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순이 어디 가니 - 봄 도토리 계절 그림책
윤구병 글, 이태수 그림 / 보리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4.

그림책시렁 1430


《우리 순이 어디 가니》

 이태수 그림

 윤구병 글

 보리

 1999.3.30.



  둘레 일곱 마을까지 통틀어 ‘아이가 하나조차 없는’ 시골에 2011년부터 깃들어서 열네 해가 지나는 동안 ‘아이를 데리고 시골로 살러 온’ 젊은 이웃을 본 적이 없습니다. 젊은 가시버시가 깃들어서 아기를 낳은 일조차 없습니다. 이미 다른 고을도 비슷합니다. 시골에서 들숲바다를 품으면서 고즈넉이 아이하고 온하루를 누리려는 꿈을 품는 젊은이가 매우 적습니다. “젊은이가 시골에 가서 뭘 먹고사느냐?” 하고들 걱정하지만, 오히려 시골에 일거리가 널렸습니다. 시골에 일거리가 안 널렸다면, 오늘날 웬만한 시골일을 이웃일꾼(이주노동자)이 거의 도맡을 까닭이 없습니다. 다만, 시골에서 아이를 낳고 느긋하면서 즐거이 살아가자면 “우리 땅(논밭·숲)”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빈집만 얻는대서 시골살이를 할 수 있지 않아요. 땅을 누려야 시골살림을 짓습니다. 《우리 순이 어디 가니》는 어느덧 사라지는 두멧자락 시골살이를 부드러이 보여줍니다. 누가 새롭게 그리거나 다시 그릴 수조차 없을 듯한 얼거리라고 느낍니다. 다만, 앞으로는 새살림과 새사랑을 새그림으로 엮을 일이지 싶어요. 할매할배가 이야기를 들려주고, 젊은 가시버시가 들살림을 짓고, 아이들이 숲놀이를 누리는 새판을 짜서 빚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lay with Me (Paperback) - 1956 Caldecott
매리 홀 엣츠 지음 / Puffin / 197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4.

그림책시렁 1314


《Play with me》

 Marie Hall Ets

 Puffin

 1955/1976.



  아이가 왜 태어나는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우리나라는 한때 아기를 엄청나게 낳던 살림이었는데, 이제 아기를 거의 안 낳는 모래밭으로 바뀝니다. 둘레를 봐요. 아기가 태어나도 엄마아빠가 아기랑 느긋이 쉬거나 머물거나 놀 데가 안 보입니다. 온통 ‘나이든 이’들이 놀고 먹고 마시고 노닥거리는 가게가 그득합니다. 돈을 치르고 들어가는 놀이마당은 아기나 아이를 안 헤아립니다. ‘롯데월드’ 같은 데가 아이를 헤아릴까요? 터럭만큼도 아닙니다. 그런 곳은 ‘돈’만 쳐다볼 뿐입니다. 아이어른 모두 돈에 길들도록 내모는 얼개입니다. 《Play with me》는 《나랑 같이 놀자》란 이름으로 한글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마리 홀 에츠(매리 홀 엣츠) 님 그림책은 ‘아기·아이·어른·어버이’가 서로 어떤 사이인지 상냥하게 풀어내면서 사랑으로 보여줍니다. 아이는 어른하고 놀려고 태어납니다. 어른은 아이하고 놀려고 어버이라는 이름으로 거듭납니다. 아이어른은 같이 놀고 함께 배우고 서로 베풀면서 언제나 즐겁게 살림을 짓습니다. 그런데 막상 태어난 아이가 놀 데가 없이 어린이집에 배움터에 갇혀야 한다면, 왜 태어나야 하지요? 아이를 낳고도 어버이가 같이 놀 틈이 없으면 무슨 보람이지요? 들과 숲과 바다를 푸르게 살리면서 느긋해야 아이가 태어나고 어른도 즐겁습니다.


#나랑같이놀자 #매리홀엣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의 매듭
리사 비기 지음, 모니카 바렌고 그림, 정원정.박서영(무루) 옮김 / 오후의소묘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4.

그림책시렁 1394


《마녀의 매듭》

 리사 비기 글

 모니카 바렌고 그림

 정원정·박서영 옮김

 오후의소묘

 2022.11.22.



