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군내버스에서 읽은 책 2017.10.26.


그제에 이은 읍내마실. 그제 못 부친 책을 오늘 부치려고 한다. 큰아이는 만화책 《미스터 초밥왕》을 챙기고, 나는 《김성현이 들려주는 참 쉬운 새 이야기》를 챙긴다. 두 사람은 군내버스에서 저마다 좋아하는 책을 읽는다. 마을 앞에서 고흥읍까지 20분 길이지만 이동안 책을 꽤 많이 읽을 수 있다. 어느 날에는 시집 한 권을 통째로 다 읽기도 한다. 흔들거리는 버스라서 책을 못 읽지 않는다. 20분이라서 너무 짧지 않다. 오직 손에 쥔 책에만 모든 마음을 쏟아서 들여다보면 버스가 흔들거리거나 말거나 못 느끼고, 버스 일꾼이 라디오를 크게 틀었는지 대중노래를 크게 틀었는지 하나도 안 듣는다. 다시 말해서 흔들리는 버스에서 책을 읽더라도 눈을 버리지 않을 수 있다. 불빛이 어둡다는 생각을 하면 그저 어둡고, 자꾸 흔들려서 글씨도 흔들려 보인다고 여기면 글씨도 흔들려 보인다. 가만히 돌아보면 나는 고등학교 1학년 무렵에 비로소 책에 눈을 뜨는데, 이때에는 학교에서 교과서 공부를 하랴 바쁘고, 대학입시 공부를 따로 하느라 몹시 벅찼다. 이러는 동안 틈을 내어 ‘교과서랑 시험문제’ 아닌 이야기를 다룬 책을 펼치기란 아주 어렵다. 교과서나 참고서 아닌 책을 책상맡에 펼쳐서 읽다가는 자칫 교사한테 빼앗기기도 한다.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버스로 집부터 학교까지 40분 걸리는 길에 새벽이며 밤이며 책을 읽었고, 버스에서 내려 학교로 걸어가는 20분 길에도 책을 읽었다. 학교를 마치고 버스 타는 곳으로 가는 길에도 길가 등불에 기대어 책을 읽었고, 토요일에 드디어 책방마실을 할 수 있을 적에도 학교부터 동인천까지 한 시간 즈음 걸어가면서 책을 읽었다. 이렇게 한 해 두 해 지내다 보니 아무리 흔들리는 곳에서도 책을 잘 잡고서 마음껏 읽을 수 있다. 그나저나 《김성현이 들려주는 참 쉬운 새 이야기》는 대단히 잘 나온 책이다. 두 권을 장만해서 한 권은 내가 보는 책으로 삼고, 다른 한 권은 큰아이가 따로 혼자 보는 책으로 삼기로 한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아, 돌아와! 단짝 친구 오리와 곰 시리즈 3
조리 존 글, 벤지 데이비스 그림, 이순영 옮김 / 북극곰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770


너는 나한테, 나는 너한테, 서로 마음동무
― 곰아, 돌아와!
 조리 존 글·벤지 데이비스 그림/이순영 옮김
 북극곰, 2017.9.21. 15000원


  시골에는 아이가 적습니다. 앞으로도 시골은 아이가 더 줄어들 수 있어요. 이와 달리 서울은 사람도 많고 아이도 많지요. 새로 태어나는 아이가 줄어든다고 하지만 서울처럼 커다란 도시에는 아이가 대단히 많아요. 시골에서 아이가 줄어드는 흐름하고 다르게 서울에서는 아이가 늘어나는 흐름이 된다고 느껴요.

  서울에는 놀이터도 많고 즐길거리가 많아요. 비록 서울이 건물로 빽빽하다지만 곳곳에 작은 숲이나 쉼터가 있어요. 이와 달리 시골에는 아이들 놀이터가 거의 없다시피 하고, 시골에 사람이 줄면서 빈터나 숲에 커다란 발전소나 송전탑이나 공장이나 짐승우리가 들어서곤 합니다. 오늘날에는 오히려 시골 아이가 도시 아이보다 숲이나 들을 누리기 어려울는지 몰라요.

  자, 그렇다면 생각해 볼 일이에요. 아이들이 또래 동무를 사귀려면 시골을 떠나서 서울로 가야 할까요? 시골에는 또래 동무가 드물거나 아예 없기 일쑤이니, 아이들은 시골에서 동무를 못 사귄다고 할 만할까요?


