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을 쓰는 직업 - 국립중앙박물관 연구원, 일과 유물에 대한 깊은 사랑을 쓰다 마음산책 직업 시리즈
신지은 지음 / 마음산책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5.12.

읽었습니다 323



  우리는 아직 아무렇지 않게 그냥 쓰지만, ‘국민’도 ‘민주’도 ‘도서관’도 ‘박물관’도 죄다 일본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본 글바치가 처음 엮거나 지은 한자말도 있고, 일본에서 새뜻을 담아 퍼뜨린 한자말도 있습니다. 숱한 어린이는 ‘학교’란 한자말을 모릅니다. 늘 다니지만 그저 다닐 뿐, 무엇을 하거나 누리는 터인지 제대로 짚거나 풀어내는 어른이 몹시 드물어요. 어린이는 ‘박물관’ 같은 이름도 어려워합니다. 예전에는 ‘博物館’처럼 그저 한자로만 적었고, 요사이는 한글로 바꾸었습니다만, 알맹이는 안 바꾼 채 허울만 슬쩍 돌린 셈입니다. 그렇다면 이제라도 우리 숨결로 바라보고 우리 눈빛으로 풀어내어 우리 아이들한테 물려줄 이름을 처음으로 살펴서 지을 줄 알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어린이를 마주할 적에 늘 ‘살림숲’이란 새말로 여미어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박물관을 쓰는 직업》은 여러모로 뜻있게 줄거리를 짰구나 하고 느끼면서도, 좀 지나치게 글멋을 부렸구나 싶습니다. 어깻힘을 모조리 내려놓고서, 어린이 곁에 다가선다는 말음으로 글자락을 어루만지고 가다듬는다면, 살림숲 글지기라는 길이 꽤 빛날 텐데 싶습니다. 이대로는 살림숲하고 멀고, ‘살림글’에 닿기도 어렵습니다.


ㅅㄴㄹ


《박물관을 쓰는 직업》(신지은, 마음산책, 2022.11.5.)


박물관을 쓰는 것이 나의 일이다

→ 나는 살림숲을 쓰며 일한다

→ 나는 살림숲에서 글을 쓴다

6


일하는 시간과 그 사이에 겪은 조그만 일화들을 담았다

→ 일하는 사이에 겪은 조그만 얘기를 담았다

6


주머니 속에 넣어 가지고 다니던 기억들도 한편에 놓았다

→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생각도 한쪽에 놓는다

→ 마음에 담은 생각도 한켠에 놓는다

6


그러나 나는 유물처럼 완결된 존재가 아니다

→ 그러나 나는 물려받아 끝난 삶이 아니다

7


지금도 무언가로 계속 만들어져가고 있다

→ 오늘도 꾸준히 거듭난다

→ 늘 새롭게 태어난다

→ 언제나 조금씩 거듭난다

7


계속 글을 쓸 수 있는 것은 너그러운 눈으로 글을 읽어 주시는 분들 덕분이다

→ 너그러이 읽어 주시는 분이 있어서 꾸준히 글을 쓸 수 있다

→ 너그러이 보아주시는 분이 있기에 늘 글을 쓸 수 있다

8


늘 질문을 던진다

→ 늘 묻는다

→ 늘 돌아본다

15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가락만 까딱하면 책 먹는 고래 24
황미숙 지음, 김지영 그림 / 고래책빵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5.10.

다듬읽기 213


《손가락만 까딱하면》

 황미숙 글

 김지영 그림

 고래책빵

 2021.8.25.



  《손가락만 까딱하면》(황미숙, 고래책빵, 2021)은 부산 한켠에서 살아가며 만나고 부대낀 하루를 어린이한테 들려주는 얼거리입니다. 복닥이거나 붐비더라도 마음을 기울이고 눈여겨볼 수 있다면 서로 아낄 수 있습니다. 한갓지거나 조용하더라도 마음을 안 기울이거나 안 쳐다본다면 서로 등을 돌립니다. 모든 곳에는 다 다르게 이야기가 흐르니, 이 다른 이야기를 알아보면서 품고 녹이면 될 테지요. 다만, 착해야 하거나 고와야 하는 틀을 따로 세우기보다는, 어른으로서 어른스러운 눈빛과 숨결이 무엇인지를 밝히면 됩니다. 큰고장 한복판이어도 해바람비가 드리우고 퍼질 적에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어요. 먼발치 숲이 아닌, 보금자리에서 돌아보면서 가꿀 수 있는 풀씨를 글자락에 담아낼 때라야 비로소 ‘어린글’이라고 느낍니다. 그리고 어린이 곁에서는 더 부드럽고 더 쉽게, 무엇보다도 우리말답게 글결을 가다듬기를 바라요.


