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한 모금 2023.10.17.불.



밥 한 숟가락을 입에 넣으면 온몸이 느끼지? 혀뿐 아니라, 팔다리도 머리도 가슴도 배도 옆구리도 등도 나란히 느낀단다. 무언가 새롭게 스미거나 퍼지려는 기운을 느껴. 너희 몸은 ‘밥이라는 영양분’으로 움직이지 않는 줄 아니? 너희 ‘배’는 하나하나 느끼고 끝까지 삭이고서 내보내는 곳이야. ‘밥’이라는 모습으로 바뀐 ‘푸른별 숨결 한 모금’을 빛으로 느끼지. 너희가 ‘비타민’을 바란다면, ‘비타민’을 먹기 때문이 아니라 ‘비타민이라 여기는 빛’을 느끼고 받아들이기에“비타민을 먹는다”고 할 수 있어. 칼슘이고 지방이고 단잭질이고 다 마찬가지야. 그래서 너희가 ‘무엇’을 보거나 다루든, ‘어떤’ 눈으로 알아보고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밥결(음식성분)이 늘 바뀌어. 부아나거나 짜증날 적에는 왜 먹으면 안 될까? 슬프거나 기쁠 적에는 왜 안 먹어야 나을까? 이때에는 이미 너희 스스로 마음에 생각씨를 심어서 몸을 바꾸어 놓았으니, 밥은 덧없는 덤이란다. 눈으로 보기만 해도, 코로 맡기만 해도, 귀로 듣기만 해도, 마음으로 느끼기만 해도, 누구나 스스로 넉넉하고 배불러. 눈을 안 뜨고, 코를 안 틔우고, 귀를 안 열고, 마음을 펴지 않으니, 늘 모자라거나 없다고 여기는 곳으로 가. 한 모금이건 열 모금이건 무엇이 다르니? 비운 몸이란, 빛나려고 하는 몸이야. 비워 놓기에 새로 빚으면서 빛날 수 있어. 뭔가 먹으려 할 적에는, 늘 먼저 눈을 살며시 감고서 바람을 가만히 마시면서, 머리에 꿈을 사랑으로 띄우렴. 이러고서 무엇이든 활짝 웃고 이야기하면서 하나씩 먹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생각하지 않는 2023.10.18.물.



생각하지 않으니 새롭지 않아. ‘말’로는 ‘생각한다’고 하더라도, ‘생각하는 척’이기에 조금도 안 새롭지. 생각하니까 새로워. 새로우니 눈이 빛나. 귀도 입도 머리카락도 손도 발도 다 빛나. 생각하는 하루이니 스스로 살아나. 생각하지 않으니까 ‘하루가 없’어. ‘하루가 없다’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알겠니? ‘달종이(달력)’에 적힌 날짜는 ‘하루’가 아닌 ‘셈값(숫자)’이야. 셈값은 네 하루가 아니란다. ‘하루’란, 네가 스스로 생각해서 짓고 누리고 나누는 동안 모락모락 피어나는 이야기로 빛나는 씨앗 한 톨이지. ‘하루’는 ‘한 톨’이랄까. 즐겁게 하루를 그려서 살아가기에, 오늘 이곳에 씨앗을 새로 심어. 이 씨앗이란 생각이고, 생각은 무럭무럭 자라서 푸르게 우거지는 숲을 이루지. 생각을 한다면, 스스로 마음에 숲을 일구고 이룬다는 뜻이야. 생각을 안 한다면, 마음에 숲이 없을 뿐 아니라, 어지럽고 매캐하고 뿌연 안개가 감돈단다. 네가 스스로 생각하기에 모든 어지럽고 매캐하고 뿌연 안개를 바로 너 스스로 녹여낼 수 있어. “모르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여기겠니? 모르니까 생각을 해야지. “왜 이럴까?”나 “어떻게 이처럼 될까?”를 남한테 묻기 앞서 스스로 생각해 보렴. 네가 마음에 ‘스스로 생각하며 씨앗 한 톨 심기’를 하면, 네 마음은 이 생각씨앗이 자라도록 북돋운단다. 네가 몸을 움직이면서 겪고 느끼고 맞이하는 모든 하루는 ‘생각씨앗이 싹트고 자라서 이룰 숲’이야. 생각으로 가꾸는 마음이기에 늘 푸르면서 새롭게 빛나. 생각을 머금기에 마음이 가볍고 넉넉해서 문득문득 즐겁게 웃고 노래하는 기운이 샘솟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이야기를 하려면 2023.10.19.나무.



