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15.


《남자가 울고 싶을 땐》

 존티 홀리 글·그림/김보람 옮김, 불의여우, 2019.9.16.



새벽 일찍 길을 나선다. 옆마을로 걸어갔고, 읍내에서 순천으로 넘어갔고, 부산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탄다. 사상나루에서 시내버스로 갈아탄다. 보수동 책골목에 내린다. 〈온달서점〉에 살짝 들른다. 책집 앞에 서서 책을 읽으니, 이 앞을 지나치려다가 문득 ‘책읽는 나’를 보고는 “우리도 여기서 책 좀 볼까?” 하면서 자그마치 열 몇 사람이 책손으로 드나들며 책을 산다. 어쩌다가 ‘책바람잡이’롤 한 셈이다. ‘부산근현대역사관’으로 간다. 《우리말꽃》을 놓고서 책수다를 편다. 어린이하고 어른이 고루 앉은 자리에서 글빛·글씨·글결·글길이 삶빛·삶씨·삶결·삶길로 피어나면 시나브로 살림빛·살림씨뿐 아니라 사랑결·사랑길로 번지는 수수께끼를 짚고 들려준다. ‘이레일(주7일노동)’을 하는 삶이기에 오늘이 무슨 날인 줄 몰랐는데 스승날이라고 한다. 《남자가 울고 싶을 땐》을 돌아본다. 울고 싶은 마음이란 무엇인지 부드러이 풀어내면서, 서로 즐겁게 어울리면서 사랑으로 깨어나는 하루를 어떤 눈빛으로 일굴 만한지 다룬다. 다만, 책이름은 워낙 “Big Boys Cry”이다. “큰아이가 울다”쯤으로 붙이면 한결 나았겠지. 어른도 아버지도 아저씨도, 얼마든지 울음을 지으면서 환하게 피어나고 사랑을 노래하며 반짝인다.


#BigBoysCry #JontyHowley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