ㅅㄴㄹ


산책하다가 종종 네 잎 클로버를 발견하는 기쁨을 누리기도 해

→ 마실하다가 가끔 네잎토끼풀을 보며 기뻐해

→ 거닐다가 이따금 네잎토끼풀을 보며 기뻐

4쪽


산동네에 살아

→ 멧마을에 살아

→ 달마을에 살아

4쪽


산중턱을 가로지르는 산복도로 위에 터를 잡은 마을이야

→ 멧턱을 가로지르는 고갯마루에 터를 잡은 마을이야

4쪽


네 잎 클로버 하나 넣어서 답장할게

→ 네잎토끼풀 하나 넣어서 맞글할게

5쪽


거북이를 두고 온 것입니다

→ 거북이를 두고 왔습니다

10쪽


먼저 군부대를 떠나게 되었습니다

→ 먼저 싸움터를 떠납니다

11쪽


건빵 봉지 안에 무언가가 꼼지락거렸습니다

→ 마른빵 자루에서 무엇이 꼼지락거립니다

17쪽


저녁 준비를 했어요

→ 저녁을 차려요

20쪽


내년에도 나 데리고 올 거지?

→ 이듬해도 나 데리고 오지?

→ 다음해도 나 데려오지?

41쪽


지방종이에 불을 붙였어

→ 글종이에 불을 붙였어

→ 비나리글에 불을 붙였어

41쪽


미리 준비해 둔 재료를 꺼내 떡볶이를 뚝딱 만들었다

→ 미리 챙긴 꾸러미를 꺼내 떡볶이를 뚝딱 했다

→ 미리 챙긴 살림을 꺼내 떡볶이를 뚝딱 차렸다

49쪽


네∼ 별이 다섯 개입니다

→ 네! 별 다섯입니다

→ 네! 별이 다섯

→ 네! 다섯별

50쪽


같은 종이가 여기저기 붙어있는 걸 보며 웃었다

→ 같은 종이가 여기저기 붙어서 보며 웃었다

51쪽


이사하는 날은 기어이 오고야 말았지

→ 떠나는 날은 끝내 오고야 말았지

→ 가는 날은 마침내 오고야 말았지

60쪽


인사성이 밝구나

→ 몸새가 밝구나

→ 결이 밝구나

→ 절빛이 밝구나

62쪽


해가 저물어 골목이 어두워지자 내 마음도 어두워지는 것 같았어

→ 해가 저물어 골목이 어둡자 내 마음도 어두워

63쪽


골목 입구에 서 있는 가로등이 불을 밝혀도

→ 골목 어귀에 선 거리불이 밝아도

→ 골목 앞에 있는 길불빛이 밝아도

6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폭 선생님 5
코쥬코 모리모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5.10.

만화책시렁 648


《조폭 선생님 5》

 모리모토 코즈에코

 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3.9.15.



  싸움꾼은 싸울 뿐입니다. 좋거나 나쁘지 않습니다. 노래꾼은 노래할 뿐입니다. 나쁘거나 좋지 않습니다. 잠보는 즐겁게 잘 뿐입니다. 좋거나 나쁘지 않아요. 느림보는 느리게 할 뿐입니다. 나쁠 일도 좋을 일도 없습니다. 키가 크거나 작든 모두 어버이입니다. 얼굴이 어떤 모습이건 모두 아이입니다. 목소리도 매무새도 다 다른 사람이요, 풀꽃에 나무에 짐승에 바람입니다. 《조폭 선생님》은 길잡이나 어른이나 아이 누구라도 그저 다 다르게 태어나서 살아가고 자라면서 만나고 헤어진다는 줄거리를 다룹니다. 싸움무리(조직폭력배)를 이룬 집안에서 나고자란 아가씨가 어릴 적부터 스스로 주먹힘을 갈고닦았더라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스스로 나아가는 길일 뿐입니다. 차츰 이리저리 밀려나면서 사랑받지 못 했다고 느끼는 아이들이 우르르 몰려다니면서 싸움질을 일삼지만,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직 철이 안 든 아이들을 다독이고 달랠 노릇입니다. 철이 없으면 어른 아닌 철바보입니다. 철바보 아닌 ‘철보’로 서서 ‘철지기’로 피어나기에 ‘어른’입니다. 아이들이 무엇을 배우면서 스스로 사랑씨앗을 품을 적에 아름다울는지 찾아나서기에 ‘길잡이’예요.


