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with Me (Paperback) - 1956 Caldecott
매리 홀 엣츠 지음 / Puffin / 197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24.

그림책시렁 1314


《Play with me》

 Marie Hall Ets

 Puffin

 1955/1976.



  아이가 왜 태어나는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우리나라는 한때 아기를 엄청나게 낳던 살림이었는데, 이제 아기를 거의 안 낳는 모래밭으로 바뀝니다. 둘레를 봐요. 아기가 태어나도 엄마아빠가 아기랑 느긋이 쉬거나 머물거나 놀 데가 안 보입니다. 온통 ‘나이든 이’들이 놀고 먹고 마시고 노닥거리는 가게가 그득합니다. 돈을 치르고 들어가는 놀이마당은 아기나 아이를 안 헤아립니다. ‘롯데월드’ 같은 데가 아이를 헤아릴까요? 터럭만큼도 아닙니다. 그런 곳은 ‘돈’만 쳐다볼 뿐입니다. 아이어른 모두 돈에 길들도록 내모는 얼개입니다. 《Play with me》는 《나랑 같이 놀자》란 이름으로 한글판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마리 홀 에츠(매리 홀 엣츠) 님 그림책은 ‘아기·아이·어른·어버이’가 서로 어떤 사이인지 상냥하게 풀어내면서 사랑으로 보여줍니다. 아이는 어른하고 놀려고 태어납니다. 어른은 아이하고 놀려고 어버이라는 이름으로 거듭납니다. 아이어른은 같이 놀고 함께 배우고 서로 베풀면서 언제나 즐겁게 살림을 짓습니다. 그런데 막상 태어난 아이가 놀 데가 없이 어린이집에 배움터에 갇혀야 한다면, 왜 태어나야 하지요? 아이를 낳고도 어버이가 같이 놀 틈이 없으면 무슨 보람이지요? 들과 숲과 바다를 푸르게 살리면서 느긋해야 아이가 태어나고 어른도 즐겁습니다.


#나랑같이놀자 #매리홀엣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