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호의 옷감 - 생활 ㅣ 고구려 이야기 그림책
김해원 지음, 김진이 그림 / 창비 / 2011년 11월
평점 :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744
사랑 담아 고이 물들인 옷 한 벌
― 매호의 옷감
김해원 글
김진이 그림
창비 펴냄, 2011.11.1. 12000원
지밀이가 문을 빠끔히 열고 말했어.
“이제 어머니한테 길쌈 배우느라 너하고 못 놀아.”
매호는 아무 말도 못 하고 텅 빈 마당만 바라보았어.
마당에는 달가닥달가닥 옷감 짜는 소리만 맴돌았지. (7쪽)
우리는 옷을 입습니다. 어른도 아이도 옷을 입습니다. 아기는 갓 태어날 적에 맨몸이에요. 아기만 처음에 옷을 안 입은 채 우리한테 찾아옵니다. 그런데 어버이는 아기한테 입힐 배냇저고리를 마련해요. 맨몸으로 태어난 아기는 어버이가 사랑으로 지은 첫 옷인 배냇저고리를 몸에 두르면서 따스하구나 포근하구나 좋구나 살갑구나 하고 느낍니다.
지밀이도 자기가 지은 실이나 옷감을 꼭 매호에게 맡겼어.
매호는 지밀이 것은 더 정성스럽게 물들이고도, 말은 퉁명스럽게 이러지 뭐야.
“공 잘 찬다고 손 솜씨가 좋은 건 아니더라.”
지밀이가 눈을 흘겼어.
“칠석날 길쌈 겨룰 때 봐. 내가 으뜸일 테니.” (11쪽)
우리는 옷을 언제부터 입었을까요? 우리는 옛날 옛적에 어떤 옷을 입었을까요? 요즈음은 옷집에 들러 옷을 돈을 치러서 장만할 수 있습니다. 길쌈이나 베틀이나 실잣기나 모싯잎 들을 하나도 모르더라도 얼마든지 옷을 장만하여 입을 수 있어요. 실을 한 올씩 짓지 않아도 옷을 입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값싸고 수월하게 얻을 수 있는 옷이 참으로 많아요. 알록달록 이쁜 옷에다가 눈부신 옷도 있어요.
지난날 고려라는 때에는, 고구려라는 때에는, 옛조선이라는 때에는, 또 나라로 적바림되지 않은 더 아스라이 먼 옛날에는 저마다 어떤 옷을 입었을까 하고 가만히 그리면서 그림책 《매호의 옷감》(창비,2011)을 읽어 봅니다. 이 그림책 숱한 옛사람 옷살림 가운데 고구려 옷살림을 다루어요. 고구려 옷살림 가운데에서 수수한 사람들 옷살림을 다루고, 이 가운데에서도 ‘수수한 옷에 물을 들이는 손길’을 다룹니다.
매호는 밤마다 지밀이에게 줄 옷감을 물들였어
꼭두서니로 꽃보다 붉은 색을
쪽으로 하늘보다 파란 색을
치자로 달님보다 노란 색을 물들였지.
하지만 아무래도 성에 차지 않았어.
“이런 빛깔은 흔하잖아.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걸 만들어야 해.” (20∼21쪽)
꼭두서니나 쪽이나 치자는 풀입니다. 들에서 흔하게 자라는 풀이에요. 옛사람은 흔한 들풀 가운데 천에 물을 들여서 곱게 누릴 만한 들풀이 무엇인지 알아냈어요. 꼭두서니물을, 쪽물을, 치자물을 다 다르면서 새로운 빛깔로 태어나는 결을 알아챘어요.
옛사람은 옷이 되는 실도 풀에서 얻었습니다. 풀줄기를 가르고 다듬고 손질해서 실을 얻었고, 이를 물레로 잣고 베틀을 밟아서 천으로 짰어요. 옛날 옛적에는 모든 사람이 들풀을 잘 알고 다룰 줄 알아야 했어요. 그래야 저마다 옷을 지어서 입거든요. 그리고 옛날 옛적에는 모든 사람이 들풀이나 들열매를 제대로 알아야 땅을 일구거나 보금자리를 가꾸면서 먹을거리를 얻을 수 있었지요.
싸움터에 나가는 날, 매호는 그동안 물들인 옷감을 지밀이에게 주었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거야.”
매호는 그 말만 남기고 서둘러 길을 떠났어.
지밀이는 매호의 뒷모습을 하염없이 바라보았지. (25쪽)
그림책 한 권은 먼먼 옛날 어느 고장에서 옷감을 물들이던 사내하고 베틀을 밟던 가시내 사이에 애틋한 마음이 흘렀으리라 하는 생각을 그려서 보여줍니다. 우리는 그 옛날 사람들 사이에 어떤 이야기나 살림이나 삶이 있었는지 알기가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오늘이나 옛날이나 사람들은 옷을 입었어요. 저마다 사랑을 담아 옷감을 다루어 옷을 지었어요. 서로서로 사랑을 주고받으면서 옷을 입었어요.
가볍거나 손쉽게 돈만 치르면 사서 입는 옷이 아닌, 마음을 담아서 알뜰히 건사하고 살뜰히 보듬은 옷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옷살림이에요. 옷 한 벌을 고이 아껴요. 옷 한 벌을 지은 사람이 어떤 땀을 어떤 손길로 흘리면서 지었는가를 돌아보아요. 옷을 고이 차려입은 곁님이나 아이들을 바라보면서 어버이로서 빙그레 웃음을 지어요.
고구려 이야기 《매호의 옷감》을 읽으면서 새삼스레 앞으로 다가올 즈믄 해 살림을 그려 봅니다. 앞으로 서기 3000년 즈음이 된다면, 그때 뒷사람은 2000년대 오늘날 우리 옷살림을 놓고서 어떤 이야기를 붙여서 헤아려 줄까요? 오늘 우리가 즐기거나 나누는 옷살림은 먼먼 뒷사람한테 어떤 그리움이나 사랑으로 읽힐 수 있을까요? 2017.9.14.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그림책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