ㅅㄴㄹ


“네가 무슨 진짜 권투선수냐? 상대에 맞춰서 권투 같은 걸 하게.” “뭐? 뭔 소리야?” “우린 여기 스포츠를 하러 온 게 아니야. 살아남기 위해서 이기러 온 거라구.” (80쪽)


“어쨌든 좀 당황스럽군요. 난 지금까지 여자를 때린 적은 한 번도 없었는데.” … “걱정 마시죠. 얻어맞을 생각은 없으니까요.” (94, 95쪽)


“잘 봐! 저건 살인자의 눈이라구!” “그런 이유로 무조건 몰아붙이는 건 말이 안 되잖아.” (123쪽)


“진정들 해. 경찰 나리들께 작은 빚을 만들어 준 것도, 그리 나쁘진 않으니까.” (128쪽)


#森本梢子 #ごくせん


《조폭 선생님 2》(모리모토 코즈에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3)


자기 배에 품은 부동명왕 말이야

→ 우리 배에 품은 가운임금 말이야

→ 배에 품은 가운님 말이야

→ 배에 품은 굳은님 말이야

1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 Am a Bunny (Board Books)
Ole Risom / Golden books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9.

그림책시렁 354


《I am Bunny》

 Richard Scarry 그림

 Ole Risom 글

 Golden book

 1963/1991.



  우리나라에 열두띠가 있습니다. 열두 짐승에 빗대어 열두 삶길을 살피려는 뜻이요, 열두빛으로 열두살림을 짓는 마음을 익히자는 얼거리라고 느껴요. 저는 토끼띠로 태어난 터라, 토끼가 어떤 짐승이면서 숲빛인지 귀를 쫑긋했습니다. 오늘날이 아닌 먼먼 옛날, 어느 살림집이나 논밭을 돌보면서 숲을 품던 지난날에는 토끼를 어떻게 마주하면서 열두띠에 담았는지 헤아렸습니다. 요사이는 ‘토끼다’라는 말을 쓰지만, 예전에는 ‘톡톡·통통’이나 ‘토실토실’만 썼을 테지요. 가볍게 뛸 줄 아는 숨결이요, 발소리도 발자국도 웬만해서는 안 남기던 숨빛일 테고요. 《I am Bunny》를 읽으면서 ‘하늬녘에서 바라보는 토끼’를 생각합니다. 우리 나름대로 뭇짐승과 뭇벌레와 뭇새와 뭇헤엄이 살림길을 풀어내는 이야기를 여미어서 아이들한테 물려줄 노릇일 텐데 싶더군요. 리처드 스캐리 님은 ‘사람인 사람끼리만 살지 않는’ 줄을 여러 짐승빛 이야기로 들려줍니다. 그저 귀엽게만 그리지 않아요. 사람도 토끼도 쥐도 뱀도 돼지도 온누리를 이루는 이웃이라는 대목을 밝힙니다. 아직 우리나라 멧골에 멧토끼가 얼마쯤 남았다지만, 자칫 머잖아 사라질 수 있습니다. 범과 늑대에 이어 토끼마저 숲에서 사라진다면, 사람은 멀쩡할 수 없어요.


#RichardScarry #리처드스캐리 #숲노래아름책 #숲노래추천책

I Am a Mouse

the Rooster Struts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된 마녀 루시
리오넬 르 네우아닉 지음, 이재현 옮김 / 행복한아이들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9.

그림책시렁 1253


《엄마가 된 마녀 루시》

 리오넬 르 네우아닉

 이재현 옮김

 행복한아이들

 2003.7.15.



  어릴 적에는 “내가 짝을 만날 수 있을까? 난 이렇게 허술하고 허접한데?” 하고 돌아보는 나날이었습니다. 고삭부리에 어수룩한 몸과 말씨를 천천히 가다듬은 스물 언저리에도 “내가 싸움터(군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난 코로 숨도 잘 쉬지 못 하는데?” 하고 곱씹는 나날이었습니다. 그러나 ‘어제’를 몽땅 꾹꾹 누르면서 견디고 참고 버티었어요. 이렇게 서른을 넘기고 서른셋에 이르러 큰아이를 낳았고, 서른여섯에 작은아이를 낳습니다. ‘어버이·아버지’라는 삶을 걸을 줄 몰랐을 뿐 아니라, 어림도 못 했기에, 아이 곁에서 어떻게 살림을 지어야 즐겁고 아름다울는지는 생각조차 못 했습니다. 그런데 하나가 있어요. 아이들이 다 가르쳐 줍니다. 《엄마가 된 마녀 루시》는 짝을 만나기는커녕 아이를 품거나 낳거나 돌볼 삶을 엄두도 못 내던 루시가 ‘어버이·어머니’라는 이름을 받는 나날을 들려줍니다. 오늘날 숱한 젊은 엄마아빠는 루시와 비슷하리라 봅니다. 허둥지둥에 어리숙하고 어설플 뿐 아니라, 도무지 누구한테서 ‘어버이 살림짓기’를 배워야 할는지 까마득합니다. 그런데 언제나 매한가지예요. 아이들이 우리를 가르칩니다. 우리도 아기였을 때 우리 엄마아빠를 가르쳤습니다. 이 얼거리를 깨달을 수 있다면, 누구나 천천히 보금자리를 아름답게 사랑으로 지을 수 있습니다.


#LucieFerUnAmourDeSorciere #LionelLeNeouanic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