곰이 낚시를 갔다고?
다음 주에나 온다고?
곰이 낚시를 갔다니!
게다가 다음 주에나 온다니!
곰이 낚시를?
나 없이?
다음 주에나 온다고?
낚시라니!
그럼 난 뭐 하지? (5∼6쪽)


  그림책 《곰아, 돌아와!》를 읽으면서 동무란 어떤 사이인가 하고 새롭게 돌아봅니다. 이 그림책에는 책이름에 나오듯이 ‘곰’이 나와요. 여기에 ‘오리’가 나오지요. 곰하고 동무로 지내는 오리입니다. 오리하고 동무로 지내는 곰이지요.

  어찌 보면 뜬금없는 동무 사이일 수 있어요. 곰하고 오리가 동무라니, 하면서 버럭 소리를 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번 생각해 봐요. 그림책에서뿐 아니라 참말로 곰하고 오리는 동무로 지낼 수 있어요. 여우하고 오리도, 오리하고 두더지도, 참말 서로 아끼거나 좋아하는 사이로 지낼 수 있습니다.

  사람으로 본다면, 한국 아이하고 일본 아이가 어깨동무할 수 있어요. 러시아 아이하고 미국 아이가 어깨동무할 수 있지요. 태국 아이하고 칠레 아이가 어깨동무를 할 만해요. 핀란드 아이하고 베트남 아이가 얼마든지 어깨동무를 합니다.


책이나 읽지 뭐.
아니야, 요리를 하는 거야.
아니야, 편지를 쓸까?
아니야, 드럼 치자.
아니야, 영화 볼까?
어니야, 책 읽을까?
이건 아까 한 거 같지?
아휴, 아무것도 하기 싫어. 곰 보고 싶다. (11∼13쪽)


  서로 마음으로 아낄 수 있다면 동무가 된다고 느껴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살더라도 마음으로 아끼기에 동무이지 싶어요. 바로 맞닿은 옆집에 살더라도 마음이 안 맞으면 동무가 안 되어요. 이때에는 이웃조차 안 될 테지요.

  비록 오늘날에는 시골이라는 터전에 아이들이 대단히 적거나 아예 없기까지 한 마을이 많습니다만, 시골 아이는 마음으로 만나는 동무를 사귈 수 있어요. 한국 시골에서 중국 시골 아이를 사귄다든지, 네팔 시골 아이를 사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이를 넘어서는 동무 사이가 될 수 있어요.

  아이하고 할머니가 동무처럼 지낸다든지, 아이하고 아저씨가 동무처럼 어울릴 수 있어요. 함께 놀고, 함께 일하고, 함께 먹고, 함께 쉬고, 함께 가을바람을 쐬고, 함께 별잔치를 누리고, 함께 마실을 다니고, 함께 잠자리에 들면서 동무가 됩니다.


내가 할 일은 단 하나.
곰을 찾아가는 거야.
분명 내가 필요할 거야.
낚시 하면 나잖아?
나처럼 훌륭한 친구가 또 어딨어?
혼자 낚시하면 얼마나 심심한데.
게다가 비까지 오잖아.
곰을 찾자. 곰을 찾자.
더 어두워지기 전에 곰을 찾자. (18쪽)


  그림책 《곰아, 돌아와!》를 보면, 동무로 지내는 곰하고 오리라 하는데, 곰은 오리가 날마다 뻔질나게 찾아와서 살짝 귀찮다고 여겼대요. 그래서 곰은 오리를 한동안 안 만나고 싶어 말도 없이 혼자 먼 낚시마실을 떠났대요. 오리는 곰이 없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까마득했대요. 혼자서도 얼마든지 잘 놀고 잘 지낼 수 있노라 씩씩한 모습을 보이려 했대요. 곰도 혼자서 얼마든지 먼 마실을 잘 다녀올 수 있으리라 여겼대요.

  그러나 오리도 곰도 어느새 ‘빠진 무엇’을 느껴요. 더구나 곰은 혼자 먼 마실을 간 곳에서 허둥허둥 어찌할 바를 모릅니다. 오리는 곰한테 틀림없이 무슨 일이 생기리라 여기면서 곰을 찾아서 밤길을 나서요.

  곰하고 오리 사이에 맺고 푸는 이야기를 그림책으로 보면서 ‘동무란 언제나 마음으로 이어져서 서로 따사로이 아낄 수 있는 사이’라고 하는 대목을 곰곰이 되새깁니다. 시골에서 지내는 우리 집 아이들뿐 아니라, 숱한 아이가 복닥복닥하는 서울에서 사는 아이들도, 저마다 마음에 맞는 고운 동무를 사귈 수 있기를 바라요. 참말로 저마다 고운 동무를 하나씩 둘씩 사귀리라 생각합니다.