이어가려는 마음이 있기에 둘(또는 여럿) 사이에 ‘말’을 놓는단다. ‘말’은 마음을 나타내는 소리이면서, 마음을 잇는 다리야. 말로 둘(또는 여럿) 사이에 다리를 놓기에, 둘(또는 여럿)은 문득 마음을 열고서 말소리를 받아들이고, 이 말소리에 흐르는 뜻이 무엇인지 읽어내려고 해. ‘말’은 ‘소리’로 ‘마음’을 담지? ‘말’은 ‘떠는 소리’와 ‘높고낮은 소리’와 ‘길고짧은 소리’로 마음을 담아. 이를 ‘말결’이라고 한단다. ‘말결’이란 “마음을 소리로 담은 결”인데, “말에 담은 마음을 읽을 수 있도록 물결(진동·파동)로 나타낸”단다. 말을 귀로 듣고 글을 눈으로 읽지? 말글을 눈귀로 받아들일 적에는, 처음은 ‘겉뜻’을 살펴. 이 겉뜻을 머리로 보내어 ‘속뜻’을 헤아려. 그리고 ‘겉뜻·속뜻’을 가슴(심장)으로 보내어 ‘참뜻’을 알려고 한단다. 그러니까 말 한 마디에는 세 가지 뜻이 있어. 겉뜻·속뜻·참뜻. 너희는 세 가지 뜻을 나란히 읽니? 다 느끼고 살피니? 겉뜻에서 맴도니? 속뜻까지는 느끼니? 참뜻을 알아차리면서 새로 이야기를 하니? 사람살이를 보면, 거의 몽땅 ‘겉뜻 나누기’를 하더구나. 이어가려는 말이 아닌 시키는 말에 그치고, 잇는 마음이 아닌 누르는 말에 머물고, 일구는 사랑이 아닌, 밀어붙이거나 몰아세우는 말이 넘치고, 반짝반짝 생각을 일으키는 말이 아닌 차갑게 내치는 말에 갇히더구나. 겉뜻만 나누기에 사람들은 스스로 겉치레(허울)로 휩쓸리고 흔들려. 적어도 속뜻을 펴야 할 텐데, 속뜻을 사랑으로 가꾸지 않으면 미움씨앗이나 불씨앗으로 치달아. 서로 살리면서 만나려면 이야기를 이룰 참뜻이 피어나는 말을 고르고 품으면서 쓸 수 있어야 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볕살에는 2023.10.20.쇠.



볕이 있기에 누에가 고치를 틀고서 실을 베풀어. 누에실(비단)이란, 누에가 온몸으로 실을 뱉어서 고치를 틀기까지 머금은 ‘뽕잎’이야. 뽕잎은 뭘까? 뽕나무가 볕바른 터에서 해와 바람과 비를 흙에 뿌리내리고서 받아들인 모든 푸른 기운이지. ‘해바람비’는 ‘흙’이랑 ‘풀벌레노래’를 머금고서 푸른잎으로 돋아나. 푸른잎을 누에 애벌레가 갉는 동안, 누에 온몸은 풀빛이 넘치고 ‘햇빛·바람빛·비빛·흙빛·풀벌레노래빛’이 고루 스며. 누에실(비단)로 짠 옷에는 바로 이 모든 기운이 서리지. ‘플라스틱으로 뽑은 실’로 짠 옷에는 무엇이 서릴까? ‘폴리에스테르 옷’에 해기운이나 바람기운이나 비기운이란 하나도 없겠지. 흙기운이나 풀벌레노래기운도 없을 테고. 오늘날 이 푸른별을 보면, ‘누에실옷’이나 ‘모시옷’이나 ‘솜실옷’이나 ‘삼베옷’을 두르는 사람이 드물구나. 다들 몸에 무엇을 걸치는 셈일까? 옷으로 몸을 돌보니? 오히려 옷으로 몸을 옥죄거나 억누르지 않니? 볕살에는 살림기운이 넘실거려. 너는 해바라기를 하며 볕살을 듬뿍 받을 적에 어쩐지 느긋하고 배부르다가 졸립게 마련이야. 볕살을 가득 받으면 왜 졸릴까? 너희 몸을 살찌워 일으킬 기운을 잔뜩 ‘먹었’으니 한동안 쉬고 싶어서 졸립단다. 볕살을 쬐며 낮잠이 들면, 너희 몸에 깃든 부스러기나 찌꺼기가 사르르 녹아. 그저 볕살로 배부르고, 그저 볕살로 몸을 튼튼히 가꾸지. 그러나 무엇이든 너무 먹으면 배앓이를 하니까, 볕살도 알맞게 누리고서 쉬엄쉬엄 하루를 살아야겠지. 너희는 ‘먹기’만 하려고 살아가는 몸이 아니니까, ‘볕살을 머금은 몸’으로 어떤 일이나 놀이를 즐겁고 아름답게 그리고 지으려는지 생각하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포도알 2023.10.21.흙.



포도알이 굵으면 알아보니? 알아보기에 손이 가니? 까마중알이 익으면 알아보니? 알아보기에 손이 가니? 줄기가 굵고 가지가 굵으면 포도알도 굵어. 굵게 오르면서 해바람비를 넉넉히 품는 포도나무는 사람뿐 아니라, 곰이며 숲짐승이며 새 모두한테 이바지해. 다들 조금씩 나누던 포도알이야. 그런데 어느새 숲에서 포도나무가 자취를 감추는구나. 누구나 알맞게 나누던 열매인데, 이제는 사람들이 혼자 다 누리려고 해. 게다가 사람들은 ‘사람과 숲짐승과 새’가 나란히 살던 들숲메에 금을 딱딱 긋고는, 땅을 돈으로 사고팔아. 개구리도 뱀도 사슴도 지렁이도 개미도 새도 여우도 범도 ‘누구 혼자 차지하는 땅’이 아닌, ‘누구나 실컷 누리되 누구나 고르게 살아온 땅’인데, 사람이 아니면 다 쫓아내고 죽이네. 보렴. 찻길을 늘리고 아파트를 올리려고 멀쩡한 숲을 밀고 멧골을 깎잖아. 나무한테는 묻지 않고, 쥐며느리하고 송사리한테도 묻지 않아. 푸른별이 아닌, 돈 하나만 쳐다보느라 마음이 메마르고 죽어가는 사람이야. 그렇기에 사람들은 자동차도 아무 데나 세우지. 이 큰 쇳덩이를 몰면 다 밀어붙여도 된다고 여기거든. 새는 다 죽어도 될까? 동물원에 가두고서 먹이만 주면 될까? 이제 사람들은 까마중을 안 찾으니, 숲짐승은 까마중만 먹으면 될까? 그런데 이 까마중마저 잡초로 여겨 다 뽑아버리지 않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