 옮겨서 스스로 느낄 노릇이란다. 뼛속도 바윗속도 나무속도, 곰곰이 보면 모두 ‘물’이란다. 구름을 이루고, 빗방울이 되고, 바다를 이루고, 냇물로 흐르고, 샘으로 솟고, 온누리를 가볍게 가없이 돌고도는 ‘물’을 네가 온넋으로 받아들여서 다스리기에 단단하고 튼튼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떠드는 입 2024.6.10.달.



“말하는 입”이라면, “마음을 잇는 길”이야. “떠드는 입”이라면, “떠벌이면서 자랑하는 굴레”이지. “말하는 입”이기에 “듣는 귀”가 있어. “떠드는 입”이기에 “귀를 닫”는단다. 곰곰이 보면, “잇는 길”이어야 할 ‘입’이야. 벌리기는 했어도 안 이을 적에는 ‘입’이라고 여길 수 없어. 쏟아내기만 하는데 무엇을 잇겠어? 쏟고 퍼붓는 곳은 둘레를 어지럽히거나 망가뜨리지. 숨을 마시고 내놓듯, 밥을 먹고서 내보내듯, 귀로 받아들이고 눈으로 바라보는 마음이 있을 적에 “입으로 말을 들려주면서 드나들고 잇”는단다. 그러니까 “듣는 귀”하고 “보는 눈”이 없이 “떠드는 입”이라고 한다면, “숨을 뱉기만 한다”는 뜻인데, “마신 숨”이 없이 무엇을 내놓을까? “떠드는 입 = 죽은 무더기(무덤) = 죽이는 화살·칼”인 셈이야. “말하는 입 = 살아가는 길 = 살리는 빛·노래”인 셈이고. 요즈음은 ‘소리시늉’을 많이 하던데, ‘말하기’는 ‘소리내기’일 수 없어. 마음이 없이 소리만 낼 적에는 ‘말’이 아닌걸. 마음이 없이 줄줄이 적을 적에는 ‘글’이라고 여길 수 없어. “마음을 담은 빛·노래”인 ‘말’을 담아야 ‘글’이야. 그저 ‘글시늉’을 해본들 그저 ‘시늉’이란다. 겉으로만 보이니 ‘시늉’이고 ‘떠든다’고 하겠지. 알맹이가 없이 허울만 커다랗기에 ‘흉내’이고 ‘시끄럽다’고 느끼지. 네가 몸에 ‘입’이 있다면, “잇는 마음길”로 다스리기를 바라. 혼자 떠들지 마. ‘말’을 들려준 만큼 입을 닫고서 귀와 눈을 열 노릇이야. 눈코귀입을 고르게 펼 적에 ‘몸짓’이요, 살림이고, 사람으로서 살아가는 길이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15.

오늘말. 꼽


참 쓸데없는 짓을 한다는 소리를 으레 들었습니다. 누가 알아본다고 힘을 그렇게 들이느냐고 핀잔하더군요. 지스러기 같은 일은 지나가라고도 하는데, 우리가 살아가는 길에 하찮거나 하잘것없는 일이란 없을 텐데요. 길미가 된다고 여길 적에만 손을 댄다면, 조그마한 일에는 시들하다면, 눈에 뜨이지 않는다고 해서 볼것없다고 넘긴다면, 아무래도 우리 마음은 물거품에 마병으로 가득하리라 느낍니다. 눈꼽 같다고 여겨 꼽을 주는 말이나 짓을 일삼는 분이 있더군요. 그분한테는 그저 구정물이나 버림치로 보였겠구나 싶어요. 자갈밭이 풀밭으로 거듭나고, 나무씨앗 한 톨이 깃들어 천천히 자라면서, 어느새 숲으로 바뀌기까지는 적잖이 걸릴 테지만, 틀림없이 돌밭도 숲밭으로 피어날 만합니다. 자잘하다고 여겨서 등을 돌리기에 돌더미가 그냥 돌더미로 남습니다. 못할 일이란 없어요. 덧없는 일도 없어요. 누구는 같잖게 볼 테지만, 둘레에서 크잖게 보든 말든 우리가 품고 심어서 가꾸는 꿈씨를 바라볼 노릇입니다. 오늘 하루는 허방이 아니고, 쭉정이도 아닙니다. 그저 쪼가리 하나로 볼 수 있는데, 모든 씨앗은 늘 참으로 작아요. 작기에 씨앗입니다.


