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371 | 1372 | 1373 | 137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중학성性일기 2
시모다 아사미 지음, 고현진 옮김 / 애니북스 / 2016년 2월
평점 :
품절


만화책 즐겨읽기 720


성교육을 학교한테만 맡기면 아이들은 모른다
― 중학性일기 2
 시모다 아시미 글·그림
 고현진 옮김
 애니북스 펴냄, 2016.2.22. 7500원


‘같은 반 여자애들과는 전혀 다르다. 하루빨리 유이에게 어울리는 성인 남자가 되고 싶다.’ (10∼11쪽)

“정자는 어떻게 암컷의 몸속에 들어가?” “어머, 얘가 무슨 소리를 하는 거야?” “오늘 비둘기가 교미하는 걸 봤는데, 반 친국가 송사리와는 하는 방법이 다르다고 해서.” “그러니까 왜 그런 얘기를?” “하지만.” “그런 건 학교에서 가르쳐 줄 거야!” (45쪽)

“이, 인간의 교미가 이렇게 음란한 거였어?” “아, 아마 그럴 거야. 하지만 중요한 일잉란 말이야!” (61∼62쪽)

‘아, 말하고 싶어! 요네다를 좋아한다고 지금 당장 말하고 싶어! 안 되겠다, 말할 거야!’ (151쪽)


  학교는 여럿이 모여서 배우는 곳입니다. 학교는 또래를 비롯해서 여러 나이가 어우러지면서 배우는 곳입니다. 학교라는 곳이 이 같은 얼거리하고 동떨어진다면, 아이들은 학교에서 못 배울 뿐 아니라, 학교를 다니는 하루가 고단한 짐이 됩니다.

  학교가 배우는 곳이기는 하되, 학교에서만 배울 수 없습니다. 어버이라면 아이한테 삶을 가르치고 사랑을 알려주는 슬기로운 마음을 학교한테만 떠넘길 수 없어요. 그러나 적잖은 어버이는 아이를 가르치는 살림을 응레 학교한테만 떠넘기곤 합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한테만 떠넘기기도 하지요. 이러다가 나중에는 사회나 나라한테 몽땅 떠넘기기도 하지요.

  어린이집을 비롯해서 학교나 나라가 제구실을 마땅히 해야 합니다. 다만 집 바깥을 이루는 사회가 제구실을 마땅히 해야 한다고 외치기 앞서, 우리가 살아가는 집에서 우리 스스로 제구실을 할 수 있어야 해요.

  만화책 《중학性일기》를 보면, 비둘기가 짝짓기하는 모습을 본 아이가 어머니한테 궁금한 대목을 여쭐 적에, 어머니가 제대로 대꾸하지 않으면서 학교한테 떠넘깁니다. 이때 아이는 어떻게 할까요? 궁금한 대목을 감추어야 할까요? 학교에 가서 교사한테 여쭈어야 할까요? 또는 동무한테 여쭈어야 할까요?

  아이는 학교에서 생물 수업으로 ‘교미’라는 한자말을 배웠습니다. 아이는 학교에서 성교육도 받을 테지요. 그러나 아이는 학교에서 ‘사랑’을 미처 못 배우는구나 싶습니다. 만화책 《중학性일기》에서 불거지는 이야기는 어쩌면 일본 몇몇 학교에서 불거진 이야기일 수 있지만, 가만히 살피면 한국도 엇비슷하다고 느껴요.

  저부터 돌아본다면, 제가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는 동안 학교에서 ‘사랑·살림·삶’을 슬기롭게 배운 적이 하루도 없습니다. 슬기롭지 않더라도 수수하게 배운 적조차 없어요. 남녀가 살을 섞는 일을 놓고서 ‘성교육’은 한두 번 하고 끝낼 뿐, 남녀이든 남남이든 여여이든 서로 사랑하는 숨결로 만나서 새로운 삶을 짓는 길을 일러주거나 밝히지 않았엉요.

  만화책 《중학性일기》는 바른 길을 보여준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이 만화책 한 가지는 아이들이 참말로 궁금해 한다는 대목을 잘 보여준다고 느낍니다. 아이들이 저마다 나름대로 궁금한 ‘사랑·성·성별·짝짓기·좋아하는 마음’을 맺고 풀면서 수수께끼를 하나하나 찾아가려고 하는 몸짓을 보여주는구나 싶어요.

