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15.


《남자가 울고 싶을 땐》

 존티 홀리 글·그림/김보람 옮김, 불의여우, 2019.9.16.



새벽 일찍 길을 나선다. 옆마을로 걸어갔고, 읍내에서 순천으로 넘어갔고, 부산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탄다. 사상나루에서 시내버스로 갈아탄다. 보수동 책골목에 내린다. 〈온달서점〉에 살짝 들른다. 책집 앞에 서서 책을 읽으니, 이 앞을 지나치려다가 문득 ‘책읽는 나’를 보고는 “우리도 여기서 책 좀 볼까?” 하면서 자그마치 열 몇 사람이 책손으로 드나들며 책을 산다. 어쩌다가 ‘책바람잡이’롤 한 셈이다. ‘부산근현대역사관’으로 간다. 《우리말꽃》을 놓고서 책수다를 편다. 어린이하고 어른이 고루 앉은 자리에서 글빛·글씨·글결·글길이 삶빛·삶씨·삶결·삶길로 피어나면 시나브로 살림빛·살림씨뿐 아니라 사랑결·사랑길로 번지는 수수께끼를 짚고 들려준다. ‘이레일(주7일노동)’을 하는 삶이기에 오늘이 무슨 날인 줄 몰랐는데 스승날이라고 한다. 《남자가 울고 싶을 땐》을 돌아본다. 울고 싶은 마음이란 무엇인지 부드러이 풀어내면서, 서로 즐겁게 어울리면서 사랑으로 깨어나는 하루를 어떤 눈빛으로 일굴 만한지 다룬다. 다만, 책이름은 워낙 “Big Boys Cry”이다. “큰아이가 울다”쯤으로 붙이면 한결 나았겠지. 어른도 아버지도 아저씨도, 얼마든지 울음을 지으면서 환하게 피어나고 사랑을 노래하며 반짝인다.


#BigBoysCry #JontyHowley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14.


《모험 에레키테 섬 2》

 츠루타 겐지 글·그림/오주원 옮김, 세미콜론, 2018.7.15.



‘학교밖 청소년센터’에 다녀오는 날이다. 집에서 스스로 배움길을 나아가는 어린이·푸름이는 꼬박꼬박 ‘입학유예신청서’를 쓰고 ‘가정 내 아동학대가 없음’을 밝히려고 나들이를 해야 한다. 이른바 ‘감시’일 텐데, 나라(정부·교육부)에서는 ‘감시’만 할 뿐, 이 아이들한테 배움이바지를 하나도 안 한다. 세 사람이 고흥읍 ‘고흥청소년센터’에 찾아오는데, 시골 아이들이 ‘군립도서관’이며 여기저기에서 손전화로 누리놀이를 하며 허벌나게 시끄럽고 막짓을 하고, 말리는 어른은 아무도 없고, 무엇보다 시골 아이들 스스로 ‘도서관’이라는 데에서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하나도 살피지 않는다. 《모험 에레키테 섬 2》을 읽어 보았다. 첫걸음과 매한가지로 따분하다. 츠루타 겐지라는 분은 ‘가는 끈 두벌옷(투피스)’을 그리고 싶은 셈인가 한참 갸웃했다. 어떤 붓질이건 그림님 마음이요, 군립도서관 안팎에서 시끄럽게 떠들어도 아이들 마음이요, 떠드는 아이를 달래거나 가르치지 않는 벼슬꾼(공무원)도 그들 마음이겠지. 우리는 서로 무엇을 보여주거나 밝히면서 살아가는 하루일까? 배움돈(교육예산)은 어디에 어떻게 쓰는가? 새길(모험)이 무엇인지 잊고 잃은 마당에서는 붓도 종이도 집도 길도 어지럽기만 하다.


#つるたけんじ #鶴田謙二 #冒?エレキテ島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의 유혹 - 예술의 유혹 04 예술의 유혹 4
데이브 요라스 지음, 정주연 옮김 / 예담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이 사진책을 놓고

예전에 느낌글을 쓴 적이 있을 텐데

짤막하게 새로 써 본다.


..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6.27.

사진책시렁 140


《사진의 유혹》

 데이브 요라스

 정주연 옮김

 예담

 2003.5.25.



  똑바로 눈을 떠야 똑바로 봅니다. 손길도 발걸음도 몸짓도 똑바로 추스르면서 왼손하고 오른손을 나란히 다스려야 똑바로 짓습니다. 왼발과 오른발을 나란히 다독여야 똑바로 걷습니다. 새도 나비도 벌도 잠자리도 왼날개랑 오른날개가 ‘똑같’습니다. 어느 쪽이 조금이라도 크거나 작다가는 못 날아요. 이와 달리 사람살이에서는 자꾸 왼쪽하고 오른쪽이 다투거나 싸우거나 겨뤄야 한다고 잘못 여기는 목소리가 늘어납니다. 왼오른이 싸워야 할 까닭이 없고, 순이돌이(여성·남성)가 다퉈야 할 일이 없습니다. 다른 둘은 서로 다른 줄 알아보고 깨달으면서 어깨동무를 할 적에 아름답고 나란합니다. 어깨동무를 안 하면서 괴롭히거나 밟거나 깔보기에, 그만 서로서로 다치고 죽어요. “a Crash Course In Photography”를 옮긴 《사진의 유혹》입니다. 빛꽃을 잘 모를 어린이한테도 쉽게 풀어내려고 여민 길잡이책인데, 뜬금없이 ‘유혹’이란 한자말을 끼워넣었습니다. “사진을 배우자!”라든지 “사진 좀 배우자!”쯤으로 옮겨야 알맞겠지요. 참말로 우리는 배울 노릇입니다. 왼쪽은 오른쪽을 배우고, 오른쪽은 왼쪽을 배워야지요. 순이는 돌이를 배우고, 돌이는 순이를 배울 노릇입니다. 배우지 않으니 엉터리일 뿐 아니라 막말과 막짓을 일삼습니다. 안 배우기 때문에 자꾸 허수아비(우상)를 세우며 스스로 망가집니다.