  더 많은 동무를 사귀지 않아도 되어요. 마음동무 하나면 돼요. 네가 나한테 마음동무가 되고, 나는 너한테 마음동무가 됩니다. 2017.10.30.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마당에서 읽은 책 2017.10.27.


어느덧 가을은 깊고, 찬바람을 슬슬 맞이할 때라고 느낀다. 아이들은 모두 긴옷차림이요, 나는 아직 반바지차림이다. 웃옷은 웬만하면 민소매이지만 요새는 더러 반소매를 입는다. 한낮에는 반소매차림도 살짝 덥다. 고흥이라는 남녘 날씨를 이 가을에 새삼스레 느낀다. 늦가을볕은 마루까지 스민다. 겨울볕은 마루를 지나 방까지 닿으려나. 볕바라기를 하려고 처마 밑 평상에 앉으면 한낮에는 땀이 살짝 돋기도 한다. 이런 볕이 곧 저물 테지만 겨울을 지나면 다시 따스한 볕으로 돌아오겠지. 그림책 《소니아 들로네》를 읽어 본다. 숱한 빛깔이 어떻게 어우러져서 온누리가 고울 수 있는가 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그래 빛깔이로구나. 철철이 빛깔이 다르다. 다달이 빛깔이 다르다. 날마다 빛깔이 다르다. 더군다나 새벽 아침 낮 저녁 밤에 따라 빛깔이 다르다. 한 해 가운데 빛깔이 같은 날은 없고, 우리 살림살이에서도 똑같은 모습으로 지내는 날이란 없다. 다 다른 날을 늘 새롭게 마주할 수 있는 삶이라면 스스로 기쁜 하루를 지을 수 있겠지. 이 그림책을 펼칠 우리 아이들이 기쁨이란 빛깔하고 노래하는 빛깔하고 꿈꾸는 빛깔을 가슴에 고이 품을 수 있으면 좋겠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버트 카파, 사진가
플로랑 실로레 지음, 임희근 옮김 / 포토넷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이 비로소 널리 퍼지던 무렵 유럽에 전쟁 불길이 치솟았다. 왜 싸우고 왜 죽일까? 왜 평화 아닌 총칼로, 왜 따스한 웃음 아닌 슬픈 아픔이 넘쳐야 할까? 로버트 카파는 게르다한테 사진을 가르치고서, 게르다한테서 사랑을 배웠다. 그러나 혼자서는 삶을 가슴에 담을 수 없어 헤매고 떠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밥하면서 읽는 책 2017.10.28.


하룻밤 바깥일을 보고 와서 온몸이 찌뿌둥하다. 집에서 가까운 곳에 다녀왔다고 할 테지만, 시골에서는 이웃 면으로 일을 다녀와도 참으로 멀다. 하룻밤 바깥일을 보는 동안 다른 사람이 해 주는 밥을 먹는데 어쩐지 나는 ‘남이 해 주는 밥’은 손이 안 간다뿐 맛있다고 느끼지 못한다. 손이 가더라도 내 밥은 늘 스스로 지어서 먹을 적에 가장 홀가분하면서 맛있다고 느낀다. 더욱이 우리 집에서는 누런쌀로만 밥을 먹는데, 바깥에서는 거의 모든 곳에서 흰쌀로만 밥을 주니, 흰쌀밥을 먹을 적에 속이 더부룩하기도 하다. 그렇지만 앞으로는 스스로 생각을 고쳐야겠지. 집에서만 살지 않고 때로는 바깥마실을 다닐 테고, 반가운 이웃님이 계신 다른 고장을 다니다 보면 바깥밥을 먹을 텐데, 모든 밥을 기쁨하고 고마움하고 사랑으로 받아들이는 마음으로 거듭나야지. 그나저나 바깥일을 마치고 집에 왔으나 밥이 없으니 라면을 끓인다. 라면을 끓여서 먹는 동안 만화책 《고양이 노트》 첫째 권을 읽는다. 겉그림을 보면 새끼 고양이가 연필을 깎는 모습이 나온다. 무척 남다르며 재미있으리라 여기면서도 첫째 권만 장만했다. 첫째 권을 다 읽고서 다음 권도 장만할는지 생각하기로 한다. 그런데 몇 쪽 읽을 무렵 ‘뒤엣권까지 몽땅 장만할걸’ 하는 생각이 든다. 아름답구나. 졸립고 고단한 몸으로 라면을 먹으며 만화책을 읽다가 몇 차례나 눈물바람이 된다. 끝까지 다 읽고, 라면 한 그릇 다 비운 뒤, 밀린 설거지를 말끔히 끝내고 이부자리에 벌렁 드러눕는다. 아, 꿈을 꾸자.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