  여느 집에서 수수한 어머니 아버지가 수수한 아이들한테 삶과 사랑과 살림을 먼저 슬기롭게 보여주고 가르칠 수 있어야지 싶어요. 학교도 입시공부나 교과진도를 좀 내려놓으면서 아이들하고 머리를 맞대어 슬기롭게 삶이며 사랑이며 살림을 이야기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17.9.18.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군내버스에서 읽은 책 2017.9.15.


진주마실을 하며 장만한 《박남준 시선집》을 군내버스에서 읽는다. 《박남준 시선집》은 얇다. 아주 가볍게 시를 느껴 보도록, 더없이 단출하면서 홀가분하게 시를 맛볼 수 있도록 엮었구나 싶다. 이 작은 시집 한 권은 참으로 작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서로 그리는 마음을, 서로 아끼는 마음을, 서로 노래하는 마음을 들려준다. 작은 시집 한 권으로도 마음을 넉넉히 다스리는 길을 찾아볼 수 있다면 삶도 살림도 새롭게 바라볼 수 있을 테지. 젊은 사내한테 총칼이 아닌 시집하고 호미를 쥐어 줄 수 있다면,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입시교육이 아닌 살림노래를 부르는 즐거운 이야기꽃을 가르칠 수 있다면, 나라는 저절로 아름답게 나아가리라. 구월이 깊으면서 군내버스에서 에어컨을 안 켜니 아주 좋다. 시집을 살며시 덮고 창바람을 쐬면서 두 눈을 감아 본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토의 비 오는 날 내 아이가 읽는 책 4
파멜라 R. 레비 그림, 나타샤 임 글, 김은정 옮김 / 제삼기획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놀고 함께 치우고 함께 살림해요

[내 사랑 1000권] 19. 나타샤 임·파멜라 T. 레비 《오토의 비 오는 날》


  사다리가 있으면 사다리를 타고 싶은 아이입니다. 외줄이 있으면 외줄을 밟고서 건너 보고 싶은 아이입니다. 곁에서 어른들이 하는 모든 일을 눈여겨보고는 따라서 해 보고 싶은 아이입니다.


  아이는 스스로 무엇을 잘 하거나 못 하는가를 헤아리지 않습니다. 여러 어른들이 다 하니까 저도 이럭저럭 할 만하리라 여깁니다. 즐겁게 맞아들여서 신나게 해 보려고 하지요.


  눈이 오는 날 눈밭에서 뒹굴며 노는 아이는 추위를 잊습니다. 비가 오는 날 웅덩이를 첨벙거리며 노는 아이는 온몸이 젖어도 하나도 안 느낍니다. 아이는 늘 놀이를 하는 마음 하나를 느껴요. 온몸을 움직이면서 온마음을 쏟는 놀이 한 가지를 바라봅니다.


  그런데 어른은 으레 바빠요. 집에서는 집안일을 하느라 바쁘고, 집 바깥에서는 집밖일을 하느라 바쁘답니다. 어른은 아이하고 놀 틈을 못 내기 일쑤예요. 아이가 혼자서 놀기를 바라고, 아이가 다른 또래나 동무하고 놀기를 바라지요. 또는 아이를 학교나 시설이나 학원에 맡기고서 어른 스스로 할 일에만 온힘을 쏟고 싶기도 합니다.


  아이는 어떤 마음일까요? 아이는 어버이가 학교에 가라 하니까 갈 뿐이지 않을까요? 아이는 어버이가 스스로 가르쳐 주겠노라 말하면 기쁘게 배우지 않을까요? 아이는 어버이가 함께 놀자고 부르면 활짝 웃음꽃을 피우지 않을까요?


