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넋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6 읽는 눈길



  살아온 숨결대로 읽고, 살아가려는 숨빛대로 읽습니다. 이제껏 살아온 걸음을 돌아보면서 읽고, 앞으로 살아갈 걸음을 헤아리면서 읽습니다. ‘꾼글(전문가 비평)’은 거의 ‘이웃나라 눈길(서양 이론)’에 맞추어 재거나 따집니다. 꾼글에는 “읽는 눈길”이 없다시피 합니다. 모든 사람은 삶이 다르고 살림이 새롭게 마련이지만, 꾼글에는 꾼 스스로 다르면서 새롭게 살아가거나 살림하는 마음이 흐르지 않더군요.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라면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 눈”으로 읽고 쓰고 말하면 됩니다. 아이는 없이 즐거이 살아가는 어른이라면 “아이 없이 즐거이 사는 어른 눈”으로 읽고 쓰고 말하면 돼요. 서울에서는 서울 눈길로, 시골에서는 시골 눈길로 읽을 노릇입니다. 인천은 인천 눈길로, 대전은 대전 눈길로 읽으면 넉넉해요. “내 마음대로 읽으면 안 되지 않나요?” 하고 걱정하는 분이 참 많습니다만, “저마다 사랑이라는 마음으로 즐겁게 읽을 길”이라고 생각해요. “그냥 내 마음대로”가 아닌 “사랑이라는 내 마음으로” 읽습니다. “그냥 내 멋대로”가 아닌 “즐겁게 사랑하는 내 멋으로” 읽어요. 아이는 읽고, 어른은 어른으로서, 어버이는 어버이로서 읽습니다. 우리는 우리 눈빛을 밝힐 적에 스스로 눈부십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5 읽는 마음



  모든 사람은 다릅니다. 똑같은 사람뿐이라면 글을 쓰거나 말을 할 까닭이 없고, 책을 내거나 읽거나 옮길 까닭이 없습니다. 모든 사람은 다르니, ‘똑같은 책을 나란히 읽더라’도 ‘모든 사람이 다 다르게 바라보고 느끼고 받아들입’니다. 모든 사람이 어느 책 하나를 똑같이 읽고 받아들이고 생각해야 할까요? 다 똑같이 ‘울컥(감동)’해야 한다고 여기면, 이는 짓밟기(폭력)라고 여깁니다. 푸름이(청소년)한테 똑같은 머리카락·옷차림을 시키는 짓은 하나도 어른스럽지 않습니다. 깡똥치마를 두르든 깡똥바지를 꿰든 긴치마나 긴바지를 입든 푸름이 스스로 고를 노릇입니다. 사람하고 사람으로서 겉모습이나 옷차림이 아닌 마음빛으로 마주하고 바라보면서 만날 노릇입니다. ‘읽는 눈길’은 누구나 틀림없이 다르지만 ‘읽는 마음’은 외려 똑같습니다. 왜 똑같을까요? ‘글쓴이(책쓴이)가 남기거나 들려주려는 사랑을 읽으려는 마음’이 똑같습니다. 다만, 글쓴이가 들려주는 사랑은 ‘누구나 다 다르게 읽’되 ‘사랑을 읽으려는 마음이 같다’는 소리입니다.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르게 살아가다가 어느 날 문득 ‘똑같은 책’에 눈이 꽂혀서 즐겁게 읽은 뒤에 나눌 말이란 ‘똑같’을 수 없습니다. ‘읽는 삶’이 다르니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2.17. 탄광 침수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날마다 몇 낱말을 놓고서 새롭게 풀어내다가 가늘게 한숨을 쉬고는 자리에서 일어나 하늘바라기를 하고 나무바라기를 합니다. 오늘은 새벽부터 ‘몸’하고 얽힌 수수께끼를 거의 풀 듯하다가 ‘모두·다’ 두 낱말이 얽힌 실타래를 풀려다가 멈추었습니다. 그냥 밀어붙여도 되지만, 마음에서 김이 몽글몽글 피어나면 모든 일을 멈춥니다. 더 돌아보고서 배울 대목이 있기에 마음에서 김이 나거든요.


  뒤꼍에 올라 푸릇푸릇 올라오는 풀을 살피다가 여린쑥을 보았고, 한 포기를 톡 뜯어서 혀에 얹으니 사르르 녹는 겨울맛에 봄내음입니다. 모든 나물은 늘 그곳에서 바로 훑어서 날로 누릴 적에 가장 싱그러운 빛이에요. 오래 두려고 말려서 묵나물로 삼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해바람빛을 물씬 담아놓습니다. 묵나물을 건사할 수 있는 나날이란, 해바람빛을 담아낸 동안이라고 할 테지요.


