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소수의견 2024.6.7.쇠.



꽃이면 꽃이야. 씨앗이면 씨앗이야. 사람이면 사람이야. 꿈이면 꿈이지. 넋이면 넋이고, 마음이면 마음이란다. 언제나 무엇이든 숨결 그대로야. 이 ‘그대로’를 바탕으로 담으면서, 때때로 작거나 크게 가르기도 하는구나. ‘소수의견’이 있으면 ‘다수의견’이 있을 텐데, 왜 ‘작은소리·큰소리’를 굳이 가를까? 이미 ‘소수’라고 앞에 붙일 적에는 “안 받아들이지만, 듣는 시늉은 하겠다”는 셈이야. 벌써 ‘다수’라고 앞에 붙일 적에는 “이대로 갈 테지만, 다른 소리도 듣는 시늉은 하겠다”는 셈이지. 누가 무슨 말·소리·뜻을 펴든 ‘작은(소수)·큰(다수)’으로 가르지 않기를 바라. 그저 말과 소리와 뜻을 듣거나 살피면서 길을 갈 노릇이란다. 지레 잘라 놓으면, 네가 스스로 눈을 감고 마음을 닫고 담을 쌓아서 팽개친다는 굴레로 빠져. 언제 어디에서나 누구한테서나 ‘말’을 보고 ‘마음’을 담고 ‘소리’를 들으면서 ‘생각’을 하렴. 누가 “나는 소수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힌다면, 이이는 ‘존중하는 척’을 하는 셈이지. 참말로 귀여겨들으려는 사람이라면, “나는 모든 말·소리·뜻을 다 듣겠다”고 밝힌단다. “다수의견으로 결정한다”고 밝히는 사람이 있다면, 그이 스스로 일찌감치 잡아놓은 틀을 ‘다수(큰)’라는 값(숫자)으로 밀어붙이겠다는 속내란다. 너희는 ‘민주주의’라는 허울이야. ‘다수의견’으로 한 놈만 뽑잖니? 너희가 ‘참(민주)’이라면, ‘모든 뜻’에 따라서 “모두가 함께하는 길”을 연단다. 겉치레와 허울과 꾸밈질이 판치는 물결을 제대로 읽어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