ㅅㄴㄹ


쓸모없다·쓸데없다·쓰레기·쓸개빠지다·덧없다·부질없다·하릴없다·같잖다·꼴같잖다·물거품·빈소리·빈말·뻘·삽질·개-·곱·곱재기·꼽·꼽재기·새알곱재기·새발피·군것·군더더기·군살·쭉정이·크잖다·날-·넝마·검불·검부러기·버림치·구정물·마병·막것·만무방·망나니·밥벌레·보풀·부풀·보푸라기·부푸러기·부스러기·지저깨비·지스러기·지푸라기·짚풀·돈 안 되는·돌덩이·돌더미·돌밭·자갈·자갈밭·못 이루다·못하다·발만 담그다·손만 대다·하지 못하다·보잘것없다·볼것없다·솜씨없다·재주없다·하찮다·하잘것없다·한갓되다·호로놈·혹·후레질·허방·허방다리·허수아비·허접하다·허튼·헛것·헛속·시들다·시들하다·심심하다·자잘하다·쪼잔하다·알량하다·어렵다·힘겹다·졸때기·졸따구·좀스럽다·쥐뿔·쪽·쪼가리 ← 무용(無用), 무용지물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6.15.

오늘말. -랑


어린 날을 떠올리면, 여리고 골골대는 몸이지만, 어떤 일을 맡으면 온힘을 다하였습니다. 힘이 모자라니, 작건 큰건 용을 써야만 할 수 있습니다. 누가 거짓말을 시키면 거짓말을 도리도리했습니다. 거짓말을 입밖으로 뱉으면 속이 확 타들어가더군요. 하늘은 늘 우리가 착한지 안 착한지 지켜본다고 느꼈어요. 주먹으로 윽박지르거나 두들겨패더라도 꼬박꼬박 참다운 말을 읊으며 살았습니다. 거짓을 일삼는 무리가 주먹을 휘두를 적에는 얼핏 무서워 보일 수 있습니다만, 사랑이 한 톨도 없는 마구잡이는 무서울 일이 없습니다. 어깨동무도 이웃빛도 없는 무리는 늘 끼리끼리 갇혀서 스스로 무너져요. 팔짱은 두 가지입니다. 불구경을 하는 팔짱이 있고, 서로돕기를 하려고 다가와서 끼는 팔짱이 있습니다. 짝을 맞추어 너랑 나랑 아름답게 웃는 살내음을 나누려는 손길이기에 따뜻합니다. 걸음을 맞추어 나하고 네가 곱게 노래하는 꽃빛을 나누려는 하루이기에 포근합니다. 코앞에서 으르렁거리는 놈을 봐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속으로 환하게 피어날 꿈을 넉넉히 바라볼 노릇입니다. 어느 자리에서건 매한가지예요. 첫째도 막째도 사랑이 사람꽃입니다.


ㅅㄴㄹ


곱다·너그럽다·따뜻하다·따사롭다·따스하다·다솜·다솜빛·다솜꽃·포근하다·폭신하다·푸근하다·푹신하다·후덥다·도와주다·돕다·-랑·-과·-하고·부축·서로돕다·사람·사람결·사람됨·사람길·사람빛·사람꽃·사람답다·사랑·살내음·살내·아름답다·아름길·아름꽃·아름빛·어깨동무·이바지·이웃사랑·이웃빛·팔짱·착하다·참되다·참답다·참하다 ← 휴머니즘, 박애(博愛), 박애주의, 사해동포(四海同胞), 사해동포주의


-째·-째판·탕·바탕·바퀴·돌림·땀·판·마당·때·대·날·곳·군데·꼭지·자락·자리·짝·걸음·발·발자국·벌·섶·줌 ← 회전(回戰), 라운드(round)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