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8 : 좋은 -의 차이


좋은 흙과 안 좋은 흙의 차이를 냄새로 안다

→ 기름진 흙과 죽은 흙을 냄새로 가린다

《두 번째 지구는 없다》(타일러 라쉬, 알에이치코리아, 2020) 6쪽


우리말 ‘좋다’는 쓰임새가 좁았습니다. “마음에 들다”를 나타내던 낱말인데, 어느새 여러 곳에서 널리 쓰는 듯합니다. 새롭게 쓰임새를 찾았다고 여길 수 있으나, 일본말씨하고 옮김말씨 탓이면서, 우리말결을 살피는 마음을 잊거나 잃은 탓이기도 합니다. 흙은 ‘좋다·나쁘다’로 안 가릅니다. 흙은 ‘기름지다·푸석하다’로 가릅니다. 기름진 흙이기에 뭇숨결을 살립니다. 푸석한 흙이기에 죽었다고 여겨요. 기름진 흙은 냄새하고 빛깔부터 달라요. 코로도 눈으로도 손으로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ㅅㄴㄹ


좋다 : 1. 대상의 성질이나 내용 따위가 보통 이상의 수준이어서 만족할 만하다 2. 성품이나 인격 따위가 원만하거나 선하다 3. 말씨나 태도 따위가 상대의 기분을 언짢게 하지 아니할 만큼 부드럽다 4. 신체적 조건이나 건강 상태가 보통 이상의 수준이다 5. 사람이 체면을 가리지 않거나 염치가 없다 6. 날씨가 맑거나 고르다 7. 넉넉하고 푸지다 8. 머리카락이 많이 자라서 길다 9. 날짜나 기회 따위가 상서롭다 10. 어떤 일이나 대상이 마음에 들 만큼 흡족하다 11. 감정 따위가 기쁘고 만족스럽다 12. 어떤 행동이나 일 따위가 문제 될 것이 없다 13. 어떤 일을 하기가 쉽거나 편하다 14. 어떤 물질이 몸이나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성질이 있다 15. 어떤 것이 다른 것보다 질이나 수준 따위가 더 높거나 가치가 있다 16. 서로 잘 어울리어 친하다 17. 상대편이나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해석하는 데가 있다. 18. 앞의 말을 부정하며 핀잔을 주는 데가 있다 19. 재료의 용도나 어떤 일을 하는 데 적합하다

차이(差異) :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