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6.23. 책수다 알림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지난 2022년 6월 18일에 《곁말, 내 곁에서 꽃으로 피는 우리말》이라는 이름으로 책을 새로 선보였습니다. ‘내 곁에서 꽃으로 피는 우리말’이란 곁이름(부제목)을 붙였고, 《곁말》이라고 단출히 이야기합니다. 새로 선보인 책을 즐겁게 나누려는 뜻으로, 2022년 6월 30일에 ‘곁말 책수다’를 서울 마을책집 〈메종인디아〉에서 엽니다.


- 곁말 책수다

- 때 : 2022.6.30.목요일. 19시

- 곳 : 서울 마을책집 〈메종인디아 트래블 & 북스〉

 (지하철 7호선 내방역 4번 나들목)


  새책 《곁말》로 펴는 ‘곁말 책수다’를 조촐히 열고 싶은 마을책집이나 도서관이나 학교가 있다면 즐겁게 물어보아 주시면 됩니다. 100∼200사람이나 1000사람이 모이는 커다란 자리도 나쁘지 않으나, 이보다는 4∼5사람이 조촐히 모인다든지, 10∼12사람이 단출히 모인다든지, 20∼25사람이 조금 북적북적 모이는 자리라면 한결 즐거이 책수다·우리말수다를 함께할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 숲노래 책수다

- 때 : 다달이 셋째나 넷째 월요일. 19시

- 2022.7.18.월요일. 19시

- 곳 : 경기 부천 〈용서점〉

 (지하철 7호선 춘의역 2번 나들목)

- 묻기 : 용서점 인스타 계정(instagram.com/yongbooks_bucheon)


  즐겁게 만나요. 복작복작이어도, 단출해도, 조촐해도, 오붓해도, 모두 새롭게 우리 마음을 틔우면서 생각을 꽃처럼 지피는 이야기밭을 누릴 만합니다. 고맙습니다.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유고’를 정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25 새



  어른으로 자라나는 아이요, 아는이다운 숨빛을 건사하는 어른입니다. 아이는 마음껏 날아오르듯 뛰놀고 노래하고 춤추는 눈빛이기에 아이답습니다. 어른은 즐겁게 날아오르듯 일하고 살림하고 사랑하는 눈망울이기에 어른답습니다. 이러한 아이어른을 헤아리노라면 꼭 새를 닮았네 싶어요. 몸뚱이가 다른 둘이요, 사람몸에는 날개가 없습니다만, 새도 사람도 하늘땅 사이에 흐르는 숨결이에요. 스스로 홀가분하게 살아가면서 사랑을 짓는 목숨이고요. 나이만 먹느라 늙어서 죽어가는 이를 어른이라 안 하고 늙은이라고 합니다. 나이가 적어도 뛰놀지 않고 노래하지 않고 춤추지 않으며 식어버린 눈일 적에는 아이라 안 하고 애늙은이라고 합니다. 사람으로서 아이답고 어른다운 길이란 ‘새’하고 어깨동무하는 살림으로 짓는 사랑이라고 생각해요. 새를 잊으면 아이다움도 어른다움도 잃지 싶어요. 상냥하면서 슬기롭기에 어른이라면, 착하면서 참하기에 아이입니다. 어질면서 너그럽기에 어른이라면, 따뜻하면서 넉넉하기에 아이입니다. 아이로만 머물거나 아이다움을 잊는다면 그만 사람길하고 등지지 싶어요. 조그마한 몸인 제비가 보름 넘게 안 먹고 안 쉬고 날면서 푸른별을 가로지르곤 합니다. 우리는 밥이 아닌 사랑을 먹기에 빛나는 넋이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6.19. 기운껏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어제(6.18.흙.) 순천 연향도서관으로 찾아가서 순천 푸름이하고 《쉬운 말이 평화》라는 책을 바탕으로 이야기꽃을 폈습니다. 숲노래 씨가 쓴 책을 읽은 분이라면 “그런데 왜 ‘평화’라는 한자말을 책이름에 넣었어요?” 하고 물을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대목을 묻지 않는다면 제 책을 안 읽은 셈이에요. 또는 제 책을 즐거이 읽은 마음이기에 ‘왜 책이름에 한자말 ‘평화’가 붙었는지 스스로 알아차릴’ 수도 있습니다.


