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물관을 쓰는 직업 - 국립중앙박물관 연구원, 일과 유물에 대한 깊은 사랑을 쓰다 ㅣ 마음산책 직업 시리즈
신지은 지음 / 마음산책 / 2022년 11월
평점 :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5.12.
읽었습니다 323
우리는 아직 아무렇지 않게 그냥 쓰지만, ‘국민’도 ‘민주’도 ‘도서관’도 ‘박물관’도 죄다 일본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본 글바치가 처음 엮거나 지은 한자말도 있고, 일본에서 새뜻을 담아 퍼뜨린 한자말도 있습니다. 숱한 어린이는 ‘학교’란 한자말을 모릅니다. 늘 다니지만 그저 다닐 뿐, 무엇을 하거나 누리는 터인지 제대로 짚거나 풀어내는 어른이 몹시 드물어요. 어린이는 ‘박물관’ 같은 이름도 어려워합니다. 예전에는 ‘博物館’처럼 그저 한자로만 적었고, 요사이는 한글로 바꾸었습니다만, 알맹이는 안 바꾼 채 허울만 슬쩍 돌린 셈입니다. 그렇다면 이제라도 우리 숨결로 바라보고 우리 눈빛으로 풀어내어 우리 아이들한테 물려줄 이름을 처음으로 살펴서 지을 줄 알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어린이를 마주할 적에 늘 ‘살림숲’이란 새말로 여미어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박물관을 쓰는 직업》은 여러모로 뜻있게 줄거리를 짰구나 하고 느끼면서도, 좀 지나치게 글멋을 부렸구나 싶습니다. 어깻힘을 모조리 내려놓고서, 어린이 곁에 다가선다는 말음으로 글자락을 어루만지고 가다듬는다면, 살림숲 글지기라는 길이 꽤 빛날 텐데 싶습니다. 이대로는 살림숲하고 멀고, ‘살림글’에 닿기도 어렵습니다.
ㅅㄴㄹ
《박물관을 쓰는 직업》(신지은, 마음산책, 2022.11.5.)
박물관을 쓰는 것이 나의 일이다
→ 나는 살림숲을 쓰며 일한다
→ 나는 살림숲에서 글을 쓴다
6
일하는 시간과 그 사이에 겪은 조그만 일화들을 담았다
→ 일하는 사이에 겪은 조그만 얘기를 담았다
6
주머니 속에 넣어 가지고 다니던 기억들도 한편에 놓았다
→ 주머니에 넣고 다니던 생각도 한쪽에 놓는다
→ 마음에 담은 생각도 한켠에 놓는다
6
그러나 나는 유물처럼 완결된 존재가 아니다
→ 그러나 나는 물려받아 끝난 삶이 아니다
7
지금도 무언가로 계속 만들어져가고 있다
→ 오늘도 꾸준히 거듭난다
→ 늘 새롭게 태어난다
→ 언제나 조금씩 거듭난다
7
계속 글을 쓸 수 있는 것은 너그러운 눈으로 글을 읽어 주시는 분들 덕분이다
→ 너그러이 읽어 주시는 분이 있어서 꾸준히 글을 쓸 수 있다
→ 너그러이 보아주시는 분이 있기에 늘 글을 쓸 수 있다
8
늘 질문을 던진다
→ 늘 묻는다
→ 늘 돌아본다
15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