  저녁에 문득 한자말 ‘침수’를 갈무리하다가, 두 가지 ‘침수(沈水·浸水)’가 있는데 자칫 하나로 뭉뚱그릴 뻔했다고 느낍니다. 헐레벌떡 둘을 갈라놓다가 ‘침범·범람’을 갈라놓고, 이윽고 ‘탄광·광산’이란 한자말을 그냥 쓸는지, 새말을 지을는지 생각하다가 잠자리에 들기로 합니다. 등허리를 펴고 한동안 누웠더니 ‘돌’이란 낱말을 “그저 단단히 뭉친 것”으로뿐 아니라 ‘광물·광석’을 가리킬 적에도 예부터 으레 쓴 줄 깨닫습니다.


  ‘돌밭’이라고 하면 돌이 많아서 쓰기 어려운 땅을 흔히 가리키지만, 새롭게 살려쓰는 돌이 많이 나는 곳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돌밭 ㄱ = 돌무더기·자갈밭’으로, ‘돌밭 ㄴ = 돌기름밭’으로 가를 만해요. 다른 곳에 붙이는 ‘-밭’은 넉넉히 가꾸어 누리는 곳을 가리키는데, ‘돌밭’만 “돌이 많아 못 쓰는 땅”으로만 쓰기에는 아쉬워요.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2.12. 밤낮 대가리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전남 고흥군 고흥읍에 있는 〈카페 보아즈〉에서 2023년 2월 28일까지 ‘노래그림판(동시그림판)’을 내겁니다. 2월 11일에 작은아이하고 새삼스레 찾아가서 노래그림판 23자락을 갈았습니다. 늘 커피콩을 받는 곳인데, 어제는 ‘쑥 라떼’를 처음으로 마셔 보았습니다. ‘코코아’만 마시다가 문득 마셔 보는데 쑥처럼 향긋하면서 살짝 핑 돌도록 즐거운 맛입니다. 쑥잎을 보름쯤 햇볕을 듬뿍 먹이고서 뜨거운 물에 우리면 피어나는 내음을 얼핏 느끼면서 즐거웠습니다.


  우리말 ‘모·몸’이 얽힌 실타래를 오늘은 풀어내야지 하고 생각하다가, 그만 ‘밤낮’하고 ‘대가리’ 말밑을 먼저 풀었습니다. 스스로 우리말을 차근차근 익히면서 생각을 갈무리하는 분이라면 얼핏설핏 다 알 텐데, ‘밤 = 밝다’로, ‘낮 = 낮다’로 얽히는 얼개입니다. 어떻게 ‘밤’이 ‘밝음’을 가리키는지 알쏭하거나 궁금한 분들은 그저 수수한 우리말을 하나하나 짚어 보면 누구나 스스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낮’도 매한가지입니다. ‘밤낮·별해’가 나란히 맞물려 돌아가는 우리말입니다.


  대숲은 대나무숲입니다. 대나무는 봄철 싹을 밥살림으로 사람한테 이바지한다고 여기는 분이 많은데, 이보다는 대숲이 한 해 내내 들려주는 바다노래 같은 숲바람노래가 사람한테 더없이 이바지합니다. 그렇기에 예부터 보금자리나 마을을 대숲으로 둘러 왔습니다. 이 수수께끼를 차근차근 짚는 시골살림을 곁에 둔다면, 왜 ‘대단하다·대수롭다’라는 우리말이 있고, ‘대머리·대가리·바지랑대’하고 ‘대다·댕기’가 맞물리는지 깨닫고는 눈을 번쩍 뜰 만합니다.


  이럭저럭 말밑을 추스르고 보니 《새로 쓰는 삶말 꾸러미 사전》은 어느새 글종이(원고지) 2000자락을 넘길 만큼 글을 모았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4000자락쯤 추슬러서 내놓고 싶으나, 몇 꼭지만 더 매듭지어서 철수와영희 펴냄터로 보내려고 합니다. 그야말로 거의 끝나가는 큰일 하나입니다. 새롭게 꾸러미(어원사전) 하나를 내놓으면 나라 곳곳 마을책집을 사뿐사뿐 마실하면서 우리 말밑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겠구나 싶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2.3. 예스 펀딩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누리책집 〈예스24〉에서 《나무의 어두움에 대하여》라는 책을 ‘도르리(북펀딩)’로 미리장만을 한다. 잘 태어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책은 줄거리로 읽기는 할 텐데, 책이름은 “나무가 들려주는 어두움”이나 “나무한테서 읽는 어두움”처럼 우리말씨로 붙이면 훨씬 나으리라 생각한다. ‘-의 + -에 대하여’는 ‘일본말씨 + 옮김말씨’이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7106570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