  그림책 《오토의 비 오는 날》에는 어머니하고 아이가 나옵니다. 아이는 비가 오는 날 놀고 싶은데, 어머니는 비가 오건 말건 맡아서 할 일을 코앞에 두고서 끙끙거립니다. 아이는 아직 혼자 밖에서 놀 만한 나이가 아닙니다. 게다가 도시라면 아이를 섣불리 바깥에 내보낼 수 없을 테고요. 어버이는 아이 마음을 얼마나 읽을 수 있을까요? 우리 어른들은 일을 왜 할까요? 우리 어른들은 일하느라 바쁜 나머지 아이하고 어울릴 틈이 없고, 아이한테 놀이를 물려주지 못하고, 아이하고 웃음을 짓는 하루를 누리지 못한다면, 아이 마음에서 어떤 씨앗이 싹틀 수 있을까요? 함께 놀고, 함께 치우고, 함께 살림하고, 함께 쉬기에 보금자리입니다. 2017.9.16.흙.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넋/삶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호의 옷감 - 생활 고구려 이야기 그림책
김해원 지음, 김진이 그림 / 창비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744



사랑 담아 고이 물들인 옷 한 벌
― 매호의 옷감
 김해원 글
 김진이 그림
 창비 펴냄, 2011.11.1. 12000원


지밀이가 문을 빠끔히 열고 말했어.
“이제 어머니한테 길쌈 배우느라 너하고 못 놀아.”
매호는 아무 말도 못 하고 텅 빈 마당만 바라보았어.
마당에는 달가닥달가닥 옷감 짜는 소리만 맴돌았지. (7쪽)


  우리는 옷을 입습니다. 어른도 아이도 옷을 입습니다. 아기는 갓 태어날 적에 맨몸이에요. 아기만 처음에 옷을 안 입은 채 우리한테 찾아옵니다. 그런데 어버이는 아기한테 입힐 배냇저고리를 마련해요. 맨몸으로 태어난 아기는 어버이가 사랑으로 지은 첫 옷인 배냇저고리를 몸에 두르면서 따스하구나 포근하구나 좋구나 살갑구나 하고 느낍니다.


지밀이도 자기가 지은 실이나 옷감을 꼭 매호에게 맡겼어.
매호는 지밀이 것은 더 정성스럽게 물들이고도, 말은 퉁명스럽게 이러지 뭐야.
“공 잘 찬다고 손 솜씨가 좋은 건 아니더라.”
지밀이가 눈을 흘겼어.
“칠석날 길쌈 겨룰 때 봐. 내가 으뜸일 테니.” (11쪽)


  우리는 옷을 언제부터 입었을까요? 우리는 옛날 옛적에 어떤 옷을 입었을까요? 요즈음은 옷집에 들러 옷을 돈을 치러서 장만할 수 있습니다. 길쌈이나 베틀이나 실잣기나 모싯잎 들을 하나도 모르더라도 얼마든지 옷을 장만하여 입을 수 있어요. 실을 한 올씩 짓지 않아도 옷을 입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값싸고 수월하게 얻을 수 있는 옷이 참으로 많아요. 알록달록 이쁜 옷에다가 눈부신 옷도 있어요.

  지난날 고려라는 때에는, 고구려라는 때에는, 옛조선이라는 때에는, 또 나라로 적바림되지 않은 더 아스라이 먼 옛날에는 저마다 어떤 옷을 입었을까 하고 가만히 그리면서 그림책 《매호의 옷감》(창비,2011)을 읽어 봅니다. 이 그림책 숱한 옛사람 옷살림 가운데 고구려 옷살림을 다루어요. 고구려 옷살림 가운데에서 수수한 사람들 옷살림을 다루고, 이 가운데에서도 ‘수수한 옷에 물을 들이는 손길’을 다룹니다.


매호는 밤마다 지밀이에게 줄 옷감을 물들였어
꼭두서니로 꽃보다 붉은 색을
쪽으로 하늘보다 파란 색을
치자로 달님보다 노란 색을 물들였지.

하지만 아무래도 성에 차지 않았어.
“이런 빛깔은 흔하잖아.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걸 만들어야 해.” (20∼21쪽)


  꼭두서니나 쪽이나 치자는 풀입니다. 들에서 흔하게 자라는 풀이에요. 옛사람은 흔한 들풀 가운데 천에 물을 들여서 곱게 누릴 만한 들풀이 무엇인지 알아냈어요. 꼭두서니물을, 쪽물을, 치자물을 다 다르면서 새로운 빛깔로 태어나는 결을 알아챘어요.

  옛사람은 옷이 되는 실도 풀에서 얻었습니다. 풀줄기를 가르고 다듬고 손질해서 실을 얻었고, 이를 물레로 잣고 베틀을 밟아서 천으로 짰어요. 옛날 옛적에는 모든 사람이 들풀을 잘 알고 다룰 줄 알아야 했어요. 그래야 저마다 옷을 지어서 입거든요. 그리고 옛날 옛적에는 모든 사람이 들풀이나 들열매를 제대로 알아야 땅을 일구거나 보금자리를 가꾸면서 먹을거리를 얻을 수 있었지요.