  모든 철이 다릅니다. 아무리 춥거나 더운 고장이라 하더라도 아침저녁이 있고, 밤낮이 있으며, 새벽과 어스름이 있어요. 철마다 늘 다르게 흐르는 바람과 해와 별이요, 날마다 노상 새롭게 흐르는 하루입니다. 숲에 한 가지 나무만 자라지 않습니다. 들에 한 가지 풀만 돋지 않습니다. 숱한 나무하고 풀이 어우러지기에 온갖 나비하고 벌이 어울리고, 갖은 개미하고 벌레가 나란하며, 바로 이 곁에 사람이 사랑으로 살림을 짓습니다. “Felicita ne avete?”를 옮긴 《마녀의 매듭》입니다. 바꾼 책이름이 좀 뜬금없습니다. 이 그림책은 바람아씨가 아니라 ‘즐거움’을 다루거든요. “즐겁게 있는”지 묻는 줄거리입니다. “즐겁게 사는”지 돌아보려는 삶입니다. “즐겁게 보”거나 “즐겁게 하”는지 되새기자는 뜻입니다. 매듭은 남이 매거나 묶거나 동이지 않아요. 우리가 스스로 짓습니다. 남이 해주어야 즐겁지 않아요. 스스로 하고, 스스로 짓고, 스스로 펴서, 스스로 베풀 줄 알기에 즐겁습니다. 곰곰이 본다면, 겨울에 겨울다운 추위가 없고 여름에 여름다운 더위가 없는 곳은 안 즐겁습니다. 봄에 나비에 개구리에 새에 풀벌레를 만나지 않는 곳도 안 즐겁습니다. 바람아씨는 바람을 읽는 눈빛입니다. 숲아씨는 숲을 아는 철빛입니다.


ㅅㄴㄹ


#Felicitaneavete (즐겁게 있어?)

#LisaBiggi #MonicaBarengo


마녀는 늘 기분이 좋지 않았어

→ 숲아씨는 늘 언짢았어

→ 바람아씨는 늘 처졌어

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눈에 펼쳐보는 대동여지도 한눈에 펼쳐보는 그림책
최선웅 지음, 이혁 그림 / 진선아이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4.

그림책시렁 1431


《한눈에 펼쳐보는 대동여지도》

 최선웅 글

 이혁 그림

 진선아이

 2018.9.11.



  길그림을 즐겁게 들여다보는 작은아이하고 곧잘 ‘길읽기’를 합니다. 길읽기를 하자면, 스스로 거닌 곳을 스스로 어림하면서 스스로 판이나 종이에 슥슥 길을 그려 보아야 합니다. 이곳과 저곳과 그곳을 ‘한 군데’에 모아 놓되 서로 얼마나 붙거나 떨어지는가를 어림하고서 차근차근 담을 수 있다면, ‘길읽기’에 눈뜰 수 있습니다. 《한눈에 펼쳐보는 대동여지도》는 김정호 님이 남긴 손자취에 따라 이 땅을 새롭게 들여다보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어린이부터 ‘김정호·대동여지도’를 쉽게 알아볼 만하도록 알뜰히 엮었구나 싶어요. 어려운 옛 한문도 되도록 쉽게 풀었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조선 무렵에 쓰던 한문’을 그대로 둔 대목도 퍽 많아요. 나라에서는 우리글도 우리말도 아닌 한문을 썼으니, 옛살림을 다룰 적에 한문을 한글로 옮겨적을 수 있습니다만, ‘한문으로 쓴 낱말’을 그냥 한글로만 바꾸면 오히려 알아보기 어렵습니다. 쉬운 우리말로 새롭게 낱말을 짓거나 엮으면서 한문뜻을 단출히 풀어서 붙여야 알맞다고 느낍니다. 대동여지도는 여느사람한테 이바지하던 길그림이 아닌, 임금·벼슬아치·나리한테 이바지하던 길그림입니다. 이 얼거리를 곰곰이 짚으면서 오늘날 길그림을 어떻게 그릴는지 생각해 볼 만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 -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 53인의 소견서
전쟁없는세상 엮음 / 포도밭출판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5.23.