#aCrashCourseInPhotography 2000년

#DaveYorath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서 가장 예쁜 고양이 카이
이와고 히데코 지음, 구혜영 옮김, 이와고 미츠아키 사진 / 동쪽나라(=한민사)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이 사진책을 놓고서

아마 2014년에 느낌글을 쓴 적 있는데,

짤막하게 새로 써 본다.

사진이란 대단하지 않은 줄

이웃님이 느끼시기를 바라면서.


..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6.27.

사진책시렁 132


《세상에서 가장 예쁜 고양이 카이》

 이와고 미츠아키 사진

 이와고 히데코 글

 구혜영 옮김

 동쪽나라

 2003.9.10.



  잘 찍으려고 용쓰면 잘 못 찍게 마련입니다. 잘 쓰려고 애쓰면 언제나 못 쓸 수밖에 없습니다. 잘 그리고 힘쓰면 거꾸로 못 그리다가 붓을 던질 테지요. 빛꽃도 글도 그림도 늘 같아요. ‘잘’이라는 마음을 씻어내고서 다가설 노릇입니다. “잘 찍기”를 바라는 마음이란, “남보다 낫기”를 바라는 뜻이요, “남하고 나를 견주어서, 남을 밑에 두고서 나를 위로 추키려는 굴레”를 스스로 세우는 셈입니다. 글을 쓰든 그림을 그리든, 남이 어떻게 쓰거나 그리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나는 내 삶을 쓰고 그리고 찍습니다. 너는 네 삶을 쓰고 그리고 찍어요. 오늘 하루를 내 눈으로 보고 내 귀로 듣고 내 몸으로 겪어서 내 마음으로 담으면 ‘빛꽃·글·그림’ 모두 그저 아름답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예쁜 고양이 카이》는 “가장 예쁜”까지일 수는 없으나, 찰칵 담는 자리에서 늘 “가장 눈부시구나!” 하고 느낄 적에 웃고 울면서 마음을 나누는 길이 무엇인지 들려줍니다. 대단한 고양이를 찍기에 대단한 빛꽃을 얻지 않습니다. 글이름이 대단한 분이 썼기에 대단할 글일까요? 아닙니다. 높거나 낮은 글이란 없고, 낮거나 높은 빛꽃이란 없어요. 사랑으로 마주하기에 사랑으로 찍습니다. 사랑이 없이 쓰니까 사랑이 없는 채 허울스런 글입니다.


##岩合光昭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마쓰 쇼메이 Tomatsu Shomei 열화당 사진문고 4
이안 제프리 지음, 최봉림 옮김, 도마쓰 쇼메이 사진 / 열화당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6.27.

사진책시렁 148


《열화당 사진문고 : 도마쓰 쇼메이》

 도마쓰 쇼메이 사진

 이안 제프리·최봉림 글

 열화당

 2003.3.1.



  눈여겨볼 빛그림과 눈여겨볼 만하지 않은 빛그림은 아주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스스로 삶을 짓고 살림을 가꾸며 사랑을 편 하루를 보내면서 문득 찰칵 눌러서 담은 빛그림이라면, 누가 찍은 어떤 모습이건 눈여겨볼 만합니다. 이와 달리, 삶짓기·살림가꿈·사랑펴기하고 동떨어진 채 찰칵찰칵 눌러대었으면, 누가 찍은 어떤 모습이건 굳이 눈여겨볼 일이 없습니다. 글은 ‘글이름’으로 안 쓰고 안 읽습니다. 그림은 ‘그림이름’으로 안 그리고 안 봐요. 빛그림이라고 다를까요? 《열화당 사진문고 : 도마쓰 쇼메이》를 보면서 돌아봅니다. 도마쓰 쇼메이라는 분이 “못 찍은 빛그림”은 아닐 테지만, 어떤 하루와 마음과 눈길이었을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느 빛꽃님을 ‘뛰어나다(대가)’라고 추켜세우면서 잔뜩 풀이말(사진 해설)을 붙여야 한다면, ‘사진평론가가 풀이한 대로 똑같이 추켜세우기만 하라’는 닫힌 담벼락 같습니다. 앞으로도 찰칵찰칵 찍는 사람은 있을 테지만, 이제는 굳이 ‘사진가’를 들출 수 없는 때라고 느낍니다. 삶을 담고 살림을 노래하고 사랑을 나누지는 않으면서 ‘사진상’을 받거나 ‘사진전시’를 하는 이들을 ‘사진가’라고 한다면, 이 나라 빛꽃밭(사진계)은 그 나물에 그 밥인 끼리잔치로 맴돌겠지요.


#東松照明 #IanJeffrey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