싸움터에 나가는 날, 매호는 그동안 물들인 옷감을 지밀이에게 주었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거야.”
매호는 그 말만 남기고 서둘러 길을 떠났어.
지밀이는 매호의 뒷모습을 하염없이 바라보았지. (25쪽)


  그림책 한 권은 먼먼 옛날 어느 고장에서 옷감을 물들이던 사내하고 베틀을 밟던 가시내 사이에 애틋한 마음이 흘렀으리라 하는 생각을 그려서 보여줍니다. 우리는 그 옛날 사람들 사이에 어떤 이야기나 살림이나 삶이 있었는지 알기가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오늘이나 옛날이나 사람들은 옷을 입었어요. 저마다 사랑을 담아 옷감을 다루어 옷을 지었어요. 서로서로 사랑을 주고받으면서 옷을 입었어요.

  가볍거나 손쉽게 돈만 치르면 사서 입는 옷이 아닌, 마음을 담아서 알뜰히 건사하고 살뜰히 보듬은 옷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옷살림이에요. 옷 한 벌을 고이 아껴요. 옷 한 벌을 지은 사람이 어떤 땀을 어떤 손길로 흘리면서 지었는가를 돌아보아요. 옷을 고이 차려입은 곁님이나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어버이로서 빙그레 웃음을 지어요.

  고구려 이야기 《매호의 옷감》을 읽으면서 새삼스레 앞으로 다가올 즈믄 해 살림을 그려 봅니다. 앞으로 서기 3000년 즈음이 된다면, 그때 뒷사람은 2000년대 오늘날 우리 옷살림을 놓고서 어떤 이야기를 붙여서 헤아려 줄까요? 오늘 우리가 즐기거나 나누는 옷살림은 먼먼 뒷사람한테 어떤 그리움이나 사랑으로 읽힐 수 있을까요? 2017.9.14.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시외버스에서 읽은 책 2017.9.13.


서울에서 두 군데 출판사에 들러 책을 산다. 서울서 진주로 가려는데, 진주에 닿아 만날 분한테 선물로 드리려고 책을 산다. 이 책 저 책 챙기다 보니 가방이 묵직하다. 시외버스가 이 짐을 잘 실어 주겠지. 19시 30분 진주 가는 시외버스표를 미리 끊고 고속버스역에 닿는다. 버스역 맞이방에서 기다리려다 보니 19시 5분 버스에 아직 자리가 있다. 어라? 삼십 분 더 일찍 갈 수 있나? 표파는곳에 여쭈니 자리가 있단다. 얼른 표를 바꾼다. 맨 앞자리를 얻어서 앉는다. 가방을 모두 풀어 내려놓고서 노래를 듣는다. 눈가리개를 하고서 한참 노래만 들으며 몸을 쉰 다음에 《시인의 마을》을 손에 쥔다. 나한테 “시인의 마을”이란 이름은 정태춘·박은옥 두분이 부른 노래에 붙은 이름인데, 이 이름으로 책이 한 권 태어났다. 시인이 사는 마을, 시인이 사랑하는 마을, 시인이 그리는 마을, 시인이 머물다 간 마을, 시인이 태어난 마을, 시인이 자란 마을, 시인이 그리는 이웃님이 살아가는 마을 …… 수많은 마을이 있다. 수많은 마을에는 수많은 사람이 저마다 다르게 보금자리를 가꾸면서 삶을 짓는다. 이렇게 지은 삶에서 저마다 다른 이야기가 싹이 트고, 이 다른 이야기를 시인이 살며시 들여다보더니 살그마니 시 한 줄로 옮긴다. ‘시인마을’이란 시인이 살거나 좋아하는 마을일 수 있으면서, 시가 태어나는 마을이요 시가 샘솟는 마을이다. 시가 태어나고 시가 흐르며 누구나 시인이 되어 살아가는 마을이라면, 더없이 아름답고 평화로우리라. 마을은 시인마을 되고, 나라는 시인나라 되어, 이 지구라는 별이 시인별, 이른바 ‘노래별’로 거듭나기를 빈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371 | 1372 | 1373 | 137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