  고흥살이 열 몇 해를 보내었습니다. 고흥에서는 이렇게 이 고을 푸름이한테 말넋·삶빛·살림꽃·사랑노래를 누리도록 이바지하거나 마음쓰는 어른을 아직 못 만났습니다. 고흥하고 순천은 엎어지면 코 닿을 만큼 가깝지만, 삶·살림·넋이 매우 달라요. 순천시가 하나부터 열까지 다 잘 한다고는 여기지 않으나, 땀흘리는 눈빛은 틀림없이 깊고, 마음쓰는 손빛은 참으로 넓습니다.


  머잖아 고흥군수에 전남교육감에 여러 일꾼이 새로 들어설 텐데, 삽질 아닌 살림길을 여밀 수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저는 제 기운껏 말숲을 돌보고 책숲을 추스르면 될 테지요. 이제 몸마음을 가다듬어 이튿날(6.20.달.) 두 곳에서 펼 이야기꽃을 헤아립니다. 이러고서 이다음날(6.21.불.) 다른 한 곳에서 펼 이야기꽃을 생각합니다. 오늘까지 익힌 살림을 이튿날 펴고, 이튿날 새로 배우는 사랑을 이다음날 펴면 즐겁습니다. 날마다 배우고 누리면서 나누는 발걸음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24 살림집



  모든 집은 모름지기 모두 달랐습니다. 모든 사람은 모두 다르거든요. 푸른별에서 처음에는 모든 사람이 모두 같은 말을 썼다고 합니다. 오늘 눈길로 보자면 설마 싶을 테지만, 푸른별에 처음 사람이 깃들 무렵에는 날씨도 터전도 숲도 모두 같았을 테고, 살림도 같았을 테니, 말이 같았을 만합니다. 날씨에 터전에 숲이 다 다르다면 말이 다 다릅니다. 겨울에 흰눈이 없는 곳에 ‘눈’을 가리키는 말이 없어요. 늘 더운 곳에 ‘솜’이나 ‘이불’을 가리킬 말이 없겠지요. 우리나라는 조그마한 터라지만 고장마다 살림새가 달라서 말도 다릅니다. 이 살림에 맞추어 옷밥집도 달라요. 그런데 어느덧 모든 고장이 서울바라기로 흐르며 똑같은 잿빛집이 엄청나게 서고, 사람들 스스로 ‘똑같이 쌓은 집’에 깃들어 ‘똑같이 생긴 부릉이’를 몰고 ‘똑같이 셈틀맡에 앉아 돈을 법’니다. 살림집이라기보다 돈자리(부동산)로 흐르는 잿빛집인 터라, 다 다른 사람한테 다 다른 책이 아닌 ‘똑같은 잘난책(베스트셀러)’이 넘치고, ‘똑같은 잘난책’을 팔려는 마음이 자라요. 벼도 콩도 옥수수도 부추도 고장마다 날씨·흙·비바람해에 따라 다른데, 우리는 왜 똑같은 책을 읽으려 할까요? 더구나 ‘똑같은 책’이어도 ‘다 다르게 읽는 눈’마저 잃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2.6.14. 손수 14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책숲종이(도서관 소식지)인 〈책숲 14〉을 손글씨로 여밉니다. 깨알글씨로 이야기를 잔뜩 넣는 꽃종이로 엮을까 하다가, 이달에는 어쩐지 손글씨로 하고 싶더군요. 마침 새로 태어나는 《곁말》이라는 책도 있기에, 손글씨 꽃종이를 책하고 책숲이웃님한테 부치려고 생각합니다.


  또박또박 글씨를 넣습니다. 그림은 조금 넣습니다. 두 쪽을 통틀어 ‘말밑찾기그림’을 넣습니다. 말밑을 어떻게 갈무리하는가를 보여주는 ‘낱말그림’이에요. 낱말그림을 넣고 보니, 한동안 〈책숲〉을 손글씨로 여미어 다달이 ‘낱말그림’을 새롭게 보여주면 어떠려나 하고도 생각합니다.


  말밑(어원)은 어렵지 않습니다. 우리가 스스로 지은 말이 우리가 쓰는 말이기에, 누구나 마음을 기울여 생각을 하면 모든 우리말밑을 우리 스스로 찾아낼 수 있어요. 이 실마리를 낱말그림으로 밝힌다고 할 만합니다.


  조그맣게 여미는 손글씨 책숲종이인데, 정작 이 책숲종이를 다 쓰고 보니 졸음이 확 쏟아집니다. 살짝 쉬었다가 읍내 글붓집(문방구)에 이 책숲종이를 뜨러(복사하러) 가야겠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