인문책시렁 356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

 전쟁없는세상 엮음

 포도밭

 2014.5.15.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전쟁없는세상 엮음, 포도밭, 2014)는 싸울아비로 서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여러 목소리를 고루 담아내는 터라 뜻깊습니다. 다만, ‘말’이 너무 어렵습니다. 다들 ‘말’이 아닌 ‘선언’을 하느라, 대단히 딱딱합니다. 왜 이렇게 딱딱하게 말하는가 하고 돌아보니, “나는 총을 안 쥡니다”라 말하지 않고서 “군대거부선언”을 하는 분들은 하나같이 ‘대학생’이거나 ‘대졸자’이더군요. 푸른배움터만 마친 채 “총을 안 쥘래” 하고 말하는 사람은 아주 드물거나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어깨동무를 헤아리거나 바라는 일도 으레 ‘대학교 울타리’에서 합니다. 푸른배움터만 마쳤거나, 모든 배움터를 안 다닌 사람하고 손을 맞잡는 ‘전쟁없는세상’이라고는 느끼기 어렵습니다.


  열린배움터로 나아가는 푸름이가 많기도 하지만, 푸른배움터까지만 마치고서 일자리를 찾는 푸름이도 매우 많습니다. 모르는 사람은 모르는데, 푸른배움터만 마치고서 일자리를 찾을 적에는 곧장 싸움터에 끌려갑니다. ‘대학교 입학증서’는 싸움터에 늦게 들어갈 수 있는 또다른 힘(권력)입니다. 때로는 네 해나 여덟 해 사이에 “싸움터에 안 들어가도 될 실마리”를 찾아볼 틈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군대를 거부한다》는 2001년부터 2014년 사이에 바깥에 드러낸 목소리를 그러모읍니다. 이 목소리를 날것으로 담아도 뜻있되, 어린이와 푸름이도 읽을 만하게 새로 쓰거나 손질한다면 더 뜻있으리라 봅니다. 모든 어려운 말을 털어내고서 “왜 안 싸우려 하는가”를 수수하고 쉽게 다시 밝힌다면 훨씬 나으리라 봅니다.


  오늘날 우리가 ‘어렵게’ 꼬는 모든 말은 일본말씨이면서 ‘싸움말씨(군대용어)’입니다. ‘일본말씨 + 싸움말씨’는 ‘인문용어 + 전문용어’이기까지 합니다. 그러니까, “안 싸우겠다는 말”조차 ‘일본 싸움말씨’로 외친 셈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모든 곳에서 “싸움이 없는 길”을 바라고, “어깨동무하는 푸른 살림”을 바란다면, 이제는 ‘푸른말’로 ‘푸른뜻’을 밝히면서 ‘푸른길’을 속삭일 노릇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싸움터에서 시달린 사람들” 목소리를 한켠에 나란히 담을 수 있을 테지요. 목소리를 낼 짬이 없이 싸움터에서 젊은날을 보내야 한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싸움터란 어떤 곳인지 민낯을 고스란히 들여다보고 겪고 부대껴야 한 사람들 목소리가 나란히 있을 적에 “왜 안 싸우려 하는가”라는 뜻을 제대로 들려줄 만하리라 봅니다.


ㅅㄴㄹ


수십 년 동안 1만 명이 넘는 병역거부자가 계속해서 감옥에 갔지만, 이 문제가 한국사회에서 공론화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이 지나서부터였습니다. (9쪽)


매일같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화하여 총과 칼을 휘둘러야 하는 행위는 그 목적과 방법, 모든 면에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15쪽)


저는 제 양심상의 이유로 군사훈련을 거부하는 것이지, 국방의 의무와 군대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18쪽)


살인은 모두가 범죄라고 말하지만, 전쟁을 범죄로 생각하는 사람은 소수입니다. (63쪽)


누군가는 먼저 총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67쪽)


‘군대’와 관계 맺기 시작하면서 누군가 ‘남자’나 ‘여자’로 분류되는 순간들이 거북합니다. ‘군대’를 가고 안 가고의 문제는 그 ‘누군가’가 ‘여자’는 아니거나 ‘남자’다울 수 있을 때 가능했습니다. (112쪽)


군대는 바로 국가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에 불과합니다. 전쟁이라는 것으로 약자를 비참히 짓밟고 그것으로 잡은 권력을 계속해서 지켜나가기 위한 도구, 그것을 위해 수많은 남성들을 권위주의적이며 전체주의적 사고를 주입해 양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지금의 군대 문화입니다. (132쪽)


모든 이들이 너처럼 총을 들지 않는다면, 누가 나라를 지키느냐고 묻곤 한다. 그럴 때마다, 모든 이들이 총을 들지 않